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들은 모른다. 신경이 곤두서기도 하고 느닷없이 우울함에 빠지기도 하고 아랫배에서 허리까지 전해오는 묵직한 통증 때문에 앉았다 일어나기조차 힘든 그 느낌을. “혹시 그 날이니”라고 묻는 남자친구나 남편이 유독 미워 보이는 심정을. 단지 생물학적으로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달마다 일주일씩이나 이 기분 나쁜 기간을 보내야 한다는 사실이 억울하고 처량맞다.
더군다나 안타까운 건 생리통(월경통)으로 병원 신세까지 지는 여성이 최근 5년간 47.93%나 늘었다는 사실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07년 8만6,187명이던 생리통 진료 환자 수가 2011년 12만7,498명으로 뛰었다. 동병상련의 심정을 잠시 접어두고 생리통 통계와 원인 등을 차분히 조목조목 따져보기로 한다.
연령대별로 구분하면 2011년 생리통 진료 환자는 20대가 가장 많다. 5만3,610명으로 전체 환자의 42.05%다. 30대(23.61%)와 20대 미만(18.84%), 40대(13.62%), 50대 이상(1.88%)이 차례로 뒤를 잇는다. 연령대별 인구수를 고려한 인구 10만 명당 환자 수로 봤을 때도 20대가 1,655명으로 가장 많고 이후 순위도 동일하다. 언뜻 보면 생리통이 20대에 주로 나타났다가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줄어드는 것처럼 생각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엔 함정이 있다.
물론 20대 환자가 증가한 건 분명한 사실이다. 다만 실제로 생리통 증상을 겪는 젊은 여성들이 정말 많아졌는지, 아니면 산부인과 방문을 꺼리던 과거에 비해 적극적으로 찾는 여성이 늘어서 진료 건수가 많이 집계됐는지는 명확히 판단하기 어렵다. 또 예전에는 생리통이 있어도 그냥 무턱대고 참는 경우가 많았지만, 요즘 들어선 병으로 여기고 치료하려는 인식이 확산된 영향이 반영된 결과라는 추측도 있다.
30대 이상 여성의 생리통 진료 건수가 20대보다 적은 건 증상 자체가 줄었다기보다 나이가 들수록 자궁에 생리통을 일으키는 구체적인 병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전문의들은 분석하고 있다. 생리통만을 치료하는게 아니라 자궁질환을 치료하면서 생리통을 함께 해결해야 하는 여성들이 20대보다 상대적으로 많다는 얘기다.
아랫배 통증을 비롯해 변비와 구토, 오심, 두통, 피부 트러블, 소화불량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 생리통은 겉으로는 다 비슷비슷해 보이지만 원인이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보통 생리가 시작되면 자궁내막에서 프로스타글란딘이란 물질이 나오면서 혈액을 타고 온몸으로 퍼진다. 이 과정에서 증상이 나타나는 걸 의학적으로 원발성 생리통이라고 부른다. 월경 자체가 원인인 일반적인 생리통이다.
자궁이나 난소에 혹이나 불필요한 조직이 생겨도 생리통과 비슷한 증상을 일으킨다. 이는 원발성 생리통과 구별해 이차성 생리통이라고 불린다. 이차성 생리통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병은 자궁내막증으로 꼽힌다. 자궁내막 조직 일부가 엉뚱하게도 난소나 복막에 자라면서 주변 조직과 달라붙는 것이다. 자궁에 마치 덩어리가 박혀 있는 것 같은 자궁근종, 자궁 근육이 두꺼워지면서 자궁 전체가 커지거나 부푸는 자궁선근증도 대개 생리통을 동반한다.
원발성과 이차성 생리통은 증상은 비슷해도 원인이 다른 만큼 치료 방법도 달라야 한다. 원발성은 통증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는 프로스타글란딘의 농도를 낮추는 등의 방법으로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시중에 나와 있는 해열소염진통제를 복용하는 게 바로 이런 방식이라고 보면 된다.
이차성 생리통은 원인 질환을 치료하는 게 급선무다. 자궁내막증이나 자궁근종, 자궁선근증 모두 이론적으로는 발병 부위를 제거하는 수술이 필요하지만, 최근에는 자궁 질환이 미혼이나 임신 전의 젊은 여성들에게서도 자주 나타나기 때문에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방법을 그때그때 적용해 치료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나궁내막증이 난소에 생겼을 경우 난소 전체를 수술하는 것보다는 어느 정도 재발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실제 병이 있는 부위만 골라 수술하고 정상 난소는 남겨놓는 식이다. 덩어리의 경계가 뚜렷한 자궁근종에 비해 자궁선근증은 병변이 자궁에 퍼져 있어 부분 수술이 쉽지 않아 약물치료를 우선 고려하기도 한다.
자궁 질환이 발견됐다고 해서 무조건 다 수술하거나 치료해야 하는 건 아니다. 생리통이나 생리과다, 빈뇨 같은 연관 증상이 없으면 일단 주기적으로 관찰하면서 지켜보는 게 우선이다. 최근 들어 일부 병원이 자궁 질환에 고강도 초음파를 쏘아 병이 생긴 부위만 태워 없애는 시술(하이푸)을 지나치게 많이 한다는 지적이 의료계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환자 스스로 최신 장비를 이용한 시술에 대해선 의학적으로 충분히 검증됐는지를 의료진에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하이푸는 자궁근종 치료에 대해선 몇 가지 예외 경우를 제외하고 적용할 수 있지만, 자궁선근증 치료에 대해선 아직 효과가 입증되지 못했고 국제학계의 지침도 나오지 않았다.
글 / 한국일보 문화부 의학 담당 임소형기자
|
출처: 국민건강보험 블로그「건강천사」 원문보기 글쓴이: 건강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