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시대의 불교
1.고려 전기의 숭불정책;종교이념으로 발달
태조;개경에 사원건설,훈요10조에서 불교승상 연등회,팔관회 개최 당부
광종;승가제도,국사,왕사제도 실시 승려의 면역혜택 사원전 지급
대장경 간행;거란 침입때 부처님의 힘으로 외침 극복을 기원
2.의천의 불교 통합운동
초기에 선종 유행;점차 귀족불교번성(화엄종,법상종)
이후 화엄종과 법상종대립;화엄종 중심으로 교종통합
천태종 창시;교종 입장에서 선종통합, 교관 겸수제창
교장(속장경)편찬;고려,송,요의 대장경 해설서
2.종파체제의 정비
12세기 대각국사 의천 천태종 구산선문의 성립과 조계종
사자상승;스승과 제자 스승의 가르침을 제자가 계승하는 인천인 계승
구산선문과 조계종 선종의 자연스러운 결집
조계란 육조 혜능 조계산 이름따서 선사상의 종지로 한 종파
간화선;보조지눌 정혜결사 운동, 태고 보우,나옹,혜근
화엄종의 발전;해인사;화엄종의 종장인 희랑 관혜가 주석
3.고려 대장경과 교학의 발전
고려 대장경의 조조
제작;거란의 침공 남쪽으로 피난 상황에서 거란의 물리치기 위한 발원
인쇄본과 대장경 1질을 하사 받아 봉안;현화사 창건시
현종때 완성; 대장경 완성기념 장경도량 개최
거란에서도 대장경 제작
완성된 대장경 판목; 흥왕사 대장전에서 다시 팔공산 부인사 봉안
고려의 독자적 문화적 자존심 만족시키는 사업
*교학의 발전
교장(敎藏)의 제작;불경에 관한 각종 연구서들을 한데 모아 놓은 것
불경을 모은 대장경 해설서; 속장경 칭함
의천; 신편제종교장종목;불경에 대한 주석서 3천 완성
4.무인시대의 불교
무인정권과 불교계
무신정권 의종24년 지배층의 불교쇄퇴 지방의 결사 불교등장
교단중심으로 이루던 화엄종과 법상종 세력 위축
결사불교;수도를 떠나 지방의 조용한 곳에 함께모여 오로지 수행에만 정진
불교계의 새로운 대안 구심점 역할
수선결사 백련결사;불교의 문제점 극복 새로운 사상과 신앙제시
*불교계의 중심세력으로 등장
지눌과 수선사
1)정혜결사(수선결사);수선사‘보조지눌국사 시작
사굴산문으로 출가;승과에 합격 팔공산 거조암에 머물다
권수 정혜결사문; 선종과 교종 유교포함
*수행결과 조직
정혜; 정혜함께 닦으라;육조단경 가르침 따른 것
혜심3문;1.성적 등지문;혜는 정혜상수
2.원돈신해문;본래 성불한 종재;통현장자사상
간화경절문; 대종종교의 간화선 화두 돈오수행
*요세와 백련결사
백련결사;천태종의 묘해에 의지하지 않으면 수행의 120병(病)을 어찌 할 수없디.
지눌의 결사에 동행하지 않음
재조 대장경;몽골의 침략 강화조약 강화도 천도결사 항전
대장경 부인사 보관 대장경판이 몽골군의 방화로 소실
고종 24년 대장경 다시제작 이규보 대장 각판 군신기고문
대장도감;강화도 본사;남해섬에 본사(목재 조달제작 비용절감)
고종38년 최종적으로 완료 경전의 목록을 작성
교정작업을 주로 한 사람은 화엄종 승려인 수기(守其)
강하도 판경을 해인사로 이전 봉안(태조7년)
강화도의 대장경판전은 이후 조선왕조의 사고로 사용
5.원나라 간섭기의 불교계
불교계의 친원화(親元化);무인정권;국왕과 왕실의 안녕을 축원
삼국유사;일연스님 문헌 일화 등의 대표저술
새로운 시조의 수용;원나라와 교류;티베트 불교의 유입
*충렬왕 충신왕
고려의 불교가 원나라에 전하여 져서 유학승의 활동거점이 됨
*고려말의 불교계;몽산 덕이사상
13세기말 간화선 수행법고려 불교계주류
선종은 불교의 중심사상이 되고 교학승려도 참선을 하게 되어 선과 교가 선명하지 않음
고려말은 성리학의 세력확대
사찰재산의 축소 승려자격의 강화제시
보수파 불교세력과 진보파 척불세력의 승리로 조선조가 열림
*고려시대 대장경
고려시대에는 대장경을 두차례 판각하였다. 첫 번째의 것을 초조대장경이라 하고 두 번째의 것을 재조대장경이라고 한다.
고려의 초조대장경판이 몽고군의 침입으로 소실되자 몽고군을 불력(佛力)으로 물리치기 위하여 대장경을 다시 판각할 것을 거국적으로 발원하고 준비하여 그것이 갖추어지자 1236년(고종23)에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제조대장경을 판각하였다.
*불씨잡변(佛氏雜辨)
조선시대 정도전이 1398년(태조7)죽기 직전에 저술한 책
불씨잡변은 삼봉 정도전이 죽기 몇달 전 저술한 마지막 책으로 불교의 인과설과 윤회설,화복설 등 세속의 신앙과 결부된 불교의 교설과 인간의 마음 본성에 대한 불교적 관점의 오류를 비판한 내용으로 되어 있다.
정도전의 ‘불씨잡변’은 유학자로서 분명완 정치적 목적에 입각하여 불교의 정치적 폐단을 지적하면서 유교의 정치적 유용성과 우월성을 강조한 글이다.
정도전은 고려시대 불교역시 그렇다고 생각했다.
불교는 사회의 윤리 규범을 제공하는 역할을 상실해 갔다.
현실권력에 밀착하여 부귀를 축적할 뿐 계율의 실천을 통한 윤리규범의 제공자 역할을 해내지 못하였다. 정도전은 이런 불교를 갖고는 사회를 변혁시킬 수 없다고 믿었다. 불교 때문에 사회가 부패해지고 모순이 심화되고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불교를 배척해야만 했다.
육조혜능스님
혜능의 주창점은 부처님의 사상과 달리 단박에 깨닫을 수 있다는 돈오돈수(頓悟頓修)라는 자신만의 영역을 내세워 많은 사람들을 교화하였다고 한다. 동오돈수나 점오점수라 하는 말은 부처님의 말씀을 흐리게하는 말이라 생각된다.
왜냐하면 생사를 고통으로 볼때에 이러한 말을 오히려 생사에 매달리게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산천 비보도감
고려시대 무인집권기에 최충헌이 전국의 산천을 보호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설치한 관청
1.문벌 귀족 사회의 성립
1)성립;성종 이후
2)유형;신라 6두품
2.문벌 귀족 사회의 모순
1)정치;과거,음서
2)경제;공음전,사전혜택
3)사회;왕실과 혼인,점차 폐쇄적 보수적
4)문벌 귀족 사회의 모순과 갈등
비판;예종때 항안인
사건;이자겸의 난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
*이자겸의 난(1126)
ㅡ1125;금의 사대요구 수락ㅡ1126;이자겸의 난ㅡ1135;묘청의 서경천도 운동ㅡ1170~;무신정변
1.배경
1)문벌 귀족사회의 모순‘이자겸도 예종과 인종의 외척
2)경원이씨의 족벌정치;외척이 되어 80여년간 정권
3)이자겸세력;금과 타협;왕의 측근세력과 갈등
cf)[문종~순종~선종~헌종~숙종~예종~인종]까지 이자연~이자겸의 딸이 외척이 되었다.
2.경과
1)인종측근세력(항안인)제거;도참설을 내세워 척준경과 함께 난
2)이자겸이 척준경에 의해 물러나고 척준경도 정지상의 탄핵으로 축출
3.결과
1)왕권 위축
2)서경 천도설 대두;풍수지리설
3)문벌귀족 사회 분열 촉진
4.묘청의 서경 천도운동(1135)
1)배경;인종의 왕권회복,국방력 강화하기 위한 개혁추진
2)원인;관리들의 대립(묘청,정지상 대 김부식)
3)묘청세력의 주장
서경천도;풍수지리설주장, 자주적인 혁신정치 시행
칭제건원 금국정벌;서경에 대화궁이라는 궁궐 팔성당이라는 신당을 지움
김부식세력의 주장;금과의 사대관계와 민생안정 강조,유교이념에 충실
경과;묘청은 서경에 대위국이라는 이름,연호는 천개로 군대는 천견추의군이라 하여 난을 일으킴ㅡ김부식이 진압
영향;분사제도 폐지(서경지위하락)
승문천무현상으로 무신정변이 일어나는 배경이 되었다.
성격;지배층 내부분열;사상적 대립
게승이념에 대한 이견; 서경파 고구려계승 중시
개경파는 신라 계승 중시
김부식은 반란을 진압한 공으로 공신칭호를 받고서 관직과 명예를 얻었고, 이자겸의 반란과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은 모두 문벌 귀족들 사이의 권력다툼이 극심해진 가운데 생겨 난 사건들이다.
*고려 문벌 귀족
문벌귀족은 고려초기 실권을 쥐고 있던 호족이 몰락하자 과거를 통해 중앙으로 진출한 관료 중 왕실과 혼인관계를 맺거나 뛰어난 학문으로 정치적 실권을 장악한 세력을 말한다.
문벌귀족의 특징은 전시과로 받은 토지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백성들의 땅을 뺏어 경제적 기반을 확대해 나간것과 음서제도를 이용해 자손들도 관직에 나가게 되고 공음전을 이용해 땅을 대대로 세습하는 것등이다. 문벌귀족은 대표적으로 경원이씨의 이자겸,해주최씨의 최충, 경주김씨의 김은부,파평윤씨의 윤관 등이 있다.
* 고려시대 *
918 태조1 왕건 즉위,팔관회 개시
921 태조4 이엄을 왕사로 책봉
936 태조19 후삼국 통합,개태사 세움
958 광종9 승과 개시
961 광종12 체관을 중국에 보내 천태종 서적 전함
964 광종15 균여를 귀법사 주지에 임명
982 성종1 최승로,시무책에서 부패 불교비판
987 성종6 팔관회 폐지
1010 현종1 팔관회 재개
1011 현종2 거란 침략 물리치기를 기원하여 대장경 간행
1067 문종21 흥왕사 세움
1070 문종24 의천 15세에 승통에 임명됨
1085 선종2 의천 송나라에몰래 건너가 다음해 귀국
1086 선종3 의천 교장도감을 두어 속장경을 조판
1090 선종7 의천 최초의 불교도서목록 ‘신편제종교장총록’작성
1096 숙종1 천태종을 열고 국청사를 세움
1101 숙종6 참사상 퍼드린 광기와 각진을 처벌
1107 예종2 여진정벌, 옛땅회복 투쟁에 승군참전
1107 예종2 함경도 정복지에 호국인왕사, 진동보재사 세움
1129 인종7 묘청 등 칭제건원,금나라 정벌건의
1131 인종9 묘청 서경 대화궁에 팔성당 지움
1135 인종13 묘청 서경에서 혁명, 새나라 이름을 대위라고 함
1170 이종25 보현원에서 무신정변 폭발
1174 명종4 귀법사 승려봉기,개경 승려반란,
1176 명종6 공주 명학소 민중 봉기,담화 근고로 투쟁, 승려들을 봉기군으로 징발함
1181 명종11 농민봉기군,왕실 원찰 봉은사 습격
1190 명종20 지눌 정혜결사 조직
1202 신종5 대구 동화사,부인사 승려들 농민봉기에 참가
1217 고종4 최충헌 타도를 위한 승군 반란
1231 고종18 충주 노비해방투쟁,지도자 우본이 몽고 침략군에 항쟁 하여 물리침
1232 고종19 요세 백련결사 조직
1232 고종19 우본이 이끈 노비,승군 2차노비 해방투쟁
1232 고종19 개경노비,승려봉기
1232 고종19 김윤후,처인성에서 몽고 원수 살리타이 사살
1236 고종23 강화도에서 대장경 새김(1251년 완성)
1253 고종40 김윤후 노비군 이끌고 충주성 사수
1275 충렬왕1 일연 삼국유사 저술
1328 충숙왕 무기 석가여래 행적송 지움
1348 충목왕4 원 왕실의 장수 행복을 빌기위해 경천사 대리석 탑 세움
1356 공민왕5 보우 왕사가 되어 승직임명 관장
1365 공민왕14 신돈 국정의 전권을 맡아 개혁정치
1366 공민왕15 신돈 전민변전도감 설치
권문세족이 강탈한 토지 환수 노비해방
1371 공민왕20 신돈 처형후 보우를 국사로 혜근을 왕사로 책봉
1388 우왕14 신조 이성계의 참모로서 위하도 최군에 주요 역할
1388 창왕1 이성계 심복 조인옥 불교배척 상소
1391 공양왕3 박초,김초 등 불교배척 상소 잇따름
2011, 7, 30
성 기 옥
|
첫댓글 감사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