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산 남인희화백님의 카톡에서]
모란동백
『모란은 벌써 지고 없는데 먼 산에 뻐꾸기 울면
상냥한 얼굴 모란 아가씨 꿈속에 찾아오네
세상은 바람 불고 고달파라
나 어느 변방에 떠돌다 떠돌다
어느 나무 그늘에 고요히 고요히 잠든다 해도
또 한 번 모란이 필 때까지 나를 잊지 말아요
동백은 벌써 지고 없는데 들녘에 눈이 내리면
상냥한 얼굴 동백 아가씨 꿈속에 웃고 오네
세상은 바람 불고 덧없어라
나 어느 바다에 떠돌다 떠돌다
어느 모랫벌에 외로이 외로이 잠든다 해도
또 한 번 동백이 필 때까지 나를 잊지 말아요』
이 '모란동백'은 이제하의 詩로써 작곡에 노래까지 혼자서 다 했습니다. 원래의 제목은 “김영랑, 조두남, 모란, 동백”으로 1937년생인 그가 회갑기념으로 1997년에 내놓았습니다. 그는 “모란이 피기까지는"을 쓴 문학가 김영랑과 ‘선구자’를 작곡한 작곡가 조두남을 존경해서 이 詩를 썼다고 합니다. 그리고 노래화된 이 시를 조영남이 리메이크하여 부르면서 지금의 ‘모란동백’으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이제하는 시인이자 소설가, 화가, 그리고 작곡가이며 가수이기도 했습니다. 정말 다재다능한 사람이었으며, 한국의 ‘밥 딜런’이라 하여도 손색이 없을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1953년 경남의 명문 마산고에 입학하였는데, 당시 마산고등학교에는 시인 김춘수와 김남조, 시조시인 김상옥, 음악가 윤이상, 화가 전혁림 등 쟁쟁한 인물들이 교사로 있었습니다. 문학적, 예술적 토양이 매우 비옥하여 그 영향을 많이 받게 되었던 것입니다.
해방 이후 남쪽지방의 중.고교에는 히로시마 師大 출신 교사들이 많았다고 합니다. 히로시마가 원폭으로 초토화되면서 그 학교의 학적부가 불타버렸는데, 이런 연유로 무자격 교사가 자신의 출신을 히로시마 師大로 둘러댔습니다. 그렇지만 당시 마산고에는 히로시마 師大 출신 대신 훗날 교과서에 등장하는 문화예술계 거목들이 재직하고 있었고, 이것이 천재 이제하에게는 큰 축복이었습니다.
여하튼 이 '모란 동백'을 접하면 무척이나 감상적인 느낌이 듭니다. ‘세상은 바람불고 덧없어라’... ‘나 어느 변방에 떠돌다 떠돌다’...'모란이 필때까지 나를 잊지말아요' 등등...
그러해서 그런지 이 시를 노래로 리메이크해서 본격적으로 유행시킨 조영남은 자기가 죽으면 장례식장에서 꼭 이 노래를 장송곡으로 틀어달라고 하였다고 합니다.
끝으로, 이 모란동백을 조영남 노래로 다시 한번 들어봅니다.
https://youtu.be/h47OKnH9ccU
======================
🐞고개를 숙이면 부딪치는 법이 없다.🐞
열 아홉의 어린 나이에 장원 급제를 하여
스무 살에 경기도 파주 군수가 된 맹사성은 자만심으로 가득 차 있었다.
어느 날 그가 무명 선사를 찾아가 물었다.
˝스님이 생각하기에 이 고을을 다스리는 사람으로서
내가 최고로 삼아야 할 좌우명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오?˝
그러자 무명 선사가 대답했다.
˝그건 어렵지 않지요.
나쁜 일을 하지 말고 착한 일을 많이 베푸시면 됩니다.˝
˝그런 건 삼척 동자도 다 아는 이치인데
먼 길을 온 내게 해 줄 말이 고작 그것뿐이오?˝
맹사성은 거만하게 말하며 자리에서 일어나려 했다.
그러자 무명 선사가 녹차나 한 잔 하고 가라며 붙잡았다.
그는 못이기는 척 자리에 앉았다.
그런데 스님은 찻물이 넘치도록 그의 찻잔에 자꾸만 차를 따르는 것이 아닌가.
˝스님, 찻물이 넘쳐 방바닥을 망칩니다.˝
맹사성이 소리쳤다.
하지만 스님은 태연하게 계속 찻잔이 넘치도록 차를 따르고 있었다.
그리고는 잔뜩 화가 나 있는 맹사성을 물끄러미 쳐다보며 말했다.
˝찻물이 넘쳐 방바닥을 적시는 것은 알고,
지식이 넘쳐 인품을 망치는 것은 어찌 모르십니까?˝
스님의 이 한마디에 맹사성은 부끄러움으로 얼굴이 붉어졌고
황급히 일어나 방문을 열고 나가려고 했다.
그러다가 문에 세게 부딪히고 말았다.
그러자 스님이 빙그레 웃으며 말했다.
˝고개를 숙이면 부딪히는 법이 없습니다.˝
=====================
♡ 시든꽃 ♡
가을이 내리던 날
요양 병원문을 아들의 손을 잡고 들어서는 할머니 한 분이 있었다.
"엄마…여기 한 달만 있으면 다시 데리러 올게"
"이 엄마 걱정은 말고 어여가"
"엄마 ,걱정하지 마
딱 한 달만 있으면 돼 알았지?."
행복해지고 싶다는 생각이
욕심이 되어버린 현실 앞에
무너져 내릴 수밖에 없었던
두 사람은,
추락하는 눈물에 들어있는
아픔으로
서로를 배웅하고 헤어진 뒤,
엄마가 잠들지 않는 바다를
닮아가고 있는 걸 알았는지
아들은 한 달 뒤
겨울의 문턱을 밟으며 병원을
들어서고 있었다.
"엄마…. 미안해"
"늙은 이 애미 걱정을 말고
젊은 너 걱정이나 혀"
바람길 숭숭 난 가슴을 애써 숨긴 아들은 병원 앞마당에 핀 들꽃을 한아름 꺾어와
빈화병에 꽂아두며,
"엄마….
저 꽃병에 꽃이 시들기 전에
꼭 다시 와서 엄마 데리고 나갈게"
희망 같은 내일을
기다리고 있던
할머니의 귀에
다른 가을이 와도 아들의 발소리는
들려오질 않았지만,
꽃이 시들면
아들이 돌아오지 않을까 봐,
매일 매일 "시든꽃"
병에 눈물을 채워 넣으며 아들을 바라보듯
웃음짓기만 하는 할머니를 보며,
"할머니…
꽃이 다 시들었는데 제가 버려드릴게요"
"안 돼! 손대지 말어"
"시든꽃" 이라도 아름다워서일까?
세월바람에 꾸덕꾸덕
말라져 가는 꽃들을
매일 매일 눈에 넣으려
간호사의 호의조차 거절한 할머니는,
행여나 그 꽃이 사라지면
기다리는 아들이 오지
않을까 봐,
만날 순 없어도
느낄 순 있다는 듯
"시든꽃"만 온종일 바라보고
있는걸 보며 병실 안 사람들은 수군거리기 시작했다.
"딱 보면 몰러…..
아들이 버리고 간 거지"
"현대판 고려장이 따로 없지"
깎아지른 인생길에
다시 찾아온 가을이
문을 닫고 가버린 자리에,
또 다른 얼굴을 내민 가을따라
마디마디 심어놓은 서러움으로
하루를 버티시던 할머니는,
바람 한 장보다
가벼웠던 삶을 지우고
기다림이 없는 하늘나라로
떠난 병실에는,
"시들어버린 꽃만"이
오지 않는 아들을 기다리고
있을 뿐이었다.
백만 번 시들어도
기다리고픈 엄마의 마음을
말해주려는 듯이~♡
글을 읽고 마음 속으로 몇번이나 눈물을 삼켰는지 모릅니다...
(펌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