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경마에서 쓰이던 말이었으나, 1831년에 디즈레일리(BenjaminDisraeli)가 자신의 소설 《TheYoungDuke》에서 “경마에서 우승한 알려지지 않은 말” 이라는 의미로 사용하면서 선거, 경기등에서 예상 외로 힘을 가진 후보자나 선수를 말하게 되었다. 다크(dark)는“일반에게 알려지지 않은 비밀” 이란 뜻이다
바로 세계의 언어들을 우리말로
풀었습니다
(상대 말을) 떼내버렸어 제꼈어
뛰니까 빠르다
(강한 말을) 몰까 했었다
(상대 말을) 깨 봐라 (결과를) 내라
깨 버려라 (결과를) 내거라
(돈 다 꼴았다) 씨발 놈아
(상대를) 깨 봐라 애쓰거라
(그 말이) 탐나까네
(그 말이) 탐나 삐까네
黑馬 (흑마)
(상대 말을) 다 깼어
(상대 말을) 깬다 했다메
(다 깨서) 돕기로 했었다
(상대 말을) 깨삐라 돌았지
무섭다 (시합을) 해보니
(시합에) 돈 걸었어 피하다
(줄을 먼저) 짜르니 까네
(이 말 때문에) 좆 됐더라
(상대 말을) 깨라 했다
우와! (잘한다)
이렇게 나옵니다
돈을 걸어서 경마하는 모습이 눈에
선합니다
즉, 경마용어라는 것이지요
세계언어인데도 우리말로 척척 풀리는게
신기합니다
쌍말들도 조금 보이네요
역시 돈을 잃으면 욕이 나오지요
결국 dark horse의 어원은
“(상대 말들을) 다 깼어”로 보입니다
“dark(검은) + horse(말)”이라고
黑馬(흑마)인 줄 알지만 어감이 맞지
않습니다
이런 식으로 어원이라고 하는 것들
대부분이 발음이 비슷하면 어거지로
짜 맞춘 것이었습니다
세계의 언어들은 경상도사투리가
엄청 많네요
제가 수도 없이 말씀을 드렸습니다
“영어는 경상도사투리다”라고 말이죠
이렇게 하지 않으면 어원(語源)을
풀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dark horse라는 말은
“잘 모르는 말이 상대하는 말들을
다 깨버리고 우승하는 모습”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역시 “영어는 우리말의 동사가 명사화된
언어”인 것 같네요
영어는 우리말로 발음이 비슷하면
자기들이 아는 단어로 짜 맞춰서
많이 사용을 하더라구요
2884. dark horse (다크호스,
숨겨진 인물,
의외의 능력을 가진 사람):
(상대 말들을) 다 깼어,
(상대 말들을) 다 깨다가 어원
* 라틴어: tenebris equus
((상대 말을) 떼내버렸어 제꼈어)
(* ㅇ ⇆ ㅈ 호환)
* 남아프리카: donker perd
(뛰니까 빠르다)
* 네덜란드: donker paard
(뛰니까 빠르다)
* 덴마크, 노르웨이: mork hest
((강한 말을) 몰까 했었다)
* 스웨덴: mork hast
((강한 말을) 몰까 했었다)
* 이탈리아: cavallo nero
((상대 말을) 깨 봐라 (결과를) 내라)
* 카탈루냐: cavall negre
(깨 버려라 (결과를) 내거라)
* 프랑스: cheval noir
((돈 다 꼴았다) 씨발 놈아)
* 포르투갈: cavalo escuro
((상대를) 깨 봐라 애쓰거라)
* 스페인: caballo escuro
((상대를) 깨 봐라 애쓰거라)
* 크로아티아: tamni konj
((그 말이) 탐나까네)
* 체코: tmavy kun
((그 말이) 탐나 삐까네)
* 중국: 黑馬 (흑마)
* 일본: ダークホース
((상대 말을) 다 깼어)
* 한국: 다크호스
((상대 말을) 다 깼어)
*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kuda hitam
((상대 말을) 깬다 했다메)
* 아이슬란드: dokkur hestur
((다 깨서) 돕기로 했었다)
* 아일랜드: capall dorcha
((상대 말을) 깨삐라 돌았지)
* 핀란드: musta hevonen
(무섭다 (시합을) 해보니)
* 독일: dunkles pferd
((시합에) 돈 걸었어 피하다)
* 폴란드: czarny kon
((줄을 먼저) 짜르니 까네)
* 헝가리: sotet lo
((이 말 때문에) 좆 됐더라)
* 터키: kara at
((상대 말을) 깨라 했다)
* 베트남: ngua o (우와! (잘한다))
dark horse(다크 호스) = 숨겨진 인물, 의외의 능력을 가진 사람 = (상대 말들을) 다 깼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