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니도스 비너스 Cnidos Venus / 비너스 원본
사람들이 <밀로의 비너스>상으로 많이 헷갈려하는 <크니도스 비너스/Cnidos Venus>.
미의 여신 비너스의 나체상 원본은 <크니도스 비너스>이며,
우리가 알고 있는 <밀로의 비너스>상은 루브르 박물관의 사기행각의 결과이다.
오리지널 <크니도스 비너스>는 현재 파괴되어 없다.
위 작품은 <루도비시 크니도스의 비너스>,
프락시텔레스 원작의 기원전 2세기경 로마 복제품으로 크니도스 원본을 가장 충실히 재현한 것이다.
위 작품은 루브르 박물관이 약탈하고 성형수술을 감행한 <밀로의 비너스>.
현재 미의 여신 비너스상으로 가장 많이 알려져있는 조각상이자 이미지다.
예술사상 실물과 똑같은 최초의 여성 누드 조각상이자 오늘날 미의 여신 비너스 조각의 원조로 꼽힌다.
목욕에 들어가기 직전의 모습을 묘사한 것으로, 왼손에는 벗은 옷을 들고 오른손으로는 배꼽 아랫부분을 살짝 가린 모습.
그리스 고전기의 절정을 넘은 헬레니즘 예술기의 걸작으로 평가.
조각가 프락시텔레스의 최고 작품.
예술뿐 아니라 유럽 문화 전반에 큰 영향을 주었다.
기원전 330년대,
그리스의 작은 섬 코스의 주민들이 마을을 치장하기 위한 비너스 여신상을 의뢰했다.
의뢰를 받은 저명한 조각가 프락시텔레스는 두 개의 대리석 비너스상을 제작했다.
하나는 옷을 입은 것이고, 다른 하나는 완전한 나체였다.
주민들은 옷을 입은 비너스를 택했다. 나체의 비너스가 여신상으로 너무 파격적이라 생각했기 때문.
대신 나체의 여신상은 터키 연안의 작은 그리스 도시국가 크니도스 주민들이 사갔다.
이것은 곧 크니도스의 상징물이 되었고 <크니도스의 비너스>라고 불리었다.
이 비너스상은 그 후 그리스 전 지역과 로마에서 대대적으로 복제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조각상이 하도 유명해지자 비너스 여신이 어느 날 밤 직접 크니도스를 방문했다.
자신과 너무나도 닮은 조각상 모습에 놀란 비너스는 조각가 프락시텔레스에게 이렇게 항의했다고 한다.
"당신이 어디서 나의 나체를 보았는가? 보아서는 안 되는 것을 보았도다!"
비너스상의 모델은 프리네.
조각가 프락시텔레스의 연인이자 그의 작품 단골 모델이었으며, 아테네의 고급 창녀였다.
<크니도스의 비너스>는 5세기경, 콘스탄티노플로 실려 갔다.
그리스도교 국가인 동로마 제국은 로마와 식민지 지역에서 이교도 신선을 폐쇄했는데, 폐쇄된 신전에 있던 예술품들이 그대로 방치되었다. 이 시기 콘스탄티노풀의 고위 관료였으며 예술품 수집가였던 라우수스는 폐쇄된 신전에서 쓸만한 예술품을 모조리 콘스티나폴로 반출한 것이다.
이 후 <크니도스의 비너스>는 파괴된 것으로 보인다.
아마도 475년에 일어난 콘스탄티노플의 대화재로 소실되었거나, 그렇지 않다면 532년 콘스탄티노플의 절반을 파괴한 니카 폭동 때 파괴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수많은 복제품을 남겼다.
복제품 중에서 원작의 명성을 능가하는 작품으로는 <밀로의 비너스 Vinus de Milo>가 있다.
<밀로의 비너스>는 1821년, 그리스의 밀로스 섬에서 한 농부가 우연히
밭에 묻혀있던 비너상을 퍼냈다.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은 이를 헐값에 사들였다.
<밀로의 비너스>는 발견 당시 몸체와 함께 부스러진 왼팔과 사과를 쥐고 있는 왼손, 조각상의 받침대 파편이 발굴되었다.
받침대의 설명문으로 보아 이 조각상은 150년경에 제작된 안티오크의 무명 조각가 알렉산드로스의 작품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나,
루브르 박물관은 이 비너스상의 왼팔, 왼손, 사과, 받침대 없이 복원하고는
이 작품이 프락시텔레스나 적으로 파르테논 마블의 제작자인 페이디아스의 제자 정도 되는 조각가가 만든것이라고 대대적으로 선전했다. 나폴레옹이 약탈했다가 반환한 <메디치의 비너스 Venus de Medici> 이상은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작품의 출처를 알려주는 받침대 설명대는 깨끗이 버려 버렸다.
그리고,
<밀로의 비너스>는 루브르 박물관에서 대대적인 성형 수술을 받았다.
왼팔의 파편과 사과를 쥔 손은 미적 효과를 감소시킨다는 이유로 버렸다.
거추장스럽다면서 반쯤 매달린 왼팔도 떼어냈다.
어깨 아래부터는 아예 없었던 것처럼 되어버렸다.
그래서 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있는 있는 그 유명한 <밀로의 비너스>는 출처 불명의 비너스만 남게 되었다.
오리지널 <크니도스의 비너스>의 복제품뿐만 아니라 루브르 박물관 마음대로 조작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막대한 관광 수입뿐만 아니라 다양한 복제품과 이미지 사용로도 수익을 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