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 사직단社稷壇에 내린 눈
-삼척시 오십천로 301-30 원당현대아파트 단지 내
2014,01,22. 08:30
![](https://t1.daumcdn.net/cfile/blog/25721E4852DFBB4B28)
눈이 내린 원당현대아파트 104동,뒤에 사직단이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40E5E4852DFBB381A)
원당현대아파트 101동 옥상에서 촬영한 삼척의 모산 눈에 덮힌 두타산 원경이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562FF4852DFBB3B31)
오십천이 가가히 보이고 멀리 눈에 덮힌 근산의 원경이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7046F4852DFBB3F1E)
원당동에 있는 복지관 옆으로 오십천이 흐르고,절벽 위에 고급 목조2층집들이 눈속에 그림처럼 앉아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169CB4852DFBB422D)
가까히는 오십천과 죽서루와 문예회관이,멀리는 봉황산에 하얀 눈옷 갈아 입고 아침을 맞는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270D44852DFBB452B)
오십천 절벽 위 죽서루와 그 뒷편 봉황산이 가깝게 다가온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76DE44852DFBB352B)
![](https://t1.daumcdn.net/cfile/blog/220DD34F52DFBBDC0D)
아파트 주차장,눈을 뒤집어슨 차량들
![](https://t1.daumcdn.net/cfile/blog/236AFB4F52DFBBEA1F)
아파트 뒷산의 눈옷을 갈아 입은 송림
![](https://t1.daumcdn.net/cfile/blog/2406AE4F52DFBBE310)
삼척사직단 겨울풍경1
![](https://t1.daumcdn.net/cfile/blog/220AF74F52DFBBDF0E)
삼척사직단 겨울풍경2
![](https://t1.daumcdn.net/cfile/blog/22182F4F52DFBBE607)
삼척사직단 겨울풍경3
삼척 사직단은 지금의 원당동 현대아파트 104동 뒤, 원터에서 65m로 이전하여 자리잡고 있다.사직단 옛 터
가 1995년 1월 5일 지표 조사가 완료됐고, 삼척 사람들의 정신적 구심점이 되던 곳이다. 사직단 터를 찾아
낸 후 그 터에 후손들과 행정의 무지로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아파트 업체가 복원 기부채납하였다.정상부를
중심으로 7- 7.5m씩 폭 0.5- 0.7m 크기이다. 사직단은 내부에 담장이 있고, 사방으로 신문神門이 설치되고,
삼도로 연결되어 있다.
사직단社稷壇은 조선시대에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사직社稷'이란 토지의 신인
‘사社’와 곡식의 신인 ‘직稷’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사직은 풍흉과 나라의 운명을 좌우한다고 믿었다.
토지의 신에게 제사 지내는 국사단은 동쪽에, 곡식의 신에게 제사 지내는 국직단은 서쪽에 배치하였으며,신
좌는 각각 북쪽에 모셨다.제사는 2월과 8월,동지와 섣달 그믐에 지냈다.나라에 큰 일이 있을 때나 가뭄에 기
우제 그리고 풍년을 비는 기곡제들을 사직단에서 지냈다.
그런데 삼척사직단三陟社稷壇은 토지신의 국사단國社壇과 곡식신의 국직단國稷壇이 동서로 따로 배치 없이
사社와 직稷이 구별이 없음은 왜 일까?『척주지陟州志』에는「사社는 동쪽에 두고 직稷은 서쪽에 두었는데」
라고 기록이 있는데...,
삼척 사직단은 1662년 삼척부사 미수 허목이 저술한 『척주지陟州志』에「현종 2년 1661년 신축년에 왕의
하교로 열읍에 제사지내는 제단을 수리하라고 하였다. 사직단은 부 서쪽에 있다. 사社는 동쪽에 두고 직稷은
서쪽에 두었는데 단의 길이는 2장 5척이고 높이는 3척이다」기록 돼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15145335204F12E16)
<참고>▲▼서울사직단
![](https://t1.daumcdn.net/cfile/blog/260F574052E0404201)
▲사직단유도설社稷壇遺圖說
1)국사지신國社之神/국직지신國稷之神:조선 세종때 황희,허조,맹사성이 「예기」
제법편을 다라 국사지신과 국직지신으로 개정했다.
2)판위版位:제사를 올리는 제관이 서 있는 자리
3)음복위飮福位:제사음식을 음복하는 음복위를 직단위의 신좌 동북쪽에 남향으로
설치함.
4)예감:제사를 마친후 폐백을 묻는 장소
5)등가登歌:사직제사에서 음악을 연주할때 사용되는 악기편성으로 대청위나 단위
에서 연주함. 유의,복문 안에서 연주함
6)헌가軒歌:등가登歌:사직제사에서 음악을 연주할때 사용되는 악기편성으로 복문
밖에서 연주함
7)헌가軒架는 헌가軒歌를 하는 곳
▼등봉동풍경 -눈이 함박 내린
2014,01,22,12:30
![](https://t1.daumcdn.net/cfile/blog/2425724F52DFBBF201)
등봉동 설화1
![](https://t1.daumcdn.net/cfile/blog/2412514F52DFBBF60B)
등봉동 설화2
![](https://t1.daumcdn.net/cfile/blog/2640894F52DFBBEE35)
등봉동 설화3
![](https://t1.daumcdn.net/cfile/blog/2208735052DFBC8831)
등봉동 설화4
![](https://t1.daumcdn.net/cfile/blog/274BFF3952DFBE571B)
등봉동 설화5
![](https://t1.daumcdn.net/cfile/blog/2179C54852DFBB3225)
눈과 강아지
![](https://t1.daumcdn.net/cfile/blog/2434CD5052DFBC9E1C)
눈밭의 발자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