짱뚱어다리 증도는 2007년 아시아 최초로 슬로시티로 지정된 곳으로 이곳은 청정 갯벌에서만 살 수 있는 짱뚱어가 많이 살고 있어 넓은 갯벌 위에 471m의 목교를 만들어 짱뚱어를 비롯한 다양한 갯벌 생물들을 관찰할 수 있도록 했는데 물이 들어오면 바다위를 걷는 느낌으로 목교를 거닐 수 있다.
<네이버 블로거에서 옮긴 사진>

천사대교 신안 압해도와 암태도를 연결하는 연륙교로 국내 최초 사장교와 현수교를 동시에 배치한 교량으로 연장 10.8km이며 금년 4월 개통하였는데 오늘 뉴스에 의하면 바람에 다리가 흔들려 지나갈 때 현기증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목포 갓바위 오랜 기간 풍화작용과 해식작용에 의해 만들어진 풍화혈(tafoni)로 2009년 천년기념물 제500호로 지정되었다. 갓바위와 관련한 전설이 전해지는데 옛날에 병든 아버지를 제대로 봉양하지 못한 아들이 돌아가신 아버지를 양지바른 곳에 모시려다 실수로 관을 바다 속을 빠뜨리고 말았다. 불효를 저질러 하늘을 바라볼 수 없다며 갓을 쓰고 자리를 지키던 아들도 그 자리에서 죽고 말았다. 훗날 이곳에 두 개의 바위가 솟아올라 큰 바위는 ‘아버지바위’, 작은 바위는 ‘아들바위’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따라서 갓바위는 바위의 모양이 아버지와 아들이 나란히 삿갓을 쓴 사람의 모양이라는 데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삿갓바위로도 불린다. 다른 하나는 영산강을 건너던 부처님과 그 일행이 잠시 쉬던 자리에 삿갓을 놓고 간 것이 바위가 되어 중바위(스님바위)라 부른다고 한다.
둘째날 일찍 일어나 간단하게 토스트에 시리얼로 식사를 마치고 유달산 등산에 나섰는데 부슬부슬 비가내린다. 우산을 챙겨 들고 유달예술타운을 지나 도로를 따라 한참을 내려가니 등산로 입구가 보인다. 유달예술타운 올라가는 길이 옥단이 길이란다.


조금 올라가면 약간 넓은 곳에 가수 이난영 공원과 목포의 눌물 노래비를 만난다. 


10분쯤 올라가면 바로 아래 노적봉과 바다쪽으로 삼학도가 내려다 보인다. 비가 내리고 있어 모든 사진은 희미하게 보인다. 




20분쯤 지나 쉼터를 만나는데 쉴만한 환경은 아니다. 여기서부터 다양한 이름의 바위를 만나게 된다. 
처음으로 고래바위를 만난다. 
비가 내리는 중에 목포시내를 조망해 본다. 
종바위를 만나고 
등에 업힌 애기바위가 기다리고 있고 애기바위 뒤로 케이블카 지지대 넘어 남해쪽 고하도가 내려다 보인다. 


거북바위라는데 잘 구분이 안된다. 

관운각 정자를 지나 테크 계단을 한참 오르면 마당바위인데 여기가 정상 전망대처럼 되어있다. 

마치 정상인 일등바위로 착각하게 되는 암봉인데 아래쪽에 일제가 일본 불교와 관련이 있는 내용으로 우리의 산하를 생채기 내어 놓은 잔재가 남아있다. 

다시 관운각 정자 뒤쪽으로 내려와 정상으로 향한다. 
나막신바위다. 
정상을 오르는 길은 많은 계단을 지나야 한다. 



정상 일등바위에서 내려다 본 바다쪽 조망 

정상을 조금 내려오면 산신제를 지냈던 대성전터 흔적이 남아 있다. 


내려가는 정면으로 이등바위와 그 뒤로 삼등바위가 희미하다. 
아래로 지나가는 사람들을 보고 포효하는 남자의 얼굴을 닮은 얼굴바위 

얼굴바위에서 내려다 본 목포대교와 다도해 

이제 시간적으로 하산해야 하므로 중간에서 달성공원으로 하산한다. 일등바위는 영혼이 심판을 받는다 하여 율동(律動)바위로 불렸는데 일등바위로 바뀌었고 심판 받은 영혼이 이동한다 하여 이름 지어진 이동(移動)바위가 이등바위로 바뀌었다고 한다. 



유달예술타운에서 올려다 본 이등바위와 삼등바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