책을 못 읽어서 책으로 글을 못쓴다. 시험기간이니까 과목별 내가 생각하는 좋은 공부법을 써보기로 했다. 중학교 기준이다.
1. 국어
국어는 자습서와 평가 문제집을 가지고 공부하면 된다. 만약에 교과서 필기를 꼼꼼하게 했던 사람이라면 자습서는 굳이 없어도 될 것 같다. 필기를 잘 한 사람은 교과서, 안 한 사람은 자습서를 보면서 교과서 내용을 완벽하게 이해를 해야 한 다음에 선생님이 나눠주신 프린트물을 가지고 공부를 해야 한다. 내 생각에는 프린트물 있으면 굳이 노트필기할 필요 없는 것 같다. 거기까지 끝냈으면 이제 평가 문제집 뒤에 있는 시험대비 문제들을 풀면 된다. 시험 보기 전에는 프린트물을 한 번 더 보고 시험을 보면 잘 볼 수 있다.
2. 수학
수학은 학원다니는게 최고인 것 같다. 숙제 친구들한테 풀어달라고 하고 콴다 돌리고 답지 베끼지 않으면 잘 볼 수 있다. 학원을 안 다닌다면 문제만 주야장천 풀면 된다. 개념을 먼저 이해한 다음 교과서 -> 학습지 -> 유형 문제집(센 같은 거) -> 심화 문제집(블랙라벨 같은 거) -> 기출문제(족보닷컴) 이 순서로 문제를 풀면 된다. 선생님이 하시는 얘기 중에 시험문제에 대한 힌트가 있기도 해서 선생님 말을 잘 듣는 게 좋은 것 같다.
3. 영어
영어도 학원을 많이들 다니는데 학원 안 다닌다면 먼저 본문과 외부 지문 모두 문장, 해석, 필기 통째로 외우고 문법은 이해만 하면 된다. 지문 외우고 문법 이해했으면 이제 그걸 바탕으로 기출문제를 주구장창 풀면 된다.
4. 과학
보통 모든 과목은 이해를 해야 암기가 되고, 그냥 주야장천 외우면 안 되는데 그렇지 않다고 생각되는 유일한 과목은 과학이다. 내 생각인데 과학은 암기 다음 이해이다. 일단 외우고 봐야 이해가 되는 것 같다. 외워야 될 거 먼저 외우고 이해를 천천히 하면 공부가 된다. 그리고 과학은 교과서 출판사 문제집을 사서 풀면 된다. 나중엔 기출도 풀면 좋다. 시험 보기 전에는 개념을 한번 더 보고 가면 문제가 잘 풀릴 것이다.
5. 역사
역사도 의외로 이해를 하면서 암기를 하면 더 잘 외워지는 것 같다. 누가 뭘 왜 이래서 이렇게 된 건지 인과관계를 이해하면서 외우면 도움이 된다. 그리고 역사부도에 있는 지도를 보면서 공부하면 더 쉽다. 역사는 문제집보다 기출 푸는 게 나은 것 같다. 문제집 풀어봤는데 별로 도움이 안 됐었다. 역사 같은 달달 외우는 암기과목은 선생님이 만들어주시는 프린트가 있으면 공부하기 진짜 쉬운 것 같다. 선생님이 프린트 주시면 그걸 잘 활용해서 공부를 하면 좋다. 시험 보기 전에도 프린트 보면서 다시 완벽하게 외우고 봐야 기억력이 안 좋은 사람도 잘 볼 수 있다.
주요 과목들만 이렇게 써봤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