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 요(搖)자는 의부(義符)로 손 수(手,扌,才)자 변에 성부(聲符)로 질그릇 요(䍃)자를 했습니다. 질그릇 요(䍃)자는 사람이 그릇을 빚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질그릇 요(䍃)자에서 육달 월(肉,月)자는 사람의 몸, 즉 손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장군 부(缶)자는 질그릇 장군을 상형(象形)한 글자입니다. 동요(動搖) 요람(搖籃) 요예(搖曳) 탕요(蕩搖) 요상(搖床) 불요(不搖) 요미(搖尾)
허리 요(腰)자는 의부(義符)로 고기 육(肉,月)자에 성부(聲符)로 구할 요(要)자를 했습니다. 구할 요(要)자는 배우자를 구하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덮을 아(襾)자는 여기서는 덮는다는 말이 아니라, 손을 두 개 그려서 구하는 뜻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구할 요(要)자에 여자 여(女)자가 들어 있는 것은 남성(男性) 중심 사회의 일면을 보여주는 글자이기 때문입니다. 요통(腰痛) 요절(腰折) 요절(腰絶) 요골(腰骨) 요추(腰椎) 요부(腰部) 세요(細腰) 유요(柳腰)
멀 요(遙,遥,䢣)자는 의부(義符)로 쉬엄쉬엄 갈 착(辵,辶)자에 성부(聲符)로 질그릇 요(䍃)자를 했습니다. 질그릇은 손으로 빚어서 만든다는 뜻으로 손톱 조(爪)자 아래에 장군 부(缶)자를 하기도 했고, 질그릇 요(䍃)자에서 달 월(月)자 대신에 저녁 석(夕)자를 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모두 질그릇 요(䍃)자의 모사(模寫)입니다. 요원(遙遠) 소요(逍遙) 요망(遙望) 요천(遙天) 요탁(遙度) 요상(遙想) 요기(遙寄) 노요(路遙)
노래 요(謠)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질그릇 요(䍃)자를 했습니다. 질그릇 요(䍃)자는 장군 부(缶)자 위에 달 월(月)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달 월(月)자는 달의 뜻이 아니라, 손톱 조(爪)자의 변형입니다. 손톱 조(爪)자는 손을 나타내는 글자로 질그릇을 손으로 빚어 만든다는 뜻을 나타냅니다. 그릇인 장군을 빚어 만든다는 뜻으로 손톱 조(爪)자의 변형인 달 월(月)자를 했습니다. 가요(歌謠) 민요(民謠) 속요(俗謠) 노동요(勞動謠) 풍요(風謠) 동요(童謠)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