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버이날인 일요일 아침.
이런 날이면 고속도로도 밀리고 어딜가나 사람구경만 하고 오는데.
차라리 쉽고 편하게 동네 꽃구경을 나선다.
점점 운전 하기 싫어져 가는 건 나이탓인가? 게을러져가는 탓인가?

오른 쪽은 황매화 같은데.

지난 주 꽃 봉우리들이 오늘은 화알딱 피었네.

흰 철쭉도 보이고.
몇년전에는 6월 지리산 세석의 하얀 철쭉밭, 소백산의 철쭉 축제도 가보았다.

조용한 아파트 옆의 숲길을 걷는다.
은행나무는 볼수록 경이롭다.
움이 돋아 나올때는 마치 어린애 조막손처럼 잡고 있다
펼치면 부채꼴 잎으로 나타나는 건 모자에서 토끼를 꺼내듯 무슨 마술같다.

신록의 잎은 나무마다 다르고 나무아래의 풀들도 연두빛.
허나 6월이되면 하나의 색으로 통일이 되어 각각의 개성을 잃어버리고.
빌딩 정원에 심어놓은 이꽃은?

우면산 약수터 오르는 길섶의 야생화.
약수터에는 5갤런짜리 플라스틱물통을 두개씩이나 갖고와서 물을 받고 있다.
물론 물한모금 먹으러 가면 언제나 마실수는 있지만서도.

약수터아래 빈터에 언제 튤립을 심어 놓았는데
일주일만 일찍 왔어도 더 좋았을 걸.
아래의 노란 튤립은 벌써 꽃이 지기시작한다.
언젠가 가본 네댈란드 쿠갠호프의 튤립밭이 생각나네.


옆의 차들은 남부순환도로를 지나는 차들.

약수터 아래 흐르는 물이 고여 웅덩이를 만들고.
아직 남아있는 작년의 갈대와 파릇파릇한 수생식물.



하얀 나비 한마리가 이 작은 꽃에 앉았다 날아간다.


숲은 싱그러운 풀냄새와 여러종류들 새들이 노래부르는데.
아무리 좋게 들어주려도 "꿩 꿩"히는 꿩소리는 좀 듣기가 거북.


제비꽃도.

이건 아이리스같은데
파인더를 쓰지 않으니 초점이 잘 안맞구나.

아무도 없는 꽃길을 따뜻한 봄볕아래 혼자 걸으니 세상에 부러운게 없다.

집으로 돌아가는 코스를 잡고
고속도로 서초 인터체인지 옆의 철쭉을 보러가다가.

이건 왕벚꽃?

메타세콰이어 그늘 아래 핀 하얀 철쭉.



철쭉은 여수 영취산과 지리산 바래봉이 유명하나
너무 멀고 오가는 것이 힘이 들고. 올해는 이걸로 가름하자.
바래봉 철쭉밭은 소들을 방목하였더니 독초인 철쭉을 빼고 풀을 다 뜯어 먹어 철쭉만 남았다는 것.
진달래(Azalea)도 독초과.
76년인가 내과학회 잡지에 한양대학에서 발표한 진달래 중독은
26,7명의 보고에서 사망환자는 없었으나 저혈압과 부정맥등이 보고되었다.
주로 진달래 술을 마시다 왔었고
진달래를 욕심부려 왕창 따다가 도수 높은 유기용매인 알코올에 넣었더니
독소가 추출되어 중독된 것이 주이었고
지방 토속주인 면천 진달래술이나 화전은 큰 문제가 없다.

롯데캐슬 홍보관 앞의 자그마한 폭포까지 만들어 놓은 정원?

집으로 가는 길도 역시 꽃길이다.

나오면 만나는 커피집, 다음에는 여기서 커피한잔을 마셔야지.

아파트 정원에 핀 모란.
모란이라면 생각나는 김 영랑의 시 한수.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둘리고 있을 테요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설움에 잠길 테요
오월 어느날 그 하루 무덥던 날
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
천지에 모란은 자취도 없어지고
뻗쳐 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느니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해는 다 가고 말아
삼백 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네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기둘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CULUMN 시작

이건 애기 똥풀이지요?
이렇게 하여 휴일 아침의 한 두시간의 아침 산책이 끝났다.
디카 하나만 달랑 들고 걸어서 약수터 시원한 물한모금 마시고
꽃보고 새노래 들으며 숲의 향기를 맡으며 걸은 소중한 시간.
첫댓글 작가로 나가셔도 좋을 듯....하네요
무슨 과찬의 말씀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