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 ♣
조도의 도리산에서 바라본 ..... >>>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비경 ~
▒ 언 제 : 2007. 8. 15 (수요일)
▒ 어 디 로 :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섬여행
▒ 날 씨 : 흐림
▒ 카 메 라 : Canon EOS 350D/800만화소급
▒ 사진저장 : 다음블로그
▒ 사진및편집 : 여행나라 / by moon (사진품질: 포토윅스 80%)
▒ 스 크 랩 : 허용
☞ 내용 출처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네이버백과 등
#1
영암 삼호조선소 풍경...
진도로 가는중에 방조제 중간에 위치 한 공원에 올라 ...

# 2
바다 같은 담수 ..뒤로 해남군 계곡면 방향...

# 3
새 팥
학명 : Phaseolus nipponensis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
분포 :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크기 : 줄기 길이 2∼3m
꽃 : 꽃은 8월에 노란 색,
용도 : 식용. 사료

# 4
자주색달개비(세트크레아세아)
분류 : 외떡잎식물 분질배유목 닭의장풀과 여러해살이풀
분포 : 멕시코 원산
크기 : 50cm 정도
꽃 : 8월에 피기시작 연한 적자색,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용도 : 관상용

# 5
진도 평목항 전경

# 6
좌측 평목항을 뒤로 ....우측은 서망항... 서망해수욕장

# 7
물개가 움추리고 있는 것은 섬..

# 8
지평선에 떠 있는 크고 작은 섬들....

# 9
뒤로 "하조도등대"가 있는 곳... 하양건물

# 10
도서지방을 오가는 여객선... 대분분 도서지역은 농협배가 많다

# 11
조도대교

# 12
조도 창유 (조도)항

# 13
누리장나무
-. 유사종으로 가지와 잎에 갈색 털이 빽빽이 나는 것을 털누리장나무(var.ferrungineum),
잎 밑이 심장밑꼴이고 끝이 뾰족하며 꽃받침조각이 좁고 긴 것을 거문누리장나무(var.esculentum)라고 한다
별칭 : 개똥나무, 노나무, 개나무, 구릿대나무, 누기개나무, 이라리나무, 누룬나무, 깨타리, 구린내나무, 누르나무 학명 : Clerodendrum trichotomum Thunb. ex Murray 분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마편초과의 낙엽활엽 관목 분포 : 한국(원산지) 강원도 및 황해도 이남의 표고 100~1,600m 사이에서 자라며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크기 : 높이 2m 정도로 자란다. 꽃 : 꽃은 양성화로 8-9월에 피고, 꽃받침은 홍색이 돌고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난형 또는 긴 난형이고 화관은 지름 3cm로서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긴 타원형이고 백색이다. 4개의 수술이 길게 화관 밖으로 나온다 용도 : 어린 잎은 나물로 먹고 꽃과 열매가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심는다. 생약의 해주상산(海洲常山)은 잔 가지와 뿌리를 말린 것인데, 한방에서 기침·감창(疳瘡)에 사용한다.
 ↑ 지리산 대성골/ 7월5일 자료사진

여러송이 ,,

#14
등대로 가던길에 북쪽(진도)으로 보이는 아기자기 한 섬들..
# 15
참취
이명 : 나물취, 암취, 취, 한라참취, 작은참취
학명 : Aster scaber Thunb.
분류 :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원산지) 일본 북해도, 시코쿠, 큐슈, 만주,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크기 : 높이 약 1-1.5m이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흰색이며 두화는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포는 3줄로 배열하고 설상화(舌狀花)는 6∼8개이며 관상화(管狀花)는 노란색이다.
열매는 수과로 11월에 익는다
용도 : 어린순을 취나물이라고 하며 식용한
# 16
등대앞에오니 ...탁~트인 조망이 마음까지 시원하게 한다

# 17
몇년전에 왔을떼 무인등대였는데 지금 한창 공사중.... 이젠 전망대까지 만들어 광광지로 변신중이다

17-1 전망대...

# 18
등대뒤로 .... 절벽... 파도가 높은 지역이라 식물이 자리지 않는다

18-1 가까이 ...

# 19
바다를 향한 바위...
매 한마리가 바다를 향해 경게중이다 먹이 사냥을 위해...

# 20
소용돌이 ...

# 21
전망대에 설치된 조각품... 세계를향해 ~
# 21
세계속의 비친 모습이라 할까...ㅎㅎㅎ

# 22
지금 건물이 3동 신축중... 사업개요는 ???/

# 23
큰뱀무
이명 : 큰배암무
학명 : Geum aleppicum Jacq.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원산지)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 유럽,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의 산야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가 30-100cm 정도로 자란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지름 1-2cm의 황색꽃이 줄기나 가지끝에서 취산화서로 피며 모두 3-10개이다.
꽃받침잎, 부악편 및 꽃잎은 각각 5개이며 과탁에 길이 1mm정도의 털이 있다. 수술과 암술은 여럿이다.
용도 :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한방에서는 식물체 전체를 약재로 쓰는데, 허리와 다리의 통증·이질·자궁 출혈·

# 24
하늘타리 - Mongolian Snakegourd
이명 : 쥐참외, 하눌수박, 하늘수박, 자주꽃하눌수박
학명 :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분류 : 쌍떡잎식물 박목 박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원산지)중국, 몽고, 대만, 일본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지리산 삼정리), 전북(덕유산), 경남, 경북, 충남(계룡산), 충북, 강원, 경기(남한산성), 황해에 야생한다
크기 : 다년생 덩굴 식물
꽃 : 꽃은 이가화로서 7-8월에 피며 화경은 수꽃이 15cm, 암꽃이 3cm 정도로 각 끝에 1개의 꽃이 달리고 꽃받침과 꽃잎은 각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다시 잘게 갈라지고 황색이며 수술은 3개이다.
용도 : 한방에서는 뿌리를 왕과근(王瓜根), 열매를 토과실(土瓜實), 종자를 토과인(土瓜仁)이라고 하며 약용한다.
뿌리는 통경·이뇨·배농(排膿)에 쓰고 과육은 민간에서 화상과 동상에 사용하며 종자는 거담·진해·진통에 쓰거나 소염제로 쓴다.
뿌리에서 받은 녹말은 식용하거나 약용한다.

# 25
뚝 갈 - Whiteflower Patrinia
이명 : 뚝깔, 뚜깔, 흰미역취
학명 : Patrinia villosa (Thunb.) Juss
분류 : 쌍떡잎식물 꼭두서니목 마타리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원산지) 일본 ·중국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크기 : 높이 1m.
꽃 :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고 화서분지에는 원줄기의 하반부와 더불어 퍼진 또는 밑을 향한 백색 털이 있다
용도 : 어린순을 나물로 한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패장(敗醬)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열로 인한 종기와 맹장염의 소염·배농 작용을 하고 어혈로 인한 동통에
효과가 있다
# 26
참으아리 -Threeflower Clematis
종류: 국화의아리. 외대의아리. 의아리.큰의아리.긴잎으아리
이 명 : 고추나무·선인초(仙 人 草). 마음가리나물이라고도 한다
학 명 : Clematis terniflora DC.
분 류 :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분 포 : 한국(원산지)· 일본,중국,대만에도 분포한다 / 중부이남 지역에서 자란다. 특히 울릉도를 비롯한 바닷가에 가까운 산야에 많다.
크 기 : 길이가 5m 정도로 자란다.
꽃 : 꽃은 7-9월에 백색으로 피고 지름 2-3cm로서 백색이며 액생 또는 정생하는 원추화서 또는 취산화서에 달리고 많은 꽃이 피어
뒤덮으며 향기가 있다
용 도 : 한방에서는 위령선(威靈仙)이라고 하며, 진통 및 이뇨제로 신경통과 류머티즘에 사용한다.

26-1

# 27
까마중
[Common Nightshade, Black Nightshade, Poisonberry]
이명 : 가마중, 강태, 깜푸라지, 먹딸기, 먹때꽐, 까마종
학명 : Solanum nigrum L. var. nigrum
분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가지과의 한해살이풀.
분포 : 한국(원산지) 한국, 일본, 중국, 남부,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크기 : 높이 20~90cm이다.
꽃 : 꽃은 5~7월에 피며 지름 6-7mm로서 백색, 열매는 장과로 둥글며 7월부터 검게 익는데, 단맛이 나지만 약간 독성이 있다.
용도 : 봄에 줄기에 난 어린 잎을 나물로 삶아 먹는다. 한방에서는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풀 전체를 캐서 말린 것을 용규(龍葵)라 하여,
감기· 만성기관지염. 신장염.고혈압·황달·종기·암 등에 처방한다. 민간에서는 생풀을 짓찧어 병이나 상처 난 곳에 붙이거나, 달여서 환부를 닦아낸다

# 28
등대 아래에서...

# 29
등골나물
이명 : 벌등골나물, 새등골나물
학명 : Eupatorium japonicum Thunb. ex Murray
분류 :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원산지)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크기 : 높이가 2m에 달한다.
꽃 : 꽃은 흰 자줏빛으로 두상꽃차례[頭狀花序]를 이루고 7∼10월에 핀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11월에 익는다
용도 : 어린순은 식용한다. 한방과 민간에서 황달, 통경, 중풍, 고혈압, 산후복통, 토혈, 폐렴 등에 약제로 쓰인다

# 30
갯기름나물 [Japanese Hogfennel]
이명 : 개기름나물(갯기름), 목단방풍, 미역방?, 보안기름나물. 일본전호라고도 한다
학명 : Peucedanum japonicum Thunb.
분류 :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일본, 대만, 중국, 필리핀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거문도), 전북, 충남(대천), 경남, 경북(울릉도)에 야생하며 바닷가나 냇가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 60cm-100cm이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백색이고 복산형화서로 줄기 끝이나 가지 끝에 정생하며 화서는 10-20개의 소산경으로 갈라져서
끝에 각 20-30개의 꽃이 달린다.
용도 : 갯기름나물은 어린 순, 연한 잎, 열매, 뿌리를 식용하며, 열매는 과실주를 담아서 피로회복, 빈혈, 두통에 사용하고,
뿌리를 산방풍(山防風), 식방풍(植防風)이라 하며, 일본에서 인삼 대용으로 약용했던 적도 있다. 한방에서 갯기름나물의 뿌리,
잎, 꽃을 비롯한 전초를 약재로 사용한다.
- 방풍(防風) : 봄, 가을에 갯기름나물의 뿌리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후 외감풍한(外感風寒-감기), 두통, 목현(目眩-현기증),
수근경직(首筋硬直-목들미가 굳어서 뻣뻣하게 되는 것), 풍한습비(風寒濕痺-감기로 뼈가 져리고 쑤시는 증상),
근골산통(筋骨酸痛-근육과 뼈가 시큰거리고 아픈 것), 사지급통연급(四肢急痛攣急-팔다리가 갑자기 몹시 아프면서 경련이 일고 쥐가 남),
파상풍 등에 달이거나 환을 만들어 복용하고 외용제로 분말을 내어 환부에 바른다.
- 防風葉(방풍엽) : 갯기름나물의 잎을 중풍으로 인한 열로 땀이 많이 나는 데 달여서 복용한다.
- 防風花(방풍화) : 갯기름나물의 꽃을 말하며 심복통(心腹痛-근심 걱정 따위로 생긴 가슴앓이),
사지구급(四肢拘急-경련이 일어나 팔다리를 굽혔다 폈다 하지 못하는 증세), 행이부득(行履不得),
경맥허리(經脈虛羸-기혈이 순환하는 기본 통로가 허하고 야윔), 근골간동통(筋骨間疼痛-근육과 뼈가 쑤시고 아픔)에 달여서 복용한다.

# 31
바?가의 엉겅퀴

# 32
무릇 [Japanese Jacinth]
이명 : 물구, 물굿, 물구지
학명 : Scilla scilloides (Lindl.) Druce
분류 :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원산지) 일본 오키나와, 대만, 중국, 만주, 우수리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크기 : 화경(花莖)은 높이 20-50cm이다.
꽃 : 꽃은 연한 홍자색이고 7-9월에 피며 화경(花莖)은 높이 20-50cm로서 끝에 길이 4-7cm의 총상화서가 달리며 화서는 길이 12cm이다.
용도 : 비늘줄기와 어린 잎을 엿처럼 오랫동안 조려서 먹으며, 구황식물(救荒植物)의 하나이다. 뿌리를 "구충제"로 사용한다

# 33
짚신나물 [Hairyvein Agrimonia]
별 칭 : 등골짚신나물, 큰골짚신나물, 집신나물, 북짚신나물, 산집신나물
학 명 : Agrimonia pilosa Ledeb.
분 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분 포 : 한국(원산지) ,· 일본, 오키나와, 중국, 아무르, 히말라야, 인도차이나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크 기 : 높이 30-100cm
꽃 : 꽃은 6-8월에 피고 황색이다
용 도 :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한방에서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를 전체를 용아초(龍芽草)라는 약재로 쓰는데, 지혈제로 소변출혈· 자궁출혈·
각혈·변혈 등 각종 출혈 증상에 사용한다

# 34
꽃며느리밥풀 [Rose Cowwheat]
-. 변종으로 털며느리밥풀(var. hirsutum) 등이 있는데, 털며느리밥풀은 꽃받침에 긴 털이 있고 포에 가시 모양의 톱니가 많다
이명 : 꽃며느리바풀, 민꽃며느리밥풀, 돌꽃며느리밥풀, 꽃새애기풀
학명 : Melampyrum roseum Maxim
분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현삼과의 한해살이풀
분포 : 한국(원산지) ,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크기 : 높이가 30-50cm정도로 자란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홍색이며 , 9월에 익어 2쪽으로 갈라진다
용도 : 관상용. 밀원. 전초를 청혈해독약으로서 옹종창독에 쓰며 뿌리로 만든 차는 청량음료이다.

# 35
갯쑥부쟁이
이명 : 개쑥부장이, 개쑥부쟁이, 구계쑥부쟁이, 들쑥부쟁이, 묵국화, 흰개쑥부장이
학명 : Aster hispidus Thunb.
분류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분포 : 한국(원산지) 일본, 만주, 중국, 대만에 널리 분포한다. 전국에 야생한다.
크기 : 높이 30~100cm이다
꽃 : 꽃은 8~11월에 피며 설상화는 1줄로 배열되며 자주색.
용도 : 어린 순은 식용한다
35-1
35-2
# 36
해당화 [海棠花]
[Turkestan Rose, Japanese Rose]
학명 : Rosa rugosa Thunb. var. rugosa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관목
분포 : 한국(원산지) 일본, 사할린, 만주, 쿠릴열도, 캄차카에도 분포한다. 전국 해안가나 산기슭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 1.5m 정도 자란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가지 끝에 1∼3개씩 달리며 홍색이지만 흰색 꽃도 있다
용도 : 관상용이나 밀원용으로 심는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고 뿌리는 당뇨병 치료제로 사용한다. 향기가 좋아 관상가치가 있다.

36-1
36-2
36-3
# 37
더덕
이명 : 참더덕
학명 :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 Zucc.) Trautv.
분류 :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
분포 : 한국(원산지)일본, 만주, 중국, 우수리에 분포.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크기 : 길이 2m 이상이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짧은 가지 끝에 밑을 향해 달리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2-2.5cm,
나비 6-10mm로서 끝이 뾰족하고 녹색이다 .열매는 9월에 익는다
용도 : 나봄에 어린 잎을, 가을에 뿌리를 식용한다. 생약의 사삼(沙蔘)은 뿌리를 말린 것이며 한방에서는 치열(治熱)·
거담(뢍痰) 및 폐열(肺熱) 제거 등에 사용한다.
37-1
# 38
마을 담길에서...

#39
조도대교 아래에서 바라본 서쪽풍경

# 40
조도대교 아래에서 동쪽으로.. 하조도등대방향

# 41
조도대교

# 42
돌가시나무
-. 유사종으로 열매가 타원형인 것을 긴돌가시나무(for. ellipsoidea), 붉은색 꽃이 피는 것을 홍돌가시나무(for. rosiflora)라고 한다.
학명 : Rosa wichuraiana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반상록 활엽 포복성관목
분포 : 한국(전남·전북·경남·경북)·일본·타이완·중국 / 바닷가에서 자란다
크기 : 꽃지름 4cm
꽃 : 꽃은 흰색이고 향기가 있으며 가지 끝에 1∼5개씩 달리고 꽃자루에 선모가 있다
열매는 거의 둥글며 가을에 붉게 익는다
용도 : 관상용

# 43
이질풀 [痢 疾 ]
이명 : 개발초, 거십초, 민들이질풀, 분홍이질풀, 붉은이질풀, 쥐손이풀.노관초라고도 한다
학명 : Geranium thunbergii Siebold & Zucc.
분류 :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쥐손이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일본.타이완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 경남, 경북, 강원, 경기, 황해, 함남에 야생한다.
크기 : 길이 50cm정도.
꽃 : 꽃은 8-9월에 피며 지름 1-1.5cm로서 연한 홍색, 홍자색 또는 백색이고 화경에서 2개의 소화경이 갈라져 각 1개의 꽃이 달린다
용도 : 많은 양의 타닌과 케르세틴이 들어 있어 소염·지혈·수렴·살균 작용이 있다. 민간에서는 대장 카타르·이질·위궤양·십이지장궤양 등에 약재로 사용하고,
한방에서는 현초(玄草)라고 하며 "지사제"로 쓴다.

# 44
수수 - [Sorghum]
..가을이 이렇게 익어간다
이명 : 쑤시.고량(高梁)·촉서·고랑·로속(蘆粟)이라고도 한다
학명 : Sorghum bicolor (L.) Moench
분류 :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
분포 : 동아시아에서 중앙아시아에 걸친 대륙성 기후의 온대지방
크기 : 높이 1.5∼3m
꽃 : 큰 원추화서에 많은 꽃이 밀생하고 가지는 반윤생이다. 암꽃은 화병이 없고 길이 5㎜정도로서 넓은 도란상 타원형이며 밑부분에 속모가 있다.
첫째 포영은 혁질이고 윗부분에 털이 있으며 둘째 포영 및 호영은 막질이고 털이 있다. 내영은 길이 6㎜정도의 긴 까락이 있으며 각 마디에
대가 있는 수꽃이 1-2송이씩 달린다.
용도 : 어린아이의 생일이나 돌에는 수수팥떡을 만들어 먹이는데, 이것은 나쁜 귀신이 붉은색을 싫어하므로 이의 접근을 막고 건강하게 자라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수수쌀은 주성분이 탄수화물이어서 식량으로 쓰이는 외에 엿·과자·떡·술 등의 원료로 사용한다. 잎과 줄기는 사료로 사용한다

-. 원산지는 동아시아에서 중앙아시아에 걸친 대륙성 기후의 온대지방으로 추정되며, 신석기시대부터 아시아와 유럽 일대에서 재배되었다.
중국에서는 오곡의 하나로서 고대로부터 중요한 작물로 취급하였다. 한국에는 중국을 거쳐 전해졌으며 오랜 옛날부터 재배되어 온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의 수수 재배 상황은 북한 지역이 비교적 재배면적이 넓으며 한국에서는 강원 및 경기에서 일부 재배되고 있다.
# 45
조도대교 입구에서...

# 46
조도대교에서 등대방향으로 ...왼쪽 끝이 등대가 있는 곳..

# 47
대교에서 북동쪽으로.....

# 48
포장 도로따라 북쪽으로..

# 49
부처꽃-[loosestrife]
이명: 천굴채(千屈菜)두렁꽃 라고도 한다
학명: Lythrum anceps (Koehne) Makino
분류: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도금양목 부처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한국(원산지)한국, 일본,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크기: 높이 1m.
꽃 : 꽃은 7-8월에 자홍색
용도: 한방에서는 전초를 방광염 ·이뇨 · 지사제(止瀉劑) 등으로 사용한다


# 50
도리산으로 오르는 길목에 북쪽으로...

# 51
도리산에 오르니 "다도해국립공원" 안내도가 설치되어 있고 "KT" 중계탑도 있다....

# 52
도리산 정상에서 바라본 조도대교 /창유 소재지 마을 방향 ..... 뒤로 좌측 끝이 "하조도등대"가 있는곳이다

52-1
.. 우측으로 어어진 다도해 풍경 →
중앙 희미한 섬이 관매도 방향.....관매도에 가면 아마도 우리나라에서 제일 아름다운 청정해수욕장이 있다
가는방법은 이곳 조도와 같이 진도 평목항에서 출발한다

52-2
좌에서 우측으로 이어진 조도면의 크고 작은 섬...

#53
나무숲 사이로 비친 바다와 섬 풍경 ~

# 54
정상에서 내려오다보면 ... 약수터 안내가 있다

# 55
약수터로 가던길에 또 갈림길이 나온다 ..우측으로 약 50여m 오르면 ...전망대

55-1 전망대에서 남쪽하늘을...

55-2
흐린 날씨지만 그래도 비가 안와서 다행이다 ...전망대에서 서쪽으로...

55-3 가까이 섬사이를...

# 56
장구밥나무
이명 : 장구밥나무, 잘먹기나무
학명 : Grewia parviflora Bunge
분류 : 쌍떡잎식물 아욱목 피나무과의 낙엽활엽 관목
분포 : 한국· 중부 이남의 해변 산록에서 자라며 제주도에서는 표고 700m 이상의 산기슭 양지쪽에서 자생하며 중국과 대만에도 분포한다
크기 : 높이가 2m에 이른다.
꽃 : 꽃은 양성화로 7월에 피며 지름 1cm이고 연한 황색이며 취산화서 또는 산형화서에 5-8개가 달리고 화경은 길이 3-10mm이다.
용도 : 열매를 식용하고 "관상수"로 심는다

자료사진

# 57
반대편 정상 ....중계탑도 가장 아름다운곳에 있다

# 58
향기 그윽한 칡꽃

# 59
전망대에서 내려와 약수터 가는길... 아직 수량은 풍부하다

# 60
송장풀 [Largeflower Motherwort]
이명 : 개속단· 대화익모초(大花益母草) 개방앳잎, 산익모초라고도 한다
학명 : Leonurus macranthus Maxim.
분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크기 : 높이가 1m정도에 이른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길이 25-32mm로서 연한 홍색이며 윗부분의 엽액에서 5-6개씩 윤산화서로 핀다
용도 : 풀 전체를 이뇨제·강정제·중풍치료에 사용한다.

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