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엄 아닌 계몽’ 우파가 잠에서 깨어나고 있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이 40%를 기록하는 등 탄핵 정국의 한복판에서 민심이 요동치고 있다. 비상계엄을 내란으로 간주하는 좌파의 정치 공세가 한동안 여론을 주도했지만 최근에는 온라인 댓글, 유튜브 영상, 길거리 시위 등에서 우파의 반격이 두드러진다. 거대한 민심의 흐름이 바뀌기 시작했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이런 변화가 전면화한 계기는 지난해 12월 12일 윤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였다. 이 담화에서 윤 대통령은 계엄령에 대해 ‘국민들에게 위기 상황을 알려드려 헌정 질서와 국헌을 지키고 회복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또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와 헌정 질서를 지키기 위해 내린 대통령의 헌법적 결단이자 통치행위가 어떻게 내란이 될 수 있느냐"고 반박하기도 했다.
이 담화는 애국시민들과 지식인들의 공감과 호응을 불러일으켰다. 대부분의 언론은 비상계엄에 대한 법적 판단이 내려지기도 전에 ‘내란’을 기정사실화했으나 시민들이 ‘그건 아니다’고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것이다. 포털 사이트의 관련 기사 댓글은 9 대 1 정도로 윤 대통령 지지가 우세하다. 우파 시민들의 역사적 이성이 깨어나고 있다.
조기 대선을 통해 이재명의 사법 리스크에서 탈출하려는 민주당의 폭주, 공수처의 억지도 시민들 분노를 폭발시켰다. 내란죄를 탄핵 소추 논거에서 슬그머니 빼는가 하면, 내란죄 수사권도 없는 공수처는 관할 법원을 바꾸는 ‘판사 쇼핑’을 통해 대통령 체포영장을 청구했다. 판사는 멋대로 법의 규정을 바꾸면서까지 영장을 내주었다. 21세기 대한민국에서 벌어지는 일이라고 믿기 힘든 난맥상이 애국시민들 분노에 불을 질렀다. 대한민국이 잘못되어가고 있다는 위기의식이 혹한의 날씨에도 시민들을 대통령 관저 주위로 결집시키고 있다.
대통령을 지키자는 한강진역 집회에는 60~70대 어르신들뿐만 아니라 20~30 청년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 심지어 젊은 여성들도 적지 않다. 할아버지들과 손자들이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손잡은 ‘조손(祖孫) 연합’이다. ‘계엄이 아니라 계몽’이라고도 한다. 민주당은 윤 대통령의 지지율이 40%대로 나온 여론조사를 "고발하겠다"고 떠들어댄다. 시민들의 입을 억지로 틀어막겠다는 협박이다. 타오르는 불길에 기름을 끼얹는 민주당은 그 불길에 가장 먼저 던져질 것이다.
관련기사
자유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