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어샥의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2개의 숫자를 가지고 그 특성을 표시한다. (예, 275 x 2.5) 처음 쓰여진 숫자(275)는 Spring Rate 이다. Spring Rate는 스프링을 1인치(2.54cm) 압축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 (?, 무게 - 같은 의미로 이해하자.)을 말한다. 단위는 파운드(lb)이다.
앞의 예의 경우는 275 파운드의 힘이 가해지면 스프링은 1인치 압축된다. 이렇게 압축된 상태에서 275파운드의 힘이 더 가해져야 1인치 더 압축되고, 138 파운드의 힘이 더 가해져야(전체 688 파운드) 스프링이 2.5인치 압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현방법 : Spring Rate x Spring Travel
앞의 설명에서 사용된 예의 두번째 숫자(2.5)는 스프링의 트래블(travel, 스프링이 자연스러운 상태와 최대로 압축된 상태의 길이차이) 과 Shock의 최대트래블을 의미한다.
앞 서스펜션 스프링도 여러가지 Spring Rate를 가진 제품들이 있다. 다만 표현하는 방법이 리어샥의 경우와는 다르다는 것이다. (예, 60) 하나의 숫자로만 표현되고 이 값은 Spring Rate를 의미한다.
리어샥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프링을 1인치 압축하기 위해 필요한 힘을 의미한다. 앞 서스펜션의 스프링은 낮은 Spring Rate의 제품을 사용하는데, 이유는, 어떤 기계적인 지렛대 구조도 갖지 않고 직접 휠(Wheel)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리어샥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2-3.5 : 1의 비율로 작동한다. 무슨 의미일까?
예를 들어 3 : 1의 비율로 리어샥이 움직이는 프레임이라면, 뒷바퀴가 지면에서 공중으로 3인치 움직일때 리어샥은 1인치 압축된다는 것이다. 즉 휠트래블과 리어샥 트래블의 비율을 말하는 것이다.
만일 275 x 2.5 스프링이 설치된 자전거에 92 파운드의 힘이 리어샥에 가해지면(스프링을 1 인치 압축시키기 위한 힘의 1/3), 뒷바퀴는 1인치 움직이게 된다. 이해가 되는가?
3 : 1 의 비율로 움직이는 리어샥 구조이기 때문에, 스프링이 1/3 인치 압축될 힘이 가해졌을때 바퀴는 1인치의 트래블만큼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앞 서스펜션의 경우는 다르다. 60lb/in(앞의 설명과 같은 의미의 단위, 1인치 압축시키는데 60파운드의 힘이 필요)의 Spring Rate를 갖는 스프링을 사용한 서스펜션에 180파운드의 힘이 가해지면 앞 서스펜션은 3인치 압축된다.
(다시 설명하지만 파운드를 단순히 스프링에 가해지는 힘이라고 이해하자.) (1 pound = 0.454 kg , 1kg = 2.2 pounds)
참고 :
자신의 자전거에 설치된 리어샥의 교환을 생각해본 라이더들이 많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물론 현재 사용하는 리어샥이 고장나서 동일한 제품으로 교환하는 경우라면 큰 문제가 되질 않는다. 하지만 다른 회사의 제품, 다른 구조의 모델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몇가지 알아야 할 것들이 있다.
- 자신의 자전거에 설치할 수 있는 리어샥의 길이, 리어샥을 고정시키는 양쪽 볼트간의 거리 - 스프링만을 교환한다면, 현재사용하는 리어샥의 최대 트래블에 맞는 길이의 스프링 - 리어샥을 고정시키는 부분의 구조 - 리어샥을 고정시키는 부분에 끼워지는 부싱의 구입유무 - 리져버가 외부로 돌출된(예, Fox Vanilla RC, 5th Element 등)경우에 프레임에 장착 가능 유무
등등...
특정 제품을 구입하고자 할때는 제조업체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찾아보도록 한다. 아마도 각 프레임별, 년식별 장착 가능유무와 가능한 모델들을 자료로 제공할 것이다. 자료를 찾을 수 없다면, 직접 문의해 보도록 하자. |
첫댓글 공부 열심히 해야겠네요...감사합니다...그나저나 언제 함 오프가야 되는데~~으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