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개 1: 8 산으로 올라가라 ( 2 )
2) 감람(Olives) 산 - 5) 느보(Nebo) 산
2) 감람(Olives) 산
예루살렘 동편 높이 814 미터의 산으로 감람나무가 많아서 감람산이라 하였다.
* 막 14: 32 - 그들이 겟세마네라 하는 곳에 이르매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내가 기도할 동안에 너희는 여기 앉아 있으라. 하시고
감람원
* 행 1: 12 - 제자들이 감람원이라 하는 산으로부터 예루살렘에 돌아오니 이 산은 예루살렘에서 가까워 안식일에 가기 알맞은 길이라.
승천 산, 멸망 산, 선지 산
* 왕상 11: 7 - 모압의 가증한 그모스를 위하여 예루살렘 앞 산에 산당을 지었고, 또 암몬 자손의 가증한 몰록을 위하여 그와 같이 하였으며
* 왕하 23: 13 - 또 예루살렘 앞 멸망의 산 오른쪽에 세운 산당들을 왕이 더럽게 하였으니 이는 옛적에 이스라엘 왕 솔로몬이 시돈 사람의 가증한 아스다롯과 모압 사람의 가증한 그모스와 암몬 자손의 가증한 밀곰을 위하여 세웠던 것이며
겟세마네 동산
* 마 26: 36 - 이에 예수께서 제자들과 함께 겟세마네라 하는 곳에 이르러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내가 저기 가서 기도할 동안에 너희는 여기 앉아 있으라. 하시고
다윗이 압살롬의 난을 이곳에서 피하였다.
* 삼하 15: 30 - 다윗이 감람 산 길로 올라갈 때에 그의 머리를 그가 가리고 맨발로 울며 가고, 그와 함께 가는 모든 백성들도 각각 자기의 머리를 가리고 울며 올라가니라.
* 삼하 16: 1-3 - 1 다윗이 마루턱을 조금 지나니 므비보셋의 종 시바가 안장 지운 두 나귀에 떡 이백 개와 건포도 백 송이와 여름 과일 백 개와 포도주 한 가죽부대를 싣고 다윗을 맞는지라. 2 왕이 시바에게 이르되, 네가 무슨 뜻으로 이것을 가져왔느냐? 하니 시바가 이르되, 나귀는 왕의 가족들이 타게 하고, 떡과 과일은 청년들이 먹게 하고, 포도주는 들에서 피곤한 자들에게 마시게 하려 함이니이다. 3 왕이 이르되, 네 주인의 아들이 어디 있느냐? 하니 시바가 왕께 아뢰되, 예루살렘에 있는데, 그가 말하기를 이스라엘 족속이 오늘 내 아버지의 나라를 내게 돌리리라 하나이다. 하는지라.
예수님은 이 산의 선지봉과 멸망봉 사이로 나귀를 타고 입성하셨다.
* 마 21: 9 - 앞에서 가고 뒤에서 따르는 무리가 소리 높여 이르되, 호산나 다윗의 자손이여 찬송하리로다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가장 높은 곳에서 호산나 하더라.
만찬을 잡수신 후 이 산으로 가심
* 마 26: 30 - 이에 그들이 찬미하고 감람 산으로 나아가니라.
예수께서 낮이면 성전에서 가르치시고 밤이면 나가 감람원이라 하는 산에서 쉬셨다.
* 눅 21: 37 - 예수께서 낮에는 성전에서 가르치시고 밤에는 나가 감람원이라 하는 산에서 쉬시니
4개의 봉우리를 가진 조그마한 언덕으로, 이 감람산은 예루살렘 동쪽, 기드론 계곡 건너편에 있는 산이다. 예루살렘 보다 약 90m가 높기 때문에 이곳에서는 예루살렘 전체가 한 눈에 들어온다.
예수님 당시에는 나무가 우거져 있었으나, A. D 1세기경에 숲이 다 망가져 버렸다. 유대인들은 이 산을 출발점으로 하여 일련의 봉화들을 밝혀두곤 하였는데, 바벨론으로 끌려간 동족들에게 새로운 달이 시작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함이었다.
유대인들은 죽은 자들이 감람산 위에서 부활할 것이라고 믿고 있으며, 그런 까닭에 예부터 이곳 감람산은 무덤 지역으로 자리 잡았다.
3) 그리심(Gerizim) 산
요단 서편. 세겜의 남서쪽 지중해 해발 약 881m 현재 예벨 엣 토르(Jebel et-Tor)이다. 이 산은 사마리아 인들의 예배 중심지였다.
* 신 11: 29 -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가 가서 차지할 땅으로 너를 인도하여 들이실 때에 너는 그리심 산에서 축복을 선포하고 에발 산에서 저주를 선포하라.
이 산에서 시므온, 레위, 유다, 잇사갈, 요셉, 베냐민의 6지파를 축복하였다.
* 신 27: 12 - 너희가 요단을 건넌 후에 시므온과 레위와 유다와 잇사갈과 요셉과 베냐민은 백성을 축복하기 위하여 그리심 산에 서고
에발산과 그리심산 사이에 있는 아랍인의 도시로, 사마리아 지방의 중심지며, 예루살렘에서 정북쪽으로 50Km쯤 떨어져 있다.
아랍인들은 나블루스(Nablus)라고 한다. 여기에 야곱의 우물이 있어 성지 순례자들이 반드시 찾는다.
에발산은 저주받은 산으로, 그리심 산은 축복받은 산으로 성경에 예시되어 있다. 실제로 오른쪽의 에발산은 메말라 나무가 없고, 왼쪽의 그리심 산에는 수목이 울창하다.
유대인들의 예루살렘과 같이 사마리아인들에게 성산으로 여겨지고 있는 산이다. 이 그리심 산 맞은편엔 해발 940m의 에발 산이 있다. 모세는 그리심 산을 축복의 산, 그리고 에발 산을 저주의 산으로 불렀다(신 27: 12-14).
후에 여호수아는 모세의 명대로 그리심 산과 에발 산에 각 지파를 나누어 세우고 축복과 저주의 말씀을 낭독하였다.
* 수 8: 33 - 온 이스라엘과 그 장로들과 관리들과 재판장들과 본토인뿐 아니라 이방인까지 여호와의 언약궤를 멘 레위 사람 제사장들 앞에서 궤의 좌우에 서되, 절반은 그리심 산 앞에, 절반은 에발 산 앞에 섰으니, 이는 전에 여호와의 종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에게 축복하라고 명령한 대로 함이라.
현재도 매년 유월절이 되면 사마리아인들은 모세의 지시에 따라 그리심 산에서 전통적인 유월절 행사를 한다. 그리심 산 정상에 사마리아인들의 제단인 텔 에라스(Tel er-Ras)에서 행해지는 유월절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어린양을 잡는 예식이다.
출애굽기 12장에 따라 양을 잡아 물을 뿌리고, 털을 벗겨내고 기름을 제거하여 이들을 태워 버린다. 양의 앞발은 잘라 제사장에게 드려지고 나머지 부분은 깨끗이 닦아 소금을 치고 구워진다. 기도와 더불어 예식이 끝난 후 이 고기는 예복을 입고 신발을 신은 사마리아인들에게 한하여 급하게 먹는다.
먹기를 마친 후 뼈와 뿔 그리고 남은 모든 것은 불에 태워진다. 사마리아인들의 유월절 행사는 때마침 이곳을 찾은 방문객에 많은 매력을 제공한다.
그리심 산의 정상에는 또 하나의 성지가 있는데 사마리아인들에 의해서 모리아 산으로 믿어지고 있는 곳이다. 유대인들이 예루살렘의 모리아 산과 상반되는 것으로서 사마리아인들은 아브라함이 이곳 그리심 산 정상에서 아들 이삭을 번제로 드리려 했다고 한다.
4) 길보아(Gilboa) 산
사마리아와 갈릴리 사이. 벧엘 서쪽 10km 지점의 해발 597m의 산악도시.
* 삼상 28: 4 - 블레셋 사람들이 모여 수넴에 이르러 진 치매 사울이 온 이스라엘을 모아 길보아에 진 쳤더니
* 삼상 31: 1 - 블레셋 사람들이 이스라엘을 치매 이스라엘 사람들이 블레셋 사람들 앞에서 도망하여 길보아 산에서 엎드러져 죽으니라.
* 삼하 1: 6 - 그에게 알리는 청년이 이르되, 내가 우연히 길보아 산에 올라가 보니 사울이 자기 창에 기대고 병거와 기병은 그를 급히 따르는데
* 삼하 21: 12 - 다윗이 가서 사울의 뼈와 그의 아들 요나단의 뼈를 길르앗 야베스 사람에게서 가져가니 이는 전에 블레셋 사람들이 사울을 길보아에서 죽여 블레셋 사람들이 벧산 거리에 매단 것을 그들이 가만히 가져온 것이라.
* 대상 10: 1 - 블레셋 사람들과 이스라엘이 싸우더니 이스라엘 사람들이 블레셋 사람들 앞에서 도망하다가 길보아 산에서 죽임을 당하여 엎드러지니라.
사울과 그의 아들 요나단이 전쟁에서 패하여 전사했다. 사울이 길보아 전투에서 죽은 후에 헤브론에서 다윗이 유다지파의 왕으로 추대되었다(삼하 2장).
다윗은 남쪽의 두 지파(유디와 베냐민)과 북쪽의 열 지파를 하나로 묶어 이스라엘의 세력을 확장했으며, 블레셋을 평정하고 시리아를 침공하여 제국을 형성하게 되었다.
* 삼하 8: 1-12 - 1 그 후에 다윗이 블레셋 사람들을 쳐서 항복을 받고 블레셋 사람들의 손에서 메덱암마를 빼앗으니라. 2 다윗이 또 모압을 쳐서 그들로 땅에 엎드리게 하고 줄로 재어 그 두 줄 길이의 사람은 죽이고 한 줄 길이의 사람은 살리니 모압 사람들이 다윗의 종들이 되어 조공을 드리니라. 3 르홉의 아들 소바 왕 하닷에셀이 자기 권세를 회복하려고 유브라데 강으로 갈 때에 다윗이 그를 쳐서 4 그에게서 마병 천칠백 명과 보병 이만 명을 사로잡고 병거 일백 대의 말만 남기고 다윗이 그 외의 병거의 말은 다 발의 힘줄을 끊었더니 5 다메섹의 아람 사람들이 소바 왕 하닷에셀을 도우러 온지라. 다윗이 아람 사람 이만 이천 명을 죽이고 6 다윗이 다메섹 아람에 수비대를 두매, 아람 사람이 다윗의 종이 되어 조공을 바치니라. 다윗이 어디로 가든지 여호와께서 이기게 하시니라. 7 다윗이 하닷에셀의 신복들이 가진 금 방패를 빼앗아 예루살렘으로 가져오고 8 또 다윗 왕이 하닷에셀의 고을 베다와 베로대에서 매우 많은 놋을 빼앗으니라. 9 하맛 왕 도이가 다윗이 하닷에셀의 온 군대를 쳐서 무찔렀다 함을 듣고 10 도이가 그의 아들 요람을 보내 다윗 왕에게 문안하고 축복하게 하니, 이는 하닷에셀이 도이와 더불어 전쟁이 있던 터에 다윗이 하닷에셀을 쳐서 무찌름이라. 요람이 은 그릇과 금 그릇과 놋 그릇을 가지고 온지라. 11 다윗 왕이 그것도 여호와께 드리되, 그가 정복한 모든 나라에서 얻은 은금 12 곧 아람과 모압과 암몬 자손과 블레셋 사람과 아말렉에게서 얻은 것들과 소바 왕 르홉의 아들 하닷에셀에게서 노략한 것과 같이 드리니라.
5) 느보(Nebo) 산
바벨론 신 느보에서 유래한 이름과 고지나 높은 곳을 의미하는 아랍어에서 온 '네보'로서 지리적 위치를 나타낸다.
느보성은 르우벤 지파가 건설함
* 민 32: 3 - 아다롯과 디본과 야셀과 니므라와 헤스본과 엘르알레와 스밤과 느보와 브온
* 대상 5: 8 - 벨라니 벨라는 아사스의 아들이요 세마의 손자요 요엘의 증손이라 그가 아로엘에 살면서 느보와 바알므온까지 다다랐고
높이 805 미터, 모세가 죽기 전에 이산에 올라가서 가나안을 내려다보았다.
* 민 33: 47 - 알몬디블라다임을 떠나 느보 앞 아바림 산에 진을 치고
* 신 32: 49 - 너는 여리고 맞은편 모압 땅에 있는 아바림 산에 올라가 느보 산에 이르러 내가 이스라엘 자손에게 기업으로 주는 가나안 땅을 바라보라.
* 신 34: 1-4 - 1 모세가 모압 평지에서 느보 산에 올라가 여리고 맞은편 비스가 산꼭대기에 이르매 여호와께서 길르앗 온 땅을 단까지 보이시고 2 또 온 납달리와 에브라임과 므낫세의 땅과 서해까지의 유다 온 땅과 3 네겝과 종려나무의 성읍 여리고 골짜기 평지를 소알까지 보이시고 4 여호와께서 그에게 이르시되, 이는 내가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에게 맹세하여 그의 후손에게 주리라 한 땅이라. 내가 네 눈으로 보게 하였거니와 너는 그리로 건너가지 못하리라. 하시매
느보산은 출애굽 여정의 마지막 기착지이다. 40년 동안의 광야에서의 방랑 생활을 청산하고 하나님께서 약속하셨던 가나안으로 들어가기 직전에 모세는 이곳에서 가나안 땅을 조망하고 숨을 거두게 된다. (민 21: 20, 23장, 신 4: 49)
느보산은 성경의 '여리고 맞은편 비스가산' 과 동일한 장소로 히브리어로 '비스가' 란 '꼭대기' 라는 의미이다.
출애굽 이후 가나안으로 진군해 들어오던 이스라엘 백성들은 아모리 족속의 온 지경을 점령하고 이 지역에 머물러 살기를 원했던 르우벤 지파와 갓 지파에게 요단 동편 지역을 분배해 주게 되는데 느보는 르우벤 지파에게 분배되었다.(민 32: 3,38. 대상 5: 8)
기원전 9세기의 모압왕 메사의 비문에 의하면 느보읍은 그때까지도 이스라엘의 도시였다. 그런가 하면 성경은 느보가 모압의 도시였다는 보도를 남기고 있다.(사 15: 2. 렘 48: 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