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cafe/9992C74F5A87854904)
컬링
얼음판(빙판) 위에서 하는 경기.
그러나 빙상경기가 아닌 구기종목으로 분류하며
얼음 위에서 하는 종목이지만 스케이트 대신 바닥이 잘 미끄러지는 재질로
특수 제작된 경기화를 신으며, 4명의 선수가 한 팀을 이루어 하우스라고 불리는
얼음을 깐 경기장 내의 표적을 향해 스톤을 투구하여 점수를 겨루는 경기이다만
일반인들 머릿속에 있는 컬링은 닥치고 빙판을 빗자루로 쓱싹쓱싹하는
빗자루질하는 경기로 생각한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DE75495A8787B105)
![](https://t1.daumcdn.net/cfile/cafe/994B714F5A87880B03)
‘컬링 스톤’(curling stone) 은 원반 형태의 두꺼운 돌이다.
무게는 17~20 kg(38~44파운드)이며 윗쪽에는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허용되는 최대 둘레 길이는 91 cm(36인치)이며, 최소 높이는 11 cm(4.5인치)이다.
손잡이는 볼트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것을 이용해 스톤을 잡고, 회전을 줄 수 있다.
회전하는 스톤은 앞으로 나가면서 회전하는 방향으로 휘게(curl) 된다.
손잡이에는 팀을 구분하기 위해 색이 칠해져 있으며, 메이저 대회에서 주로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색상은 빨간색과 노란색이다.
스톤이 빙판과 맞닿는 부분은 ‘러닝 서피스’(running surface)라 불린다.
이 부분은 6.3~13mm(0.25~0.50인치) 너비의 띠 형태로 이루어진
지름 130mm(5인치)의 원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원 안쪽에는 오목한 공간이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6C214D5A8786EF04)
규칙, 점수
사실 규칙을 알고 나면 바둑의 변형판인 소위 알까기와
당구(특히 포켓 당구, 포켓볼이라 알고 있는 그것)의 혼합 응용 버전이라 보면 된다.
특히 알까기랑 비슷하다. 컬링 스톤을 바둑알로 비유하고
바둑알을 치는 사람 손가락을 스톤을 밀고 바닥을 쓸며 의도대로 속도 조절하며
움직이는 선수들이라고 비유하면 가장 핵심에 근접하다.
알까기가 자신의 알은 최대한 살리면서 자신의 알로 상대방 바둑알은 낙사시켜
결국 판 위에 자신의 알이 가장 많이 남게 하는 종목인 것처럼
컬링 역시 원 안에 자기편의 말을 얼마나 많이 남기느냐, 상대편 스톤을 얼마나
조금이라도 더 원 밖으로 멀리 쳐내느냐를 겨루는 종목이기 때문이다.
컬링은 남녀각각 단체 ,남녀혼성(믹스더블) 3개의 메달이 걸려 있는 종목입니다.
남녀 단체전은 한경기 10엔드 팀당 8개의 스톤을 투구합니다.
믹스더블은 한경기 8엔드 팀당 5개의 스톤을 투구합니다.
승리는 전체 엔드가 끝난 후 점수의 합이 높은 팀이 승리를 하는데요.
점수 계산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점수는 중앙에 가장 가까운 스톤의 주인이 그 엔드를 승리하며,
상대방 스톤중 중앙에 가장 가까운 스턴의 안쪽에 위치한
우리팀 스톤수만큼 점수를 획득합니다.
그림1
![](https://t1.daumcdn.net/cfile/cafe/993CA04B5A87864208)
위 상황에서는 노란 스톤이 중앙에 가깝기 때문에 승리이며 점수는 1점입니다.
그림2
![](https://t1.daumcdn.net/cfile/cafe/999CD54D5A8786663C)
위 상황은 빨간 스톤이 중앙에 가깝기 때문에 빨간색 승리 점수 1점입니다.
그림3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E4B4C5A87868B0E)
위 상황은 빨간색이 중앙에 가까워 빨간색 승리, 상대편 중앙에서 가장 가까운 노란 스톤안으로 빨간 스톤이 3개있기 때문에 발간팀 3점이 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3E44435A8786C535)
첫댓글 좋은 정보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