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 달항아리
목차
1. 개요
2. 내용
1. 개요
白磁 壺. 조선 후기, 17세기 말엽부터 18세기 중반(숙종 ~ 영조) 쯤에 만들어진 조선백자 양식. 현재 용인대학교 박물관, 삼성미술관 리움, 국립고궁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국보 제262호, 제309호, 제310호, 대한민국 보물 제1437호, 제1438호, 제1439호, 제1441호로 지정되어 있다.
2. 내용
조선 후기, 숙종 ~ 영조년간에 형성된 커다란 백자 항아리 양식으로, 조선 시대 백자의 특징인 온화한 백색과 유려한 곡선, 넉넉하고 꾸밈없는 형태를 고루 갖추어진 항아리로 인정받는다. 매력적인 볼륨감과 질감, 형태, 공간감을 가졌기 때문에 국외에서도 달항아리를 주로 찾는 도예가들이 보이곤 한다. 예로 2023년 3월 달항아리는 크리스티스에서 60억원에 경매되었고 9월 소더비스에서는 47억에 거래되었다.
국보 제262호는 용인대학교에, 국보 제309호는 삼성미술관 리움에, 국보 제310호는 국립고궁박물관, 보물 제1437호는 국립중앙박물관에, 보물 제1438호는 서울 종로구의 김영무(개인)이, 보물 제1439호는 서울 영등포구의 최상순(개인)이, 보물 제1441호는 아모레퍼시픽 미술관에서 각각 소장하고 있다.
조선 후기 한국의 도자문화를 대표하는 도자기로 유명하다.
백자는 태토가 그닥 견고하지 않아서, 한번에 달항아리 형태를 크게 차내면 기울어지거나 무너지기 쉽다. 때문에 두개의 반원을 차낸 후, 건조시켰다가 이 둘을 흙물로 접합하는 방식으로 만들곤 한다.
달항아리의 쓰임새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설이 있지만 정확히 입증된 것은 아직 없다. 기름이나 꿀과 같은 액체 혹은 곡식을 담는 저장용이나 꽃을 꽂아 장식하는 용도, 궁중에서 공용 간이 화장실 용도로 사용되었을 가능성 등이 제기되었지만 불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