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년 아나운서 외길을 어떻게 걸었느냐 묻는 이에게 김동건(85)은 소설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로 답한다. 러시아 출신의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솔제니친의 출세작으로, 강제노동수용소에 끌려온 지 8년이 된 이반이 새벽 5시에 기상해 취침할 때까지의 하루를 시시콜콜 묘사한 소설이다.
“이반은 매일 아침 눈을 뜨면 온도계가 영하 40도 아래로 내려갔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해요. 40도 아래로 떨어지면 그날 작업이 취소되니까요. 그렇게 저도 오늘과 같은 하루를 60년 산 것뿐이에요. 그 소설 마지막 대목에서 내가 무릎을 쳤다니까요.” 소설의 마지막 문장은 이러하다. “이반 슈호프는 그의 형기가 시작되어 끝나는 날까지 무려 십 년을, 날 수로 계산하면 삼천육백오십삼 일을 매일 그렇게 살았다.”
솔제니친처럼 인생 대부분을 전쟁터와 수용소에서 보낸 건 아니지만, 김동건의 팔십 평생도 순탄치만은 않았다. 알려져 있다시피 그는 황해도 사리원이 고향인 실향민이자 이산가족이다. 불과 세 살 때 어머니를 잃고, 아버지마저 전쟁때 납북돼 이모와 이모부를 어머니·아버지로 부르며 자랐다. 유일한 피붙이였던 형과 전쟁통에 헤어져 고아가 될 뻔한 위험천만한 순간도 있었다.
‘국보 아나운서’로 불릴 만큼 온 국민 사랑을 받았지만 정치권력에선 자유롭지 못했다. 노무현 정권이 들어서자 20년 가까이 진행한 ‘가요무대’에서 하차했다. 그를 다시 돌아오게 한 건 시청자들이다. 유행 지난 양복 두 벌을 번갈아 입으며 그저 반듯하고 예의 바르게 진행하는 이 고지식한 아나운서를 시청자들은 신뢰하고 사랑했다.
평양남북예술단공연, 이산가족 찾기, 파독 30주년, 중동 근로자 위문 공연 등 한국 현대사의 굵직한 순간에 언제나 마이크를 들고 서 있었지만 여든다섯의 그는, “나의 60년은 그저 열 마디로 설명될 만큼 단순했다”고 우겼다. “절해의 고도에 갇혀 일하는 등대지기가 몇 백 배 훌륭하지요. 양식을 실어다주는 배가 와야 밥을 해 먹을 수 있고, 유일한 낙이라고는 라디오 듣는 게 전부이나, 그가 매일 밤 밝히는 등대를 보고 수많은 배들이 뱃길을 찾아다니지 않았겠어요? 박수를 받을 사람은 내가 아니라 그런 분들이지요.”
지난 1일로 방송 인생 60주년을 맞은 김동건 아나운서를 만났다. 그의 가족이 월남해 처음 정착했던 명동의 어느 밥집에서다.
-김동건의 60년 아나운서 인생은 돈과 권력을 좇지 않아 가능했다는 평이 많습니다. “60년 동안 날 봐준 시청자들 덕분이지요. ‘저 사람 왜 또 나와?’ 하면 방송에 나갈 수 있겠어요? 국민 없는 정부가 없듯이 시청자 없는 방송이 없지요.”
-정계 진출 제안도 많이 받으셨지요? “내가 아나운서 클럽 회장을 할 때 사무국장이 와서 돈 쓸 일이 생겼다고 해요. 아나운서 하다가 국회의원 된 사람이 8명인데 축하패를 해줘야 한다는 거예요. 내가 그럴 필요 없다고 했지요. 돈이 아까워서가 아니에요. 국회의원 하다 아나운서가 됐으면 준다, 그러나 아나운서 하다가 국회의원 된 것이 축하할 일이냐 했지요.” “아나운서 하다 정치인 된 게 축하할 일인가” 이하생략.(출처, 조선일보 김윤덕 기자) 설악산곰아! 너는 뭐하고 사셨는가?
아버지가 수없이 가르친 말, "말은 꾸미지 마라. 쉬운 말이어야 한다. 거짓은 절대 금물. 미사여구를 쓰지 마라. 솔직해야 한다. 자세는 언제나 반듯해야 한다. 표정은 늘 밝게 해라." 아버지가 수없이 반복해서 가르친 말이었다. (고도원 윤인숙의 ‘고도원 정신’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