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1]( http://www.insanelymac.com/forum/index.php?showtopic=172474 ) [Donk]
[출처2]( http://www.insanelymac.com/forum/index.php?showtopic=189969 ) [Zenith432]
VMware WorkstationWorkstation 7.0.0 Build 197124 RC.torrent
EnsoniqAudioPCI_1.0.2.mpkg.tar.gz
xp 에 설치한 vmware 7 rc 에서 Retail Snow Leopard 를 설치하는데 성공했습니다.
그런데, 아쉽게도 일부의 인텔 cpu, 인텔 칩셋 메인보드에서만 가능한 것 같네요.
1. 준비
- 주인운영체제 : xp, vista, windows7, linux
- 추천 vmware 버전 : vmware 6.5.3, vmware7 rc 197124
- 지원가능 cpu : Intel Core or Core2 이면서, VT-x 기능이 있어야 함.
( 여기( http://ark.intel.com/VTList.aspx )에서 VT-x 지원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
( Intel Core 2 Quad 와 Intel Core i7 는 Voodoo 커널을 이용하는데 아직은 성공가능성이 적은 것 같습니다. )
( 32비트 cpu 는 32비트 모드만 사용할 수 있고, 64비트 cpu 는 32/64비트 모드를 전부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바이오스에서 VT-x 를 켜세요. ( p5k 보드는 기본설정으로 켜있습니다. )
- 자세한 정보는 manual.pdf 를 보세요. ( Core 2 Quad 와 Core i7 사용자분들은 Voodoo_test.pdf 를 보세요. )
- vmware-darwin-200.zip(5.68mb), vmware-darwin-snowy.zip(14.8mb)
( 자료는 [출처1]에서 구하세요. 카페에는 5mb 이상의 자료를 올릴 수가 없네요.^^; )
2. 설치법
(1) vmware 를 설치하세요. ( 저는 xp 에 vmware7 rc 197124 를 설치했습니다. )
(2) xp 에서 vmware-darwin-200 폴더에 있는 darwin.iso 를 vmware-darwin-snowy 에 있는 것으로 바꾸세요.
( 이렇게 darwin.iso 가 대체된 폴더를 vmware-darwin-200-10a432 으로 이름을 변경하세요. )
(3) vmware-darwin-200-10a432 폴더를 xp 의 루트에 복사하세요.
(4) vmware-darwin-200-10a432 폴더를 오른쪽 클릭 후,
[Open Command Window Here]를 선택 후, cmd 창이 나타날때,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하세요.
C:\Documents and Settings\whitechivalry>cd \vmware-darwin-200-10a432
C:\vmware-darwin-200-10a432>setup.cmd install
setup.cmd install 를 사용하면, vmware 의 iso 파일들이 백업되면서, 스노우 레오파드에 최적화된 iso 파일들로 대체됩니다.
원상태로 복귀하실려면, setup.cmd uninstall 를 사용하세요.
C:\Documents and Settings\whitechivalry>cd \vmware-darwin-200-10a432
C:\vmware-darwin-200-10a432>setup.cmd uninstall
[그림1]
(5) vmware 를 실행하여, 아래설정을 참고하여 새로운 가상머쉰을 만드세요.
- Guest Operation System : Other , Version : FreeBSD 64-bit
- Processors : Number of processors(1), Number of cores per processor(2) ( 저의 e6750 은 코어 2 입니다. )
- Memory : 2048 MB ( 저의 물리 메모리는 4 기가입니다. )
- Neteork connection : NAT
- I/O adapter types : SCSI Adapter => LSILogic
- Disk : Create a new virtual disk
- Virtual disk type : IDE ( SCSI 보다 더 안정적인 것 같습니다. )
- Specify Disk Capacity : 12 기가를 할당하고,
Allocate all disk space now 와 Store virtual disk as a single file 에 체크했습니다.
(6) snowleopard_10a432_userdvd.dmg 를 ultraiso 프로그램으로 snowleopard_10a432_userdvd.iso 로 변환하세요.
(7) snowleopard_10a432_userdvd.iso 를 vmware 의 가상 시디롬으로 설정하세요.
(8) vmx 를 메모장 또는 워드패드로 열어서, 수정하세요.
( 저는 vmware 기본설정을 변경해서, vmx 파일은 N:\vm\10a432cafe 폴더속에 있습니다. )
( vmware 기본설정을 변경하지 않으셨다면,
C:\Documents and Settings\자신의아이디\My Documents\My Virtual Machines\10a432cafe 에 있을 겁니다. )
- guestOS = "freebsd-64" 를 guestOS = "darwin10-64" 로 수정하세요.
참고로, 말씀드리면,
guestOS = "darwin" (레오파드 32비트)
guestOS = "darwin-64" (레오파드 64비트)
guestOS = "darwin10" (스노우 레오파드 32비트)
guestOS = "darwin10-64" (스노우 레오파드 64비트)
- 아래내용을 추가하세요.
ich7m.present = "TRUE"
monitor.virtual_exec = "hardware"
monitor.virtual_mmu = "software"
- 아래내용이 없다면 추가하세요. ( vmware7 rc 에는 아래내용이 있었습니다. )
keyboard.vusb.enable = "TRUE"
mouse.vusb.enable = "TRUE"
ethernet0.virtualDev = "e1000"
- 그래도, 부팅에 문제 있다면, 아래내용을 추가하세요. 저는 필요없었습니다.
smc.present = "FALSE"
아래는 저의 수정된 vmx 입니다.
---------------------------------------------------
.encoding = "KS_C_5601-1987"
config.version = "8"
virtualHW.version = "7"
numvcpus = "2"
cpuid.coresPerSocket = "2"
maxvcpus = "4"
scsi0.present = "TRUE"
scsi0.virtualDev = "lsilogic"
memsize = "2048"
ide0:0.present = "TRUE"
ide0:0.fileName = "10a432cafe.vmdk"
ide1:0.present = "TRUE"
ide1:0.autodetect = "TRUE"
ide1:0.deviceType = "cdrom-raw"
floppy0.startConnected = "FALSE"
floppy0.fileName = ""
floppy0.autodetect = "TRUE"
ethernet0.present = "TRUE"
ethernet0.connectionType = "nat"
ethernet0.virtualDev = "e1000"
ethernet0.wakeOnPcktRcv = "FALSE"
ethernet0.addressType = "generated"
usb.present = "TRUE"
ehci.present = "TRUE"
sound.present = "TRUE"
sound.fileName = "-1"
sound.autodetect = "TRUE"
pciBridge0.present = "TRUE"
pciBridge4.present = "TRUE"
pciBridge4.virtualDev = "pcieRootPort"
pciBridge4.functions = "8"
pciBridge5.present = "TRUE"
pciBridge5.virtualDev = "pcieRootPort"
pciBridge5.functions = "8"
pciBridge6.present = "TRUE"
pciBridge6.virtualDev = "pcieRootPort"
pciBridge6.functions = "8"
pciBridge7.present = "TRUE"
pciBridge7.virtualDev = "pcieRootPort"
pciBridge7.functions = "8"
vmci0.present = "TRUE"
roamingVM.exitBehavior = "go"
displayName = "10a432cafe"
guestOS = "darwin10-64"
ich7m.present = "TRUE"
monitor.virtual_exec = "hardware"
monitor.virtual_mmu = "software"
keyboard.vusb.enable = "TRUE"
mouse.vusb.enable = "TRUE"
nvram = "10a432cafe.nvram"
virtualHW.productCompatibility = "hosted"
extendedConfigFile = "10a432cafe.vmxf"
-----------------------------------------------
(9) [Power on the virtual machine]를 클릭하세요.
[그림2]
(10) VMware 라는 커다란 글자가 보일때, F8 키를 누르세요.
[그림3]
위의 창이 나타나면, c 를 입력 후, Enter 키를 누르세요.
(11) 다음 화면에서 숫자를 카운트하면, 다시 F8 키를 누르세요.
[그림4]
위의 창이 나타나면, 부트옵션으로 -v 를 사용하세요.
( 부팅이 안 되면, -v 또는 -v -f 또는 -v -f -x 또는 -v -f busratio=20 등을 사용해보세요. )
( 그래도, 부팅이 안 되면, 32비트 모드 부팅옵션인 -v -f -x32 또는 -v -f arch=i386 등을 사용해보세요. )
(12)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세요.
[그림5]
우리말을 선택하세요.
[그림6]
디스크 유틸리티를 선택하세요.
[그림7]
[지우기]탭을 선택 후, 파티션 이름을 10a432cafe 로 입력 후, [지우기]단추를 클릭했습니다.
[파티션]탭을 선택하면, 하나의 하드를 여러개의 파티션으로 나누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림8]
[사용자화]단추를 클릭해서, 프린트를 제외시키고, 언어설정중 우리말만 체크하세요.
[그림9]
설치시간은 20분정도 걸렸고, 저절로 재부팅하여 위의 화면이 나타났습니다.
[그림10]
바탕화면의 모습입니다.
[그림11]
\vmware-darwin-200-10a432 폴더속에 있는 darwin.iso 를 vmware 에 넣은 후,
Install VMware Tools 를 이용해서 vmware tools 를 설치 후, 시스템종료를 하세요.
[그림12]
Shared Folders 를 선택후, [Always enabled]에 체크 후, [Add]단추를 클릭 후, 여러개의 창이 나타나면,
손님운영체제인 스노우 레오파드와 공유하고 싶은 주인운영체제인 xp 의 폴더 또는 자료파티션을 선택하세요.
[그림13]
바탕화면의 VMware Shared Folders 를 선택 후,
자료파티션인 DATA2(NTFS) 에 있는 EnsoniqAudioPCI_1.0.2.mpkg.zip 을 바탕화면에 복사 후,
EnsoniqAudioPCI_1.0.2.mpkg 를 클릭해서, vmware 사운드를 설치하고 있는 모습인데, 사운드의 음질이 괜찮았습니다.
[그림14]
15분 정도 그냥 두면, 잠자기로 들어간 후, 마우스로 메뉴 또는 아이콘들을 작동시킬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바탕화면을 오른쪽 클릭 후, [데스크탑 배경 변경]을 선택 후, 위의 창에서 [에너지 절약 환경설정]을 클릭 후,
[에너지절약]창에서 컴퓨터/모니터 잠자기를 모두 [안함]으로 설정했습니다.
vmware 의 상단에 있는 메뉴들중 Help 아래의 작은 사각형의 아이콘 ( Full Screen ) 을 클릭하면,
vmware 에서 스노우 레오파드를 좀 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림15]
우선, 아래의 댓글을 참고하세요.
디스크 유틸리티에서 보이는 200.05 기가하드 ( leopard, 10a432, 10a432ready ) 가 pc 에서 실제 사용하고 물리하드 입니다.
leopad 에는 iATKOS1057 이, 10a432 와 10a432ready 에는 스노우 레오파드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잘 못 된 정보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
첫댓글 [출처2]를 보면, vmware 의 그래픽 성능을 좀 더 좋게 해서 영상도 재생할 수 있는 것 같은데, 필요성과 시간부족으로 나중에 시도해볼 예정입니다.
위 처럼 vmware 를 설정하면 몇 가지 좋은 점이 있습니다.
(1) 거의 모든 레오파드 배포판들과 리테일 레오파드를 가상하드 또는 물리하드에 설치 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 가상하드를 이용해서, iATKOS1057 과 iDeneb1058 의 설치에 성공했습니다. 그러나, 리테일 레오파드는 시도해보지 않았습니다.
- 물리하드를 이용한 pc 설치는 iATKOS1057 를 성공했는데, 사용자설정에서 부트로더로 chameleon v1.0.11 을 설치하면 pc 에서 부팅할때 문제가 없었지만, chameleon v2 rc1 r143 을 설치하면, pc 에서 부팅시, chain booting error 이 나타나서 비스타의 부트매니저에 표시된 osx86 으로는 부팅이 안 되어서, f8 을 누르면 표시되는 부트메뉴에서 iATKOS1057 이 설치된 하드를 선택해서 부팅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예전에 한줄기의물방울님이 알려주셨던 방법입니다.
(2) 위 처럼 가상하드에 스노우 레오파드가 설치 된 상태에서, vmware 의 Virtual Machine Settings 의 Hardware 탭에서 [Add]단추를 클릭 => Add Hardware Wizard 창에서 Hard Disk 를 선택 => 다음창에서 세번째의 use a phisical disk 에 체크 =>
다음창의 [Device] 에서 PhisicalDrive0 이 첫번째 하드, PhisicalDrive1 이 두번째 하드, PhisicalDrive2 이 세번째 하드 입니다. 저는 200 기가의 하드가 2번째 하드라서, PhisicalDrive1 를 선택했습니다.
그리고, [Usage]에서 "Use entire disk (하드 전체를 사용)" 와 " Use Individual Partitions ( 하드중 일부 파티션만 사용)" 중 원하는 것을 체크하세요. 저는 200 기가 하드 전체를 맥파티션으로 사용하므로, "Use entire disk" 를 체크했습니다. ( 자신이 원하는 하드 또는 파티션 인지 잘 확인하세요. 잘 못 하면, 소중한 자료가 없어질 수 있습니다. )
그 다음에 OSInstall.mpkg 를 이용해서 그 물리하드에 스노우 레오파드를 설치 후, chmeleon2 rc3 + pc-efi-10.3 을 설치 후, Extra 폴더를 스노우 레오파드의 루트에 복사해주면 됩니다. pc 에서 부팅시, chain booting error 가 나타나면, f8 을 누른 후, 부트메뉴에서 스노우 레오파드를 설치한 하드를 선택하면 부팅할 수 있을 겁니다.
(3) pc 에 설치 한 스노우 레오파드로 부팅을 할 수 없을때, 위의 가상하드의 스노우 레오파드에 물리하드(pc 상의 부팅문제가 있는 스노우 레오파드)를 붙인 후, 가상하드의 스노우 레오파드에서 부팅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4) 하나의 하드에 xp를 설치 후, 스노우 레오파드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도, 가상하드의 스노우 레오파드에 물리파티션을 붙이는 방법으로, pc 의 파티션을 GUID 파티션으로 쉽게 포맷(지우기)하여, 스노우 레오파드를 설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VMware에서도 거의 지원이 확실해지는것 같네요. Guest 옵션 값이 있으니... 여튼 재밌는 팁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