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곳은 자유게시판입니다.
수험관련 매매 교환 관련 글은 해당 게시판에 글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2024년 기준으로 한국의 노무사 연봉에 대한 대략적인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초봉: 신입 노무사나 경력이 1~2년인 경우, 연봉은 약 3,000만 원에서 4,000만 원 사이일 수 있습니다. 이는 회사의 규모와 지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중견 노무사: 경력이 5~10년인 중견 노무사는 연봉이 약 5,000만 원에서 7,000만 원 사이일 수 있습니다. 경험이 쌓이면서 급여가 증가하며, 더 많은 책임을 지게 됩니다.
경력 노무사: 경력이 10년 이상인 고경력 노무사는 연봉이 7,000만 원에서 1억 원 이상일 수 있습니다. 특히 대기업이나 글로벌 기업, 전문 노무법인에서 일하는 경우에는 더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위 정보가 사실이면 그냥 대기업 다니는게 더 이득인건가요?
첫댓글 대기업이전체적으로 당연히연봉 훨씬많죠..
그래서 인하우스로 많이 들어가고
필드는 시간갈수록 줄어든데여
삭제된 댓글 입니다.
@스코 그건 아닐듯요 서성한 이상 고학력 대학생들 놈사판에 많아요 저도 그렇고 저희학교 노무사 준비반 봐도 그렇고.. 기업취업보다 전문직선호도가 많이 높아진 것 같아요
@스코 평균은 어딜가나 그렇겠죠.. 서성한 문과 대기업 잘가요 ㅋㅋ 우리 시험 너무 깎아내리지 맙시다 ㅎㅎ 화이팅
@스코 통계내신것도아닌데 무슨근거로 대부분 대기업 못간다고하시는건지.. 저랑 지인도 대기업퇴사하고 준비하고있는데 좀 어이없네요 노무사를 마치 대기업못가서 억지로하는마냥 .. 그리고 서성한문과나와서 대기업잘가요 저 서성한문과인데 동기선후배포함 대기업못간사람 단 한명도없어요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7.26 15:18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7.26 15:31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7.26 15:54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7.26 15:56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7.26 16:00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7.26 15:59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7.26 16:00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7.26 16:07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7.26 16:12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7.26 18:55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7.26 18:58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7.29 00:05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7.29 19:34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10.04 21:46
초반에는 대기업이 좋죠. 그럼에도 전문직을 하려는이유는 긴인생에서 어떤 일이 생길지모를때 얻는 안도감? 초반에는 힘들어도 개인의 역량에 따라 다양한아웃풋을 낼수도 있으니까요! 특히 문과생들은 요즘은 대기업자체에서 티오도 점점줄고 언제까지 정년이 보장될지 알수도 없으니 까요. 대기업에 마음에 드는 보직에 백프로 갈수있다면 그쪽을 먼저 해보는것도 좋을듯해요. 어느쪽이 확실하게 더나은것은 없는것같아요.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7.26 15:46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7.26 16:24
백세시대라 정년 넘어서 평생 일할 거 생각하면 전문직 자격증 있는 게 좋으니 준비해서 취득한 거라 후회는 없습니다. 경력이 쌓여야 이직을 하든 개업을 하든 해서 돈을 더 벌 수 있겠죠.
회사 다녀본사람들은 알겠지만 돈이 다는 아니니까요. 회사 다니면서의 연봉, 커리어 포기하고 선택할만한 가치가 있는지는 개개인마다 다르죠. 일반 회사원보다 이직이 자유롭고 능력에 따라 버는 돈은 충분히 달라질 수 있다는게 매력인 것 같아요
222 급여가 나쁘지 않고 정년까지 보장되는 안정적인 공공기관에 다니고 있지만 회사 다녀본 분들(특히 문과)은 아실 거예요 조직 내에서 전문성을 키우기 어려울 뿐더러 월급이랑 맞바꿔 조직의 부품처럼 소모되는 매일매일의 무가치해 보이는 일상, 정치질에 의한 인사고과 등.. 그런 거 겪다보면 직장이 아니라 '직업'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가 조금이라도 보장되는 길을 찾고 싶어져요..ㅜ
맞아요 :) 전 기업 인사팀 생활 10년하고 2년 수험해서 지금 32기로 수습종료 앞두고 있어요..!!
수습기간동안 급여는 13년전 제 신입사원때만큼도 못받았지만 진짜 일 자체는 너무 좋아요. 기업 소속과 관계없이 내 힘으로 세상을 살아갈 힘이 생겼다는건 진짜 큰 가치고 너무 큰 기쁨이에요. 급여는...이제부터 열일해서 다시 열심히 메꾸고 상방 뚫어보겠습니다 😂 ㅎㅎㅎ
@Winnerj84 멋지십니다👍👍
================================= 공지사항 ===================================
우리 카페 '노길사'에는 여러 가치가 있지만, 정보공유에 우선적 가치를 부여하여
다음과 같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급적 비공개 댓글을 제한하려고 합니다.
* 댓글에 개인신상(이름, 연락처, 주소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 글 작성자가 비밀댓글을 요청한 경우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개 댓글이 꺼려지는 분들은 쪽지, 메일 혹은 1:1 채팅을 이용하여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아울러 이미 올리신 댓글의 경우에도 위 사항에 해당되지 않으면, 가급적 공개글로 전환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