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서 보면
콘크리트설계법에..
1허용응력설계법
2강도설계법
3극한상태설계법
이렇게 3가지 있는데요 강도설계법,한계상태설계법에 대해서 자세히 안나온것 같아서요//
2,3의 차이 계념말고 구하는 방법
강도 설계법은 사용하중*하중계수 가 설계강도*강도저감계수 보다 작게해야한다는건 알겠어요
한계상태설계법은 어떻게 구하죠? 학률론에 근거했다고만 나와있는데... 구체적인 예좀..부탁드릴게요
2,와3을 구분하지 않은 기본서도 있더군요.
그리고
강도설계법에서 강도저감계수 기본서에 안나온것 같은데...(공부하다 아무리찾아도 안보임ㅠ)
●축인장/휨모멘 or 휨+축인장 ->0.9
●전단 및 비틀림 -> 0.85
맞나요?
첫댓글 강도 감소계수는 책 76(06년도 초판) 페이지에 나와있구요.. 글구 0.9 도 될수있고 0.85도 될수있으니 다 외우셔야 할것 같으네요.... <요건 저의경우>
한계상태설계법은 철골구조물의 설계를 말합니다. 기본 개념은 외력에 대해서는 하중의 증가를 고려하고, 내력, 즉 강도에 대해서는 감소계수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철콘에서는 이 설계법을 강도설계법, 강구조에서는 한계상태 설계법이라고 하는 것이고요...
강도설계법에서 강도 감소계수의 경우 휨인장 0.85이나 품질관리가 양호한 상태라는 가정하에 0.05를 추가할 수 있으므로, 조건 없으면 0.85, 품질관리 특성에 대한 조건이 부기되면 0.9가 되고, 마찬가지로 전단에 대해서도 기본은0.8, 품질관리 특성 조건 부여시 0.85가 됩니다.
한계상태설계법, 소성설계법에 대해서는 강구조, 즉, 철골파트에 상세히 소개되고 있고, 부록 부분에는 강구조학회에서 제정하는 기본적인 용어와 규정에 대하여 논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