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집자료입니다.
허벅지가 빈약해 둘레가 줄어들수록 당뇨병 발생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신체사이즈를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은 미용 측면에서만 쓸모 있는 게 아니다.
허리, 허벅지, 종아리 등 몸 곳곳의 둘레를 주기적으로 재면,
내가 어떤 질환에 특히 취약한지 알고 대비할 수 있다.
허벅지가 빈약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당뇨병 발생 위험이 크다.
연세대 보건대학원 연구팀이 30~79세 약 32만 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허벅지 둘레가 1cm 줄어들 때마다 당뇨병 발생 위험이 남성에서 8.3%, 여성에서 9.6%씩 증가했다.
남성의 경우 허벅지 둘레가 60cm 이상이면 43cm 미만인 사람보다 당뇨병 위험이 4배 낮았고,
여성의 경우 허벅지 둘레가 57cm 이상이면 43cm 미만인 사람보다 5.4배 낮았다.
이는 허벅지에 온몸 근육의 3분의 2 이상이 모여 있어, 섭취한 포도당의 70%를 소모함으로써 혈당 조절에 관여하기 때문이다.
종아리 둘레로는 근감소증 위험을 예측할 수 있다. 근감소증은 주로 노인에게 나타나는데, 노화와 운동량 감소 등으로 근육의 양과 기능이 병적으로 퇴화하는 질환이다.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연구팀에 따르면 전신 근육량은 종아리 둘레와 비례하고, 근감소증 환자의 82%는 종아리 둘레가 32cm 미만이었다.
연구팀은 키나 성별과 상관없이 65세 이상에서 종아리 둘레가 32cm 미만인 사람은 근감소증을 의심해볼 것을 권했다.
허리 둘레로는 복부비만 여부를 알 수 있다.
대한비만학회에 따르면 허리둘레가 성인 남성 90cm 이상, 성인 여성 85cm 이상이면 복부비만이다.
복부비만인 사람은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이 특히 크다.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고혈압 ▲공복혈당장애 ▲높은 중성지방 수치 ▲낮은 고밀도콜레스테롤(HDL) 수치 등 5개 항목 중,
3개를 동시에 만족하는 상태를 말한다.
대사증후군이 있으면 심뇌혈관질환 위험이 커지므로 다른 만성질환이 더 생기기 쉽다.
목이 굵은 사람은 심장병을 조심해야 한다.
미국심장학회(AHA)가 남녀 3300여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목 둘레가 3cm 증가할수록 ‘착한 콜레스테롤’로 알려진 고밀도콜레스테롤(HDL) 수치가
남성은 2.2mg/dL, 여성은 2.7mg/dL씩 감소했다.
반면, 혈당 수치는 남성에서 3.0mg/dL, 여성에서 2.1mg/dL씩 증가했다.
고밀도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으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커지고,
혈당이 높으면 혈관 벽이 손상되므로 궁극적으로는 동맥경화증이 생길 위험이 커진다.
첫댓글
허벅지가 빈약해 둘레가 줄어들수록
위험한 신호라니
주기적으로 사이즈 체크가 필요하네요
좋은 정보입니다
고맙습니다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