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장마철엔 전염성 눈병 조심하세요. _서경률 교수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안과학교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67803F5D2C721301)
여름은 식중독, 장염등을 비롯하여 여러 전염병들이 기승을 부리는 계절이다. 많은 사람들이 피서지에 모였다 흩어지는 휴가철과 습도가 높은 장마철 때문에 질병들이 더욱 쉽고 빠르게 전파되기도 한다. 특히 유행성 결막염이나 아폴로 눈병 등의 안과 질환도 여름철에 흔히 발생한다. 눈에 문제가 생기면 모든 생활에 지장이 생기는 만큼 예방법과 치료법을 알아놓는 것이 필수다. 눈병은 대부분 손에 의해 옮겨지는 접촉성 전염병으로 주로 바이러스에 감염돼 생긴다. 수영장뿐만 아니라 눈병에 걸린 사람의 눈물이나 눈곱이 묻은 출입문, 버스 지하철의 손잡이 등을 통해서도 전염이 된다. 일단 눈병에 걸리면 바이러스를 단번에 죽일 수 없기 때문에 2주 이상 고생활 각오를 하고 증세에 따라 해열진통제나 소염제 등을 먹으면서, 안과 전문의의 지시에 따라 필요한 경우 항생제 안약을 눈에 넣어 2차 감염을 예방해야 한다. 전염성 눈병의 특징은 전파력이 매우 강하다는 것으로 물놀이나 외출 후에는 항시 손을 깨끗이 씻는 것으로도 큰 예방책이 된다. 결막염은 일반적으로 흰자의 충혈을 동반하는 염증을 가리키는 넒은 의미의 단어이다. 이 안에는 바이러스에 의한 유행성 결막염뿐 아니라 알레르기 결막염, 세균 결막염 등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이 중 장마철과 여름동안 자주 발생하고 우리가 흔히 눈병이라고 부르는 유행성 결막염과 급성 출혈성 결막염에 대해 알아보자.
유행성 각결막염 ▶ 아데노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하며 감염 후 일주일 전후의 잠복기를 거쳐 발병한다. 특히 전염성이 강해 한쪽 눈부터 시작돼 대부분 다른 쪽 눈으로 옮겨 가며 주로 여름철에 유행하지만 최근에는 1년 내내 발병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증상_감염이 되면 눈이 충혈되고 눈 속에 모래가 들어간 것처럼 껄끄러운 이물질감을 느낀다. 증상에 따라 심한 통증을 동반하며 많은 눈물과 진득진득한 눈곱이 끼게 된다. 환자에 따라서는 귀밑의 임파선이 부어 통증을 느끼기도 하며 감기증상이 오기도 한다. 치료_대개 2주일 정도면 자연치유가 가능하나 그 기간동안 증세를 완화시키기 위해 항상제 안약과 인터페론제를 눈에 넣거나 심한 통증에는 진통제도 같이 사용한다. 예방법_유행성 각결막염은 환자가 접촉한 물건을 통해서 옮겨지므로 외출했다가 돌아왔을 때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하며 환자와 같이 수건이나 세면기를 사용하는 것은 절대 피해야 한다.
급성 출혈성 결막염 - 아폴로 눈병 ▶ 지난 69년 미국의 달착륙선 아폴로 11호가 발사되던 해 아프리카 가나에서 처음 발병해 전세계로 급속히 퍼져 일명 '아폴로 눈병'이라고 한다. 엔테로 바이러스 70형에 의해 발병 하며 전염성이 강하다. 증상_눈에 통증을 느끼며 눈물이 많이 나면서 특징적으로 결막의 출혈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눈부심, 이물감 등이 나타나고 눈의 충혈, 눈꺼풀이 붓기도 한다. 급성 출혈성 결막염은 앞에 언급한 유행성 결막염보다 잠복기가 4~48시간으로 짧고 병의 경과도 5~7일 정도로 환자의 25%정도는 열이 나거나 무력감, 전신근육통을 보이기도 한다. 치료_몸에 면역기능이 생기면 자연 치유가 가능하며 세균에 의한 2차 감염을 예방키 위해 항생제 안약을 사용하며, 눈꺼풀이 심하게 부으면 소염제를 복용하기도 한다. 예방법_접촉에 의해서 발생하므로 손을 자주 씻고 수영이나 해수욕을 한 후에는 몸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 약물 오용 위험, 병원에서 적절한 치료가 우선 혹 눈병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임의로 항생제 안약을 물놀이 전에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한다. 바이러스에 의한 눈병은 자기 몸에 신체 면역 기능에 의해서만 치료가 되며 약의 사용은 그 질환에 의해 2차 감염예방과 증세 완화를 위해 사용하는 것임을 알아 약을 오용치 말아야 한다. 이 외에도 눈이 충혈되는 데는 많은 원인이 존재한다. 이물질이나 눈썹이 찌를 때, 외상으로 상처가 났을 때, 간혹은 눈꺼풀에 염증이 있어 이로 인해 만성적으로 결막 충혈이 오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전에 잘 들었던 약이라고 임의로 사용하는 것은 병을 악화시킬 수도 있으므로 금해야 하며, 원인을 알아 적합한 치료를 받는다면 대부분 쉽게 나을 수 있는 병이므로 적합한 진료가 우선이라고 할 수 있겠다.
여름철 눈병 예방지침
1. 물놀이나 지하철, 버스 손잡이 등을 만진 회출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는다.
2. 눈병에 걸린 사람들의 눈문이나 눈곱으로도 전염된다.
3. 예방차원의 항생제 안약 투여는 효과가 없다.
4. 잘못된 약물 사용은 병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병원을 찾는다.
5. 눈병에 걸린 경우, 2차 감염예방에도 각별한 신경을 기울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