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지 (十地)
글자 크기
의견 제시
URL 복사페이스북 공유트위터 공유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7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7
불교 개념
『화엄경』 10지와 천태종의 통교 10지 등 보살이 수행해야 한다는 10가지 단계의 불교수행법.
접기/펼치기
목차
정의
내용
참고문헌
접기/펼치기
정의
『화엄경』 10지와 천태종의 통교 10지 등 보살이 수행해야 한다는 10가지 단계의 불교수행법.
접기/펼치기
내용
『화엄경』에서 천명한 52위 중 제41에서 제50까지의 10지와 천태종(天台宗)의 통교(通敎)주1 10지가 있다. 『화엄경』의 10지설은 우리 나라 화엄종을 비롯한 교종에 크게 영향을 미쳐, 불교학을 공부하는 승려는 반드시 숙지하여야 하는 기본이 되었다. 고려와 조선시대의 교종선(敎宗選)에는 10지에 관한 문제가 반드시 나왔으므로 승려들이 10지에 관하여 올바로 이해하지 못하면 시험에 응시할 수조차 없었다.
또한, 보살은 이 10지위(十地位)에 오르게 될 때 비로소 무루지(無漏智)주2를 내어 불성(佛性)을 보고, 성자(聖者)가 되어 불지(佛智)주3를 보존함과 아울러 널리 중생을 지키고 육성하기 때문에 이 수행계위주4를 ‘지위(地位)의 십성(十聖)’이라 한다.
또 이들을 ‘지상(地上)의 보살’이라 하며, 초지주5인 환희지(歡喜地)주6에 오른 보살을 ‘등지(登地)의 보살’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 이전의 보살을 지전(地前)의 보살, 십주(十住) · 십행(十行) · 십회향(十廻向)을 지전의 30심(心)이라고 한다.
10지 가운데, ① 환희지는 처음으로 성자가 되어 진실로 희열이 가득찬 지위이고, ② 이구지(離垢地)는 잘못을 일으켜 계(戒)를 파하거나 번뇌를 더하는 것을 떠난 맑고 깨끗한 지위이며, ③ 발광지(發光地)는 선정(禪定)에 의하여 지혜의 빛을 얻고, 나아가 문혜(聞慧)주7 · 사혜(思慧)주8 · 수혜(修慧)주9의 세 가지 지혜를 닦아 진리가 밝혀지는 자리이다.
그리고 ④ 염혜지(焰慧地)는 앞의 3지에 의하여 사견주10을 여의고 번뇌를 태워서 지혜의 본체를 깨닫는 지위이고, ⑤ 난승지(難勝地)는 지혜와 지식이 조화를 이룩한 자리로서 확실한 지혜를 얻어서 그 이상의 지위로 올라가기가 곤란한 지위일 뿐아니라, 출세간(出世間)의 지혜를 얻어서 자유자재한 방편으로 구하기 어려운 중생을 구원하는 지위이며, ⑥ 현전지(現前地)는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주11의 대지(大智), 마음의 모습이 눈앞에 나타난 지위이다.
또한 ⑦ 원행지(遠行地)는 무상(無相)주12행(行)을 닦아 마음의 작용이 세간(世間)주13을 뛰어넘었으며, 지혜로운 방편을 가지고 멀리 가는 지위이다. 특히, 이 지위의 특징은 위로 구해야 할 깨달음이 없고 아래로 구원하기 어려운 중생도 없기 때문에 무상(無相)적멸(寂滅)주14의 이치에 잠겨 수행을 중단하는 위험이 뒤따른다고 하였다.
⑧ 부동지(不動地)는 무상(無相)의 지혜가 끊임없이 일어나서 다시는 번뇌에 의하여 동요되지 않는 지위로서, 신라의 원효(元曉)는 이 제8지의 보살로 추앙받고 있다. ⑨ 선혜지(善慧地)는 보살이 거리낌 없는 힘으로 설법하여 이타행(利他行)을 완성하고 지혜의 작용이 자재한 지위이며, ⑩ 법운지(法雲地)는 대법신(大法身)을 얻어서 자재력을 갖춘 자리로 대자비(大慈悲)주15가 구름처럼 일어나는 지위이다.
신라의 원효는 이들 10지를 다시 여섯 가지로 나누어 해석하였다. 즉, 초지의 환희지는 마음이 깨끗한 경지라 하여 정심지(淨心地)라고 하였고, 제2 이구지부터 제6 현전지까지는 윤리적 덕성이 다 갖추어진 경지라고 하여 구계지(具戒地)라고 하였으며, 제7 원행지는 대상에 집착함이 없이 모든 방편을 구사하는 무상방편지(無相方便地)라고 하였다.
또, 제8 부동지는 대상적인 사물로 말미암아 동요됨이 없는 색자재지(色自在地)라고 하였고, 제9 선혜지는 자기 마음에 결박됨이 없는 심자재지(心自在地)라고 하였으며, 제10 법운지는 보살로서의 수행이 다한 보살진지(菩薩盡地)라고 하였다.
우리 나라 천태종에서 널리 채택되었던 통교의 10지는 화엄종의 10지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즉, 화엄종의 10지는 보살의 완숙한 경지를 설명한 것이고, 천태종의 10지는 초발심(初發心)주16의 단계에서 부처의 지위까지를 열 가지로 분류한 것이다.
통교 10지 중, ① 건혜지(乾慧地)는 진리를 관찰하려고 하는 지혜에 대한 생각은 많으나 아직 선정(禪定)의 물이 윤택하지 못한 경지로서, 성문(聲聞)의 삼현위(三賢位)와 보살의 초발심부터 순인(順忍)주17을 얻기 전까지가 여기에 해당한다. ② 종성지(種性地)는 제법실상(諸法實相)을 애착하지만 삿(邪)된 견해를 일으키지 않고 지혜와 선정이 수반되는 경지로서, 성문의 사선근위(四善根位)와 보살의 순인의 지위가 여기에 해당한다.
③ 팔인지(八忍地)는 성문이 여덟 가지 인욕(忍辱)과 일곱 가지 지혜를 이룩하는 지위이고, 보살이 무생법인(無生法忍)을 얻는 지위이다. ④ 견지(見地)는 수행의 기틀이 잡힌 불퇴전(不退轉)의 지위이다. ⑤ 박지(薄地)는 번뇌가 엷어져서 크게 맑아진 경지이다. ⑥ 이욕지(離欲地)는 욕계(欲界)주18의 번뇌가 없어지고 오신통(五神通)주19을 얻는 경지이다. ⑦ 이작지(已作地)는 무생지(無生智)를 얻은 경지이다.
⑧ 벽지불지(辟地佛地)는 인연의 법을 관찰하여 깨달음을 이룬 경지이다. ⑨ 보살지(菩薩地)는 보살이 초발심에서 금강삼매(金剛三昧)를 이루는 경지까지를 뜻한다. ⑩ 불지(佛地)는 일체종지(一切種智)주20 등의 모든 진리가 완전히 구비된 자리이다.
이와 같은 10지는 서로 도와서 불과(佛果)주21에 이르게 하는 것이며, 보살의 육바라밀(六波羅蜜), 성문의 십팔불공법(十八不共法) 등을 행함으로써 제10지인 불지에 이르게 된다고 한다.
접기/펼치기
참고문헌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원효)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원효)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체관)
『화엄경(華嚴經)』
『대지도론(大智度論)』
『원효사상』(이기영, 홍법원, 1967)
접기/펼치기
주석
주1
화법 사교의 하나. 성문(聲聞)ㆍ보살ㆍ연각(緣覺)이 공통으로 받는 법(法)으로, 공무생멸(空無生滅)의 이치에 따라 인연ㆍ사제(四諦)의 법을 살피어 알게 하는 교법이다. 얕고 깊은 법을 함께 말하고 있어 사람의 근기(根機)에 따라 얕게도 깊게도 해석할 수 있는데, 근기가 둔한 사람이 이 교를 얕게 해석하면 장교(藏敎)를 얻게 되고, 영리한 사람이 깊게 해석하면 별교(別敎)와 원교(圓敎)에 들어간다. 우리말샘
주2
번뇌에 젖지 않은 깨끗한 경계(境界). 우리말샘
주3
진리를 완전히 깨달은 부처의 지혜. 우리말샘
주4
지위나 계층 따위의 등급. 우리말샘
주5
산의 비탈이 끝나는 아랫부분. 우리말샘
주6
십지(十地)의 첫 단계. 보살이 일대(一大) 아승지겁(阿僧祗劫)의 수행을 하여 미혹을 끊고 이치의 한 부분을 증득(證得)한 경지로, 이 경지에 이른 사람은 이대(二大) 아승지겁을 지난 뒤에 성불한다. 이 단계에 이르면 자리이타의 행(行)을 이루어서 마음에 기뻐함이 많다 하여 이르는 말이다. 우리말샘
주7
삼혜(三慧)의 하나. 경전을 보고 배우거나 선각자로부터 들어서 얻은 지혜를 이른다. 우리말샘
더보기
접기/펼치기
관련 항목
교종 불교 개념 조선시대에 11종, 7종, 선교양종 등에 속했던 불교종파.
불교학 불교 개념 불교의 조직 · 사상 · 의식 · 신앙 · 역사 · 문화 등을 연구하는 분야의 학문.
고려 고려시대사 지명 918년 개성 출신 왕건이 건국하여 936년 후삼국을 통합한 뒤 1392년 멸망 때까지 34명의 왕씨 출신 국왕이 474년 동안 통치한 왕조.
조선 조선시대사 지명 1392년부터 1910년까지 518년간 한반도에 존재한 왕조 국가.
교종선 불교 제도 고려시대 및 조선 전기에 시행되었던 승과(僧科) 중 교종의 승려를 선발하던 과거제도.
보살 불교 개념 주로 북방불교에서 이상적인 인간상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구도자.
불성 불교 개념 미혹이나 깨달음에 의하여 변하는 일 없이 본래부터 중생에게 갖추어져 부처를 이룰 수 있는 근본 성품을 의미하는 불교교리.
더보기
접기/펼치기
관련 미디어
(3)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7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7
십지경
십지경
부천 만불선원 십지경론 이구지·난승지 2책
부천 만불선원 십지경론 이구지·난승지 2책
다음 슬라이드이전 슬라이드
접기/펼치기
집필자
이지수
불교 인물
거관
조선 후기에, 설악산 신흥사로 출가하여 정업에게서 구족계를 받은 승려.
불교 인물
경식
개항기 때, 해인사 완허의 제자로 평신에게 선교를 배운 승려.
불교 인물
뇌학
조선후기 명주사 자흠의 제자로 설송의 법맥을 계승한 승려.
불교 유적
대련사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봉수산(鳳首山)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승려 의각과 도침이 창건한 사찰.
불교 유적
대산사
경상북도 청도군 각남면 월은산(月隱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원효가 창건한 사찰.
불교 인물
덕기
일제강점기 범어사 주지, 임시정부 고문 등을 역임한 승려.
불교 유적
도솔암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고령산(高嶺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도선이 창건한 암자. 보광사.
불교 유적
만경사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북한산(北漢山)에 있는 조선후기 문신 홍이상이 창건한 사찰.
불교 유적
만월암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道峰山) 만장봉(萬丈峰)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의상이 창건한 암자.
불교 유적
망경사
강원도 태백시 태백산(太白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자장이 창건한 사찰.
불교 문헌
목련경
석가모니의 제자 목건련의 지극한 효성을 수록한 불교경전.
불교 유적
묘봉암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팔공산(八公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심지가 창건한 암자. 은해사.
불교 인물
묘잠
조선후기 영혈사 성률의 제자로 설우의 법맥을 계승한 승려.
불교 인물
무외
조선후기 『대원집』을 저술한 승려.
불교 유적
미륵암
경기도 의정부시 부용산(芙蓉山)에 있는 조선전기 혜암이 창건한 암자.
불교 유적
미륵암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五臺山)에 있는 삼국시대 에 창건된 암자. 월정사.
불교 문헌
반야경
대승불교 초기에 반야부 경전을 집대성한 불교경전.
불교 유적
반월암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삼성산(三聖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원효가 창건한 암자.
불교 유적
백운사
경기도 의왕시 백운산(白雲山) 동남쪽에 있는 조선후기 청풍김씨가 중건한 사찰.
불교 유적
백화암
경기도 양주시 불곡산(佛谷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도선이 창건한 암자.
불교 유적
법련사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조선후기 에 창건된 사찰.
불교 인물
법함
조선후기 석왕사(釋王寺) 성지수호선교양종도총섭, 오대금강계단도원장 등을 역임한 승려.
불교 개념
법화사상
『법화경』을 근본으로 삼아 삼제원융과 삼천실상의 이론과 일심삼관과 일념삼천의 실천법을 제시한 불교교리.
불교 개념
법화삼매
『법화경』에 근거해 여섯 때를 정해 참회 · 권청 · 수희 · 회향 · 발원 등 5문의 차례에 따라 죄업을 참회하는 불교수행법. 육시오회.
불교 의례·행사
법화회
매년 11월 16일에서 정월 15일까지 당나라 적산의 신라 법화원(法花院)에서 『법화경』을 강의한 종교의례. 불교의식 · 강경의식.
불교 유적
보덕사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왕방산(王訪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도선이 창건한 사찰.
불교 유적
보문사
강원도 원주시 치악산(雉岳山)에 있는 고려시대 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찰.
불교 개념
보임
보호임지의 준말로 돈오점수설에 따라 깨달은 뒤에 더욱 갈고 닦아야 한다는 불교수행법. 보림.
불교 문헌
보현행원품
보현보살의 행원(行願)을 기록한 불교서.
불교 유적
복흥사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영북면에 있었던 고려전기 에 창건되어 승려 원융국사 · 혜덕왕사 등을 배출한 사찰.
불교 유적
봉녕사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광교산(廣敎山)에 있는 고려후기 승려 원각국사가 창건한 사찰.
불교 유적
봉복사
강원도 횡성군 청일면 덕고산(德高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자장이 창건한 사찰.
불교 유적
봉성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산(北漢山)에 있는 조선후기 총섭승 성능이 창건한 암자.
불교 유적
봉암사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감악산(紺岳山)에 있는 조선후기 승려 창헌이 중건한 사찰.
불교 유적
부황사
경기도 고양시 신도읍 북한산(北漢山)에 있었던 조선후기 승려 심운이 창건한 사찰.
불교 문헌
사미율의
사미가 지켜야 할 십계와 예법에 대하여 서술한 계율서. 불교서.
불교 문헌
사분율
출가한 승려가 불법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계율에 대하여 서술한 계율서. 불교서.
불교 의례·행사
사참
스스로의 행동을 뉘우치는 대표적인 불교 의식을 지칭하는 용어. 참회법.
불교 개념
삼매
하나의 대상에만 마음을 집중시켜 일심불란한 경지를 가리키는 불교교리.
불교 유적
상무주암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지리산(智異山)에 있는 고려후기 승려 보조국사가 수행승들과 함께 창건한 암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