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담주 백일이라 웹서핑 엄청 했었는데..왠지 반갑네요^^ 1. 삼신상의 의미 삼신은 부처아미타불, 관세음보살, 지장보살 즉 불교에서의 3명의 신을 뜻하는 말이라고 하네요. 삼신할매가 아이를 점지해주며 출산에 도움을 주며 아이가 어느정도 자랄때까지 지켜준다는 의미로 아기의 무병장수를 기도할때 차리는 상입니다. 2. 삼산상 상차림 삼신상에 올라가는 것은 기본적으로 흰쌀밥/미역국/정한수/삼색나물 세가지 입니다. 나물은 종류에 상관없이 세가지만 준비하시면 되는데 보통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또는 취나물)을 많이 올리세요. 그리고 과일과 떡도 올리시는데 홀수로 올리시면 되구요, 없어도 괜찮아요.
지역에 따라 밥과 국을 몇그릇 올리느냐가 다른데 보통 3개씩 올립니다. 밥3공기/미역국3그릇/정한수3그릇 3. 삼신상 차리는 시간과 장소 삼신상을 차리는 시간은 보통 동이 트기전에 지내는거라고 하네요. 동이 트기전에 동쪽에 차리시고 아이를 눕혀 머리위에 상이 오도록 차리시면 됩니다. 그리고 엄마와 아빠가 아이를 눕혀두고 절을 한번 합니다. 그리고 "우리 아기 발 크게 해주세요~"이렇게 말을 합니다. 이렇게 해주면 건강하게 자란다고 하네요. 그리고 나서 삼신상의 밥과 국, 나물을 엄마가 많~이 먹고 남은것은 가족들이 다같이 먹으면 된다고 합니다.
첫댓글 백일날 새벽에 차려주는걸로 알고있어요.나물세가지에..올리는거 따로있더라구요 .인터넷에 삼신상쳐보면 나와요..참고로전 안햇지만;;
감사합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감사합니다.
아가 아플때도 밥이랑 물한그릇 떠놓고 빌기도 해요~ ^^ 빨리 낫게 해달라고요 ㅎㅎ
저도 담주 백일이라 웹서핑 엄청 했었는데..왠지 반갑네요^^
1. 삼신상의 의미
삼신은 부처아미타불, 관세음보살, 지장보살 즉 불교에서의 3명의 신을 뜻하는 말이라고 하네요.
삼신할매가 아이를 점지해주며 출산에 도움을 주며 아이가 어느정도 자랄때까지 지켜준다는 의미로 아기의 무병장수를 기도할때 차리는 상입니다.
2. 삼산상 상차림
삼신상에 올라가는 것은 기본적으로 흰쌀밥/미역국/정한수/삼색나물 세가지 입니다.
나물은 종류에 상관없이 세가지만 준비하시면 되는데 보통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또는 취나물)을 많이 올리세요.
그리고 과일과 떡도 올리시는데 홀수로 올리시면 되구요, 없어도 괜찮아요.
지역에 따라 밥과 국을 몇그릇 올리느냐가 다른데 보통 3개씩 올립니다.
밥3공기/미역국3그릇/정한수3그릇
3. 삼신상 차리는 시간과 장소
삼신상을 차리는 시간은 보통 동이 트기전에 지내는거라고 하네요.
동이 트기전에 동쪽에 차리시고 아이를 눕혀 머리위에 상이 오도록 차리시면 됩니다.
그리고 엄마와 아빠가 아이를 눕혀두고 절을 한번 합니다.
그리고 "우리 아기 발 크게 해주세요~"이렇게 말을 합니다.
이렇게 해주면 건강하게 자란다고 하네요.
그리고 나서 삼신상의 밥과 국, 나물을 엄마가 많~이 먹고 남은것은 가족들이 다같이 먹으면 된다고 합니다.
<사실 이런것은 지역마다 차이도 있고 가정마다 어르신들이 아시는 방법이 제각각 다를수 있어요.
딱 이게 정답이다 이런건 없는것 같구요. 집안 어르신들이 하자고 하시는대로 하시면 가장 좋을것 같네요.>
퍼온글이에요^^어떻게 차리는지 옆에 사진도 첨부해놨구요^^
복사가 안되서 일일이 치느라 힘들었네요;;
담주에 울호윤이 백일하고나서 아가맘에 글 한번 올려야겠어요^^
삼칠일날 하고 백일날 하고 돌때 했어요..시어머님이 아침일찍 오셔서 다 빌어주셨어요..
답글 달아주신분들 감사합니다.
첫째 100일때 했어요. 잘몰라서 밥이랑 미역국이랑 떡놓고 정성껏 절했는데 기분이 좀 묘했던 기억이 나네요. 정성가득.... 애를 잘키우기위한 마음가짐이 더 생기는거 같아요.
ㅋㅋ감사합니다.
삼신상 이란거 처음 들었어요...감사합니다
~~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