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곳은 자유게시판입니다.
수험관련 매매 교환 관련 글은 해당 게시판에 글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전 직장 경영지원팀 급여+4대보험 담당 1년 5개월(사실상 물경력)
현 직장 노무법인 사무원 2년 8개월
여기서 하는 일은 솔직히 저한테는 굉장히 다양하고 벅차다고 느끼지만, 그럼에도 노무사 시험에 도움될만한 부분은 솔직히 1도 없지 않을까하고 스스로도 냉정하게 생각은 하고 있습니다.ㅎㅎ
급여 4대보험 근로계약서(포괄은 제가 짭니다) 취업규칙 작성...근로기준법 관련(이래봐야 뭐 권고사직, 급여 산정방식, 연차, 퇴직금 등이겠지요)사업장 자문상담 등...(제가 답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니다 싶으면 노무사님한테 전화 넘겨버리구요) 사건이 들어오면 노무사님과 협업하여 체불금액 산정내역 작성, 법령 찾아보고 안내문 작성 등...이렇게 써놓으니까 간단한거 같은데 저는 정말 정신없는 시간을 보내왔었습니다ㅋㅋㅋ
요즘 들어 주변에서 노무사 시험을 준비해보라는 푸쉬가 많이 들어오네요. 가족들도 친구들도...저희 대표노무사님께는 일단 여쭤보진 않았구요^^;
원래 저는 인사노무 업계 경력을 쌓아가면서 더 좋은 직장으로 점프하는 인사팀원이 되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워낙 어려운 시험이고 직장 병행은 거의 헬난이도라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만 제가 궁금한 것은 한가지입니다.
위의 노무법인 업무경력이 시험을 준비하는 데에 있어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는 부분이 있을까요?
아니면 실무와 시험은 정말 1도 상관없어서 걍 흔한 노베이스로 봐야 할까요...?
아니다 싶으면 아예 진입조차 안 하는 것이 맞으나 저의 이런 경력들 때문에 자꾸 저도 내심 생각해보게 되네요.
이런 글이 혹시 수험생분들에게 실례가 되는 내용이라면 말씀해주시면 바로 삭제하겠습니다.
써치를 많이 해봤는데 저처럼 (아직 생각중인 단계지만) ‘노무법인에서 일하다가 노무사 준비’ 루트는 의외로 찾아보기가 좀 어려워서 과감하게 글을 써 봅니다.
솔직하게 팩폭해주셔도 괜찮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첫댓글 합격하는 경우에는 정말 도움 많이 되는데,, 수험에 있어서는 용어가 보다 친숙하다는 점 외에 큰 메리트는 없지 않을까 싶네요~!
윗분 댓글처럼 해당 경력은 합격 후엔 정말 도움 많이 됩니다.! 다만 수험은 실무와 큰 연관이 없습니다 ㅠㅠ 저도 쭉 인사팀 업무하다 수험 시작했는데 좀 수월하지 않을까 했었는데 아니더라구요..! 😅 결국 합격은 했지만 이건 철저히 수험 공부를 해서 붙은 거구요..ㅎㅎㅎ 대신 실무 경력은 수습근무할 때 정말 도움 많이 됩니다!
체불임금산정, 취규작성, 급여짜기 이런건 노무사일인데 사무원한테 시키네요;;
재직하시는 법인의 노무사님 순수익을 아시는지 모르시는지 모르겠으나 아신다면 수입 측면의 동기부여?
4대보험 하시면 1차 사보때 수월하실것같아요. 실무와 시험은 별개라서 크게 메리트는 없을 것 같습니다. 다만 합격 후 노무법인 가실 때 금방 적응하시고 일 잘하실것같아요!
1차(노동.사보)는 조금의 관련성.
2차는 관련없음. ^^
스펙별 루트에 따른 일반화는 그 누구도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고 다만 통계적인 분석은 가능하겠지만 그 통계를 뛰어넘는 게 또 동기부여의 힘이기에 글쓴이께서 충분히 능력적으로는 된다 생각하지만 정말 이 길을 원하는지만 고민하시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7.13 15:37
제가 그렇게 법인에서 4년 근무하다가 합격한 케이스인데 수험은 크게 도움은 안되었어요. 수험에 있어 이론을 이해하는데 약간의 도움은 되나 결국 암기가 중요한 시험이다 보니 수험 도전하실거면 마음먹고 도전하시길 바래요. 저는 다니면서 1년 병행하고 그다음해 유예로 붙었습니다.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7.19 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