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근담(菜根譚) 前集 63.군자는 중용의 길을 가거나 무(無)의 경지에 있어야 온전하다.
敧器(기기)는 以滿覆(이만복)하고 撲滿(박만)은 以空全(이공전)이라。
故(고) 君子(군자)는 寧居無(영거무)하며 不居有(불거유)하며 寧處缺(영처결)이언정 不處完(불처완)이라。
기기(敧器)에 물이 가득 차면 엎어지고 박만(撲滿)은 비어 있으면 온전하다.
그러므로 군자는 차라리 무(無)에 살지언정 유(有)에 살지 않으며, 차라리 모자라는 곳에 머물지언정 완전한 곳에 있으려 하지 않느니라.
敧器(기기) : 기울게 만든 그릇. 주(周)나라 때에 임금을 경계(警戒)하기 위하여 만들었다는 그릇. 물이 그릇에 알맞아야만 반듯하게 놓였다고 함. 敧는 기울어질 ‘기’. 속이 비면 기울어지고 물이 반쯤 담으면 똑바로 서며 가득 담으면 넘어져서 쏟아지는 그릇이다.
撲滿(박만) : 흙으로 만든 벙어리 저금통. 벙어리. 撲은 칠‘박’. 滿은 찰 ‘만’. 돈이 들어갈 만한 구멍만 있고 꺼낼 수는 없어 돈이 가득 차면 깨뜨려야 한다. 즉, 속이 빔으로써 用(용)이 되고 속이 차면 無用物(무용물)이 되는 것이다.
카페 게시글
고전명언
채근담(菜根譚) 前集 63.군자는 중용의 길을 가거나 무(無)의 경지에 있어야 온전하다.
미션
추천 1
조회 24
24.02.19 09:18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