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 불교:삼귀의,삼보,삼사,삼독,수행의 종류,믿음과 지혜가 함께하는 불교
<삼귀의[(三歸依) >
불ㆍ법ㆍ승 삼보에 돌아가 의지, 귀의하는 것. 부처님과 부처님의 가르침 그리고 그 가르침에 따르는 교단에 귀의한다는 뜻. 부처님 당시에 생겨난 의례로서 모든 불교의 행사에서 반드시 행하는 가장 중요한 의례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귀의불양족존(歸依佛兩足尊: 세상에서 가장 존귀하시고 대원(大願)과 수행, 복덕과 지혜를 다 갖추신 부처님께 돌아가 의지합니다), 귀의법이욕존(歸依法離欲尊: 일체의 허망함과 욕심을 떠난 청정한 가르침에 돌아가 의지합니다), 귀의승중중존(歸依僧衆中尊: 일체 대중 가운데서 가장 존귀한 스님들께 돌아가 의지합니다)이라는 삼귀의를 읊으면서 배례를 했는데, 현대에 와서는 찬불가로 의례를 행하기도 한다. 원불교에서도 교단 초기에는 법회시간에 소리 내어 염송했으나, 원불교의 예법이 정립되고 《원불교교전》이 출판된 이후로는 법회순서에서 빠지게 되었다.
<불교의 삼보(三寶)>
불교에서 가장 가치 있고 귀중하게 여기는 세 가지 보배라는 뜻으로 ‘부처님(佛)’과 ‘부처님이 설하신 법(法)’, 그리고 그 가르침을 수행 실천하는 ‘스님(僧)’을 말하는 것입니다
삼보 가운데서도 중심이 되는 것은 ‘법’, 즉 부처님께서 깨닫고 가르친 진리입니다. 불(佛)은 법(法)를 깨우친 분이며, 승(僧)는 법을 이해하고 실천함으로써 부처님과 같은 경지에 도달하고자 뜻하는 수행자를 말합니다.
불보(佛寶)
부처님의 원래 말은 인도의 산스크리트어 ‘깨달은 자’를 뜻하는 ‘붓다(Buddha)’를 음역한 ‘부처’를 높여서 부르는 말입니다. 중국어로 한역(漢譯)하면 ‘불타(佛陀)’라고 하며 흔히 약칭하여 ‘불(佛)’ 이라고도 합니다. 따라서 깨달음을 얻은 자는 누구나 부처이고 또 깨달음의 가능성은 누구에게나 있으므로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는 것입니다.
경전에 의하면 석가모니불 이전에도 여러 부처님이 계셨고 미래에는 미륵불이 출현할 것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불사상(多佛思想)은 기원전 1세기경 나타난 대승불교에서 더욱 발전하여 과거불, 미래불 뿐만 아니라, 현재에도 다른 세계에 무수한 부처들이 있어 법을 가르치고 계신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처럼 부처님은 시간과 공간에 따라 혹은 형상에 따라 숫자에 관계없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흔히 말하는 부처, 즉 불타는 BC 6세기쯤에 인도 카필라국에서 출생하여 태자(太子)의 지위를 버리고 출가하여 일체의 번뇌를 끊고 우주의 참진리를 알아서 깨달음을 이루어 중생을 위해 설법하고 깨우쳐 주었던 석가모니을 존경하여 일컫어 부르고 있습니다.
법보(法寶)
법(法)은 인도의 산스크리트어 ‘다르마(Dharma)’의 한역어(漢譯)로써 부처님의 가르침이며 부처님께서 깨달은 진리를 말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법이란 부처님께서 스스로 깨달은 현상세계의 실상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가르침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들을 전하고 해석한 것이 불교경전인 것입니다.
초기의 불제자들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법’과 ‘율’이라는 두 가지로 분류하였고 나중에 이 법은 경장으로, 율은 율장으로 발전하였으며 이것들을 주석한 논서들은 논장으로 분류되었습니다. 이 경장 율장 논장을 삼장(三藏)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삼보중의 법보는 부처님의 가르침인 교법(敎法)을 가리킨다고 할 수 있습니다.
석가모니 부처님은 마지막 설법에서 “네 자신을 등불로 삼고, 법을 등불로 삼아라”라고 하셨으며 “내가 설한 법과 율이야말로 내가 멸한 후 그대들의 스승이 되리라.” 라고 한 것 등은 모두 법(法)의 절대적인 영원 불변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승보(僧寶)
인도의 산스크리트어 상가(samgha)를 한역(漢譯)하여 ‘승가(僧伽)’또는 줄여서 ‘승(僧)’이라고 하는데 원래는 ‘일정한 목적을 위하여 사람들이 하나로 연합된 단체’를 일컫는 말이었으나 불교에서는 출가수행자(出家修行者)의 교단(敎團)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습니다.
승가(僧伽)의 출가수행자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닦고 실천하며, 널리 펼치고, 발전시키고, 번역하고, 유지하는 책임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부처님과 부처님의 가르침과 더불어 귀중한 불교의 삼보로써 존중되어지고 있습니다.
최초의 승가는 석가모니께서 깨달음을 얻은 후 녹야원(鹿野苑)으로 가서 함께 수행한 적이 있는 다섯 수행자를 교화(敎化)하여 제자로 삼았는데, 이때 처음으로 승가의 출발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출가수행자인 비구(比丘) · 비구니(比丘尼)만 아니라, 재가신자(在家信者)인 우바새(優婆塞:近善男 재가남성신자) · 우바이(優婆夷:近善女 재가여성신자)를 포함한 4부대중(四部大衆)으로 구성되었으나, 점차 출가수행자의 단체만을 일컫는 말이 되었습니다.
<삼사(三事)>
예불(禮佛) - 부처님께 예를 올리는 것.
공양(供養) - 식사하는 것.
울력(運力) - 대중이 함께 일하는 것.
* 불공(佛供)
부처님께 공경하는 마음으로 향.등불.꽃.차.과일 등의 공양물을 올리는 것이다.
부처님 당시에는 생존해 계신 부처님과 스님들께 공양을 올렸으나
입멸하신 후에는 부처님의 사리탑이나 불상.탱화 등을 숭배의 대상으로 하여 거기에 공양을 올렸다.
< 삼독(三毒)>
탐(貪) - 탐욕
진(瞋) - 분노
치(癡) - 어리석음
이 탐(貪), 진(瞋), 치(癡)의 번뇌가
사람의 몸과 마음을 독으로 물들인다.
·<수행(修行)의 종류>
독경(讀經), 독송(讀誦) - 소리를 내어 경전을 읽는 것.
독경은 부처님의 가르침에 깊은 믿음을 내고 감사하고 환희하는 마음으로 목소리를 내어 일심으로 불경을 외우거나 읽는 것을 말한다. 또한 독경은 법문을 굴린다는 뜻으로 전경(轉經)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인 법회에서 많이 독송하는 반야심경을 비롯하여 천수경, 금강경, 화엄경, 아미타경, 능엄경, 지장경, 부모은중경, 고왕경, 천지팔양신주경, 몽수경등의 경전외에 초발심자경문, 무상계, 의상조사 법성게, 화엄경 약찬게, 백팔대참회문, 이산혜연선사 발원문, 나옹화상발원문, 경허선사 참선곡 등이 있다.
사경(寫經) - 경전을 쓰는 것.
간경(看經) - 무슨 뜻인지 의미하며 경전을 보고 읽는 것.
염불(念佛) - 입으로 불보살님의 명호를 부르고
마음으로 불보살님을 간절히 생각하고
떠올리는 것.
절 - 신체를 움직여 존경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것.
주력(呪力) - 부처님의 진언을 외우는 수행.
천수대비주, 능엄주, 광명진언등을 암송하는 것.
진언(眞言) = 부처님 가르침을 응축한 진실한 말
선(禪):마음을 가다듬고 정신을 통일하여 깨달음의 경지에 도달하게 하는 불교수행법.
선(禪)의 종류 :간화선(看話禪), 위빠사나(vipassana), 사마타(samat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