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군 악양면의 형제봉(성제봉)은
지리산 남부능선의 끝자락이 섬진강에 잠기기 전에 우뚝 솟은 봉우리다.
멀리 천왕봉에서 제석봉 촛대봉을 거쳐 비경의 남부능선을 따라 이어져 온 지리의 산세는
비옥한 대지를 빚어내는 성제봉~신선봉을 끝으로 섬진강에 잠긴다.
지리산의 산세는 섬진강 밑을 지나 다시 광양의 백운상으로 이어진다.
성제봉은 세석에서 시작되는 남부능선의 종착 봉우리로 불리지만 대개 남부능선 등반에서는 제외되고 있다.
이는 세석~삼신봉~성불재 구간에서 대부분 불일폭포, 쌍계사 코스로 직행하고
비교적 많은 시간과 체력을 소모하는 성불제~성제봉 코스를 포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넓은 의미의 남부능선은 분명 세석~삼신봉~성불제~성제봉~신선봉~고소산성에 이르는
30KM의 장쾌한 능선이지만 대개 세석~삼신봉~쌍계사간 20km 구간만을 산행 대상으로 여기고 있다.
쌍계사, 불일폭포 등의 빼어난 경관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성불재~성제봉~신선봉~고소산성구간의 빼어난 산세 역시 불일폭포난 쌍계사에 결코 뒤지지 않는다.
해발 1,115m의 성제봉은 우뚝 솟은 봉우리가 우애깊은 형제와 흡사하다해 붙여진 지명으로
성제는 형제의 경상도 사투리이다.
남부능선의 끝자락이면서도 정작 남부능선 종주산행에서 제외되곤 하는 성제봉이지만
그 자체만으로도 훌륭한 산행대상지여서 최근 주말 산꾼들에게는 큰 인기를 끌로 있다.
소설 "토지"의 주무대인 악양면 평사리 들녁의 풍성함과 아름답고 푸르게 흐르는 섬진강의 비경
그리고 섬진강 건너 자리의 지맥이 그대로 이어져 우뚝 솟은 백운산의 자태를 만끽할 수 있는 곳이 바로 성제봉이기 때문이다.
삼신봉에서 성불재,재원재를 지나 시루봉 못미쳐 삼거리에서 오른쪽으로 가면 성제봉이 나온다.
삼거리에서 왼쪽으로 가면 시루봉을 지나 조식선생이 넘었다는 회남재를 거쳐 청학동과 묵계에 이를 수 있다.
성불재에서 성제봉까지도 대략 2~3시간이면 닿는다.
성제봉의 등산로는 대부분 악양면 등촌리에서 시작되는데
하산은 신선봉,고소성을 따라 19번 국도로 향하는 코스와 성불재를 거쳐 쌍계사로 향하는 코스가 있다.
주말 산꾼들은 주로 악양면 등촌리를 시발점으로 해 성제봉에 올랐다가
고소성을 따라 하산하기도 하며 쌍계사까지가는 경우도 있다.
지리산 산행이라기보다 독립된 성제봉으로서의 산행을 만끽할수 있다.
성제봉을 산행하면서 음미해 볼수 있는 것은 해발300m에 위치해 있는 고소성과 토지의 평사리
그리고 중국의 악양형과 지세가 유사하다는 악양의 절경을 들수 있다.
또한 매년 철쭉이 만개할 시기에 [성제봉 철쭉제]가 개최되어 산악인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한다.
지난 66년 사적 제151호로 지정된 고소성은 하동에서 화개장터로 향하는 국도 19번을 따라
차 편으로 20여분 거리로 지리산의 여맥이 성제봉에서 흘러 섬진강으로 떨어지기 직전 해발 300m에 위치해 있다.
먼 옛날 삼국시대의 아픈 역사가 살아 숨쉬고 있는 고소산성은 정확한 축조시기 등에 관한 유래는 전해지지 않고 있으나
천연의 요충지에 위치해 있으나 천연의 요충지에 위치해 있는 만큼
000여년전 삼국시대 당시 이 요충지를 중심으로 치열한 접전이 벌어졌으리라 추축해 볼수 있다.
그러나 이 설은 당시 나당연합군과 주력부대가 금강을 침공할 때 소정방이 군을 지휘했던 점과
악양일대의 지명이 중국의 그것과 흡사해 산성이름에 소정방을 끌어들였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신빙성이 덜하다는 주장이 있다.
오히려 신라가 백제와 왜와의 협력을 차단할 목적으로
그 이전에 산성을 축조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아무튼 고소성은 신라인에 의해 백제를 견제 또는 침공할 목적으로 축조했음을 엿볼 수 있다.
이외에 고소성의 축조 유래는 소송이에 얽힌 전설도 전해져 오고 있다. 蘇장군의 부친과
모친 경주 金씨는 후손이 없어 걱정을 하던 중 어느날 金씨 꿈에 신령이 나타나
진주부근으로 이사를 하면 후손을 볼 것이라고해 그대로 했더니 아들을 얻었다 한다.
그후 蘇장군이 성장, 外城을 쌓으라는 어머니 김씨의 명에 따라 산성을 축조했는데
소장군의 성씨를 따 고소성이라 부른다는 전설이다.
성제봉 기슭의 고소성에 얽힌 역사의 애환과 설화 못지않게
성제봉 주변에서 지리산 자락에서 가장 비옥한 대지인 평사리 들녁을 주무대로 한
소설 토지의 배경이 서려있음을 음미해 볼수 있어 찾는 이들을 더욱 흥미롭게 하고 있다.
[쌍계사(雙磎寺)]
신라 성덕왕 21년(722년) 대비(大悲),삼법(三法) 두 화상께서
선종(禪宗)의 六祖이신 혜능스님의 정상을 모시고 귀국
지리산 설리갈화처(雪裏葛花處 : 눈쌓인 계곡 칡꽃이 피어있는 곳)에 봉안하라는
꿈의 계시를 받고 호랑이의 인도로 이곳을 찾아 절을 지은 것이 유래가 되었다.
그 뒤 문성왕 2년(840년) 중국에서 선종의 법맥을 이어 귀국하신 혜소 진감(眞鑑)선사께서
퇴락한 삼법스님의 절터에 옥천사(玉泉寺)라는 대가람을 중창하시어
선의 가르침과 범패(梵唄)를 널리 보급하시었으니 후에 나라에서 "쌍계사"라는 사명을 내렸다.
그간에 벽암,백암,법훈,만허,용담,고산스님의 중창을 거쳐
오늘에 이르는 동안 고색창연한 자태와 웅장한 모습을 자랑하고 있다.
쌍계사는 국보 1점(진감국사 대공탑비-국보47호),
보물 3점(대웅전-보물 500호, 쌍계사 부도-보물 380호,팔상전 영산회상도-보물 925호)의
국가지정 문화재와 일주문,금강문,천왕문,청학루,마애불,명부전,나한전등의
많은 문화유산,칠불암,국사암등의 암자가 있으며 조계종 25개 본사중 제13교구 본사이기도 하다.
쌍계사는 여러 문화재외에도 차와 인연이 깊은 곳으로
쌍계사 입구 근처에는 차시배추원비(茶始培追遠碑)가 있고,화개에서 쌍계사로 이어지는
벚꽃길에도 차시배지(茶始培地)기념비가 있다.
차는 신라 선덕여왕때 당나라에서 처음 들여왔는데 흥덕왕 3년(828년) 김대렴(金大簾)이
당나라에서 차나무 씨를 가져와 왕명으로 지리산 줄기에 처음 심었다고 한다.
김대렴이 차를 심은 이후 진감선사가 쌍계사와 화개 부근에 차밭을 조성,보급하였다고 한다.
현재 혜능대사의 정상이 모셔진 금당(金堂)에 금당선원이 있어 눈푸른 납자들의 정진이 이어지고 있으며
전통강원(傳統講院)과 금강계단(金剛戒壇)이 설치되어 바야흐로 선맥과 강맥
그리고 율맥의 법통이 바로선 수행도량의 명성을 떨치고 있다.
등산A코스
노전리-청학사-성제동굴-성제봉(북봉.남봉)-1054-구름다리-신선대-봉수대-신선봉-통천문바위-고소산성-한산사-토지셋트장(최참판댁)-주차장
(5시간/자유중식후 쌍계사로 이동)
등산B코스
노전리-청학사-성제동굴-성제봉(북봉.남봉)-1054-구름다리에서 하산-전망대-옹달샘-강선암-정서리-버스로 토지셋트장(최참판댁)이동
(3시간30분/자유매식가능)
▒▒▒ 승차장소와 운영안내 ▒▒▒
05시00분 연수구청후문(인천공항버스장)
05시05분 청학동문학터널입구(버스정류장)
05시07분 학익동신동아APT건너편 금양APT앞(금양사우나앞)
05시15분 구시민회관사거리(석바위방향 지하상가입구홍한의원앞)
05시20분 인천지하철시청역(후문쪽4번출구)
05시25분 인천지하철간석역(간석오거리 교원공제앞)
05시30분 만수동하이웨이주유소(인천대공원직진방향)-장수고가-만수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