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사진처럼 주유표시 우측으로 ▶ 와같은 표시면 조수석측 후방에 주유구가 위치한다는 사실
~~셀프정비 자동차고장진단 ~~
(회원님들에게 도움드리고자 퍼온글 입니다 ^^)
매일매일 자동차 문화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하루도 자동차가 없으면 살아갈수가
없습니다. 이러한 자동차를 항상 최적의 양호한 상태로 만드는데는 그 자동차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항상 자동차에 애착을 가지고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자동차는 갑자기 고장이 나서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로는 되지 않습니다.
어느 시기에 가면 갑자기 고장이 덜컹나서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가 되는것이 아니라 어떠한 징후가 온다는것이지요..그 첫째가 평소와는 다는 어떠한 소리가 난다는 것이지요. 아래와 같은 몇가지 이상한 자동차 고장의 징후에 관한 소리를 올려 보겠습니다.
1) 시동을 걸었을때 샐샐샐샐하거나 딱딱하는 소리가 난다면 우선 V벨트의 노화의 징후입니다.
V벨트가 노후화 하면 주행중에 끊어지고 V벨트가 끊어지면 발전기가 돌지않고 발전기가 돌지않으면 충전이 되지않아 자동차가 멈춥니다. 또 V벨트가 끊어지면 핸들파워가 작동하지 않아 핸들이 잘 돌아가지 않습니다. V벨트의 교환주기는 개인택시의 경우 약 1년6개월정도에 한번 교환해 주는것이 좋습니다. 자가용의 경우 10KM정도에 교환해 주는것이 좋습니다.
2) 시동을 걸었을때 윙윙하거나 와글와글하는 소리가 난다면 이것은 V벨트의 베어링소리로 보시면 되고 V벨트베어링은 약25만km정도에 교환해주시면되고, 시동을 걸어놓았을때 꾸르릉꾸르릉 하거나 와글와글하는 소리가 나면 수동밋숑의 고장징후인데 밋숑오일이 말랐거나 싱크로나이져링이 파손으로 밋숑의 빠른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3) 주행중에 핸들을 돌였을때 딱딱하는 소리가 나면 등속죠인트의 고장이며 핸들을 왼쪽으로 돌렸을때 딱딱하는 소리가 나면 왼쪽등속죠인트가 오른쪽으로 돌렸을때 딱딱하는 소리가 나면 오른쪽 등속죠인트가 고장입니다.
4) 과속방지턱을 넘어가는데 넘기전에 바퀴가 과속방지턱에 닫는순간 따가닥하는 소리가 나면 앞 활대고무의 노후와의 소리이고 과속방지턱을 넘어가면서 떠거덕하는 소리가 나면 뒷 활대고무의 노후와의 징후입니다.
5) 주행중 노면의 울퉁불퉁한 곳에 바퀴가 빠지면 순간 딸깍하는 소리가 나면 하부 볼죠인트의 노후화의 징후이고 핸들을 돌리면서 딸깍딸깍하는 소리가 나면 핸들 앤드볼의 노후화의 징후입니다. 바로 교환을 필요로 합니다.
6) 주행중 옹벽같은곳을 지나면 샐샐하는 소리가 나거나 브레이크를 잡았을때 이상한 소리가 나면 브레이크 라이닝이 마모상태가 노후화하여 교환주기를 알려주는 소리입니다.
7) 주행중 윙윙하는 소리가 나거나 무엇이 끌히는 소리가 나면서 이상하게 기분나쁜 진동이 오면 하부베어링이 노후화하여 교환할때라고 알려주는 것으로 빨리 교환해야합니다. 계속몰고 다니면 베어링만 교환하는것이아니라 하부부싱을 교환해야하는 낭패를 겪게됩니다.
8) 브레이크를 잡았을때 자동차가 덜컹거리는 느낌을 받는다거나 핸들을 돌리는데 어딘가 모르게 차가 허느적거리는 느낌이거나 주행중이나 정지시에 엔진에서 이상하게 많은 소음이 난다면 엔진이나 밋숑의 미미의 노후와의 징후입니다.
9) 주행중에 오르막에 올라갈때 이상하게 차가 잘 나가지않거나 한다면 수동밋숑의 클러치 판의 교환주기가 다된것입니다.
10) 자동차를 몰고가는데 어딘가 모르게 차가 휘청거리거나 꼭 바람이 부는것처럼 차가 불안정하다면 뒷바퀴의 펑크가 난것으로 의심할수있습니다.
11)자동차를 몰고가는데 핸들이 어느쪽으로 쏠린다면 앞바퀴의 펑크로 예상할수있습니다.
*.자동차 고장 진단
1.시동이 안 걸릴 때
| 연료가 부족하다. | 엔진점화장치(배전기, 점화코일, 점화케이블, 점화플러그 등)의 결합상태 불량 또는 부품에 이상이 생겼다. | 엔진연료장치(연료펌프, 연료필터, 연료파이프)의 결함 또는 막혔다. | 공회전속도 조절장치 부품의 결함 또는 조정불량이다. | 배기머플러가 막혔다. | 엔진 점화시기가 불량이다. |
| | |
| 촉매변환기가 과열 손상되는 경우가 주원인이며 이 경우 연소가스가 제대로 배출되지 못해 시동이 안 되거나 시동이 걸렸다가 바로 꺼질 수 있다. | |
| | | | | |
2.주행 중 요동이 심하게 발생한다.
쇼크 업소버의 코일스프링 상수가 맞지 않는다. |
쇼크 업소버의 감쇠력이 부족하다. |
휠 얼라인먼트가 불량하다(휠 얼라인먼트가 불량할 경우 차량의 직진성, 조종안정성이 나빠져 노면상태나 횡풍에 의한 차체의 요동이 심해 짐). |
3.파워핸들이 평소보다 무겁게 느껴진다.
| | 타이어 공기압이 너무 적다. | 규격에 맞지 않는 광폭타이어 장착했다. | 파워핸들 오일이 부족하다(파워핸들은 오일의 압력에 의해 조향링크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오일이 부족할 경우 오일의 압력이 저하되어 조향핸들의 작동이 무거워짐) | 파워핸들 기어박스가 불량하다. | 휠 얼라인먼트의 변형되었다. | 전자제어 조향장치가 제어불량이다. |
|
4.브레이크를 밝았을 때 차체가 한쪽으로 쏠린다.
브레이크 패드 또는 라이닝이 많이 닳았다. |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이 늘어나거나 끊어졌다. |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 조정이 불량하다. |
브레이크 라이닝 자동간극조절장치 불량하다. |
5.타이어 부근에서 타는 냄새가 난다.
타이어 공기압이 너무 과다하다(이 경우 타이어 트래드의 중심부위가 가장자리보다 마모가 심함). | 타이어 공기압이 너무 과소하다(이 경우 타이어 트래드의 가장자리가 중심부위보다 마모가 심함). | 휠 얼라이먼트의 정렬이 틀려졌다. |
※ 무리한 운전 또는 도로조건일 경우에도 평소보다 빨리 마모될 수 있다. 조건이 좋지 않은 도로에서의 급가속, 급제동은 타이어 트래드의 톱니형태 마모를 가져올 수 있다. | |
6.주차 브레이크가 평소 보다 많이 올라간다.
브레이크를 과다하게 사용했다. | 주차 브레이크가 완전히 해제되지 않았다(이 경우에는 뒷바퀴 타이어에서 타는 듯한 냄새가 난다). |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의 유격조정 불량하다. | 브레이크 페달, 캘리퍼, 휠 실린더, 마스터 실린더 등이 이상하다. | 브레이크 라이닝 리턴스프링이 절손되었다(이 경우에는 뒷바퀴 타이어에서 타는 듯한 냄새가 난다). | 휠 또는 휠 커버가 불량품이다. |
7.전조등이 점등되지 않는다.
램프 퓨즈(40A, 엔진룸 퓨즈박스에 위치) 또는 전조등 퓨즈(10A, 엔진룸 또는 실내 퓨즈박스에 위치)가 끊어졌다. | 좌우 전조등 전구가 모두 끊어졌다. | 전조등 스위치(다기능 스위치)가 불량하다. | 전조등 작동 전기회로가 고장 났다. | 브레이크 라이닝 리턴스프링이 절손되었다(이 경우에는 뒷바퀴 타이어에서 타는 듯한 냄새가 난다). | 휠 또는 휠 커버가 불량품이다. |
8.AT차량에서 변속때 충격이 발생한다.
| 자동변속기 오일량이 너무 많거나 적다. | 자동변속기 오일의 열화 또는 점도가 불량하다. | 가속페달 케이블 또는 스로틀 위치센서 조정이 불량하다(이 경우 출발 및 정지 때 충격이 발생 됨). | 자동변속기 전자제어 계통이 이상하다. | 자동변속기 내부 유압라인에 이물질 유입되었다. | 자동변속기 내부의 각종 오일씰이 불량하다. | 엔진 또는 변속기 고정용 마운팅이 손상됨. |
|
9.AT차량에서 출발이 힘들고 가속이 힘들다.
4단 변속기 또는 TCU 퓨즈(10A, 실내 퓨즈박스에 위치) 끊어졌다. | 자동변속기 제어계통의 전기장치에 이상이 생겼다. | 자동변속기 내부의 유압회로에 이상이 생겼다. | 자동변속기 내부의 작동부품이 과다하게 마모되었다. |
| |
10.방향 지시등이 점등 되지 않는다.
방향지시등 퓨즈(10A, 실내 퓨즈박스에 위치) 끊어졌다. | 방향지시등 릴레이(플래셔 유니트)가 불량하다. | 비상등 스위치 불량하다(방향지시등 작동 때 비상등 스위치를 통해서 전기가 공급되기 때문에 비상등 스위치가 고장 날 경우 방향지시등이 작동이 되지 않음). | 방향지시등 스위치(다기능 스위치)가 불량하다. | 방향지시등 작동 전기회로가 고장(전기배선의 끊어짐, 커넥터 이탈)났다. |
※ 브레이크등 역시 점등되지 않을 경우 10A 퓨즈를 점검하고, 브레이크등 전구 및 다기능 스위치를 확인하면 된다. 11.주행 중 전조등이 희미해진다.
배터리 터미널이 부식되거나 느슨해졌다. | 팬벨트 장력이 느슨해졌다(이 경우에는 엔진시동이 걸려있는 상태에서 전조등을 껐다가 10분 정도 지난 다음에 전조등을 켰을 때 밝아진다. 그러나 엔진 시동이 걸려있는 상태이므로 전조등을 끄게 되면 전기소모량이 적어져 비록 팬벨트의 장력이 느슨하더라도 어느 정도 충전이 되면 다시 전조등을 켰을 때 전조등이 밝아지게 된다). | 발전기 B+단자 조임 불량 또는 손상되었다. | 충전계통 전기배선이 접촉 불량이다. |
12.히터 작용때 더운 바람이 나오지 않는다.
| 엔진이 과냉각되었다(히터의 더운 바람은 뜨거운 엔진 냉각수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엔진 냉각수온도가 너무 낮으면 히터바람을 충분히 데우지 못하므로 미지근한 바람이 나오게 됨). | 히터코어로 엔진 냉각수가 공급되지 않았다(실내에 있는 히터코어가 막히거나 히터코어로 연결되는 냉각수 파이프 또는 호스가 손상될 경우 히터코어로의 냉각수 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음). | 히터 온도조절장치의 고장났다. |
|
13.에어컨 작동때 냄새가 난다.
외기와 내기의 공기온도 차이가 많이 나면 냄새 날 수 있다. | 통풍구 선택이 외기로 되어있을 경우 또는 내기선택이 되어 있더라도 외기유입통로가 완벽하게 차단되지 않았다(이 경우 외부의 배기가스나 엔진룸의 냄새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음). | 에어컨 에바포레이터나 통풍구 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었다(이 경우 유입된 이물질과 습기가 혼합되어 에바포레이터나 통풍구에 점착되면 세균번식 또는 부식에 의한 냄새가 발생됨). | 에바포레이터가 과냉각 되었다(이런 경우 순간적인 공기온도 차이에 의해 깩깩한 냄새가 발생되고 동시에 바람세기도 현저하게 약해짐). |
14.파워윈도가 작동때 소음이 난다.
파워윈도 유리를 고정시키는 레귤레이터 고정볼트의 풀렸다. | 파워윈도 레귤레이터 케이블의 일부 손상되었다. | 파워윈도 레귤레이터 섭동부의 윤활 불량이다. | 파워윈도 유리 가이드고무의 비틀림 또는 재질 불량이다. | 도어 상단부 프레임이 휘어졌다(이 경우 유리의 곡면각도와 도어의 곡면각도가 맞지 않아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발생 됨). |
| | | 파워윈도 유리 가이드레일의 장착위치가 불량하다. | | | | |
15.충전 경고등이 계속 점등된다.
| 발전기 구동벨트(팬벨트)가 느슨하거나 끊어졌다. | 발전기가 불량하다. | 워터펌프가 고착되었다(워터펌프와 발전기는 같은 벨트로 구동되기 때문에 워터펌프가 고착되면 벨트구동이 되지 않고 엔진룸에서 ‘삐익’ 하는 소음이 발생 됨). | 충전계통 전기회로가 고장났다 |
|
|
~~~~~~~~~사고시 상대방 보험사랑 합의요령~~~~~~~~~~

퍼온글입니다 좋은자료라 자유게시판에 올립니다 사고시 참조들하세여 ^^


첫댓글 좋은정보네요.시간날때 공지로 해놔야겠어요.
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