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RP(Hot Standby Routing Protocol)에 관해 예전에 다룬 적이 있지만 좀더 쉽게 풀이하여 설명해드립니다.
Host A 라는 컴터가 인터넷으로 나가고자 합니다.
라우터 A라는 넘한테 물려있는데 문제는 이넘의 라우터가 죽게 된다면 결국 호스트 에이 군은 인터넷을 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만약에
host A군 - 라우터 A - 인터넷망
|_ 라우터 B ------|
요렇게 되있다면 라우터 A가 죽었을때 과연 호스트 A군은 인터넷을 할 수 있을까요?
정답은 못합니다. 왜냐믄,, 호스트 A군은 그다지 똑똑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똑똑한 라우터 A와 B가 알아서 처리해야되는데 여기서 동작하는 방법을 함 알아볼까요?
A군은 인터넷망으로 가기 위해서 라우터 A나 B한테 맥어드레스를 물어봅니다.
만약 A와 B가 IP를 따로따로 쓴다면 호스트 A군은 각각의 IP를 따로 설정해줘야겠죠?
그래서 Virtual IP라는게 생겨서 호스트 A군은 가상의 IP를 게이트웨이로 쓰고 요 IP로 라우터 A와 B는 통신하게 됩니다.
물론 요 Virtual IP에는 또한 가상의 맥어드레스가 있습니다.
즉 호스트 A군은 그냥 virtual IP만 세팅을 해주어 라우터 친구들한테 알아서 하라고 합니다.
HSRP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Priority(권한)이라는 개념이 나옵니다.
즉, 한넘이 죽었을때 다른 넘을 이용한다면, 먼저 사용할 넘을 뽑아줘야겠죠?
그게 바로 권한을 다른 넘보다 높게 설정을 해주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한넘의 라우터가 죽었다면? 당연히 백업으로 쓰는 라우터의 권한을 높여주거나 죽은 넘의 권한을 감소시켜 주어야겠죠?
그리고 정상적으로 복귀한다면? 당연히 원래되로 권한을 조정해야줘야겠죠?
이 모든 과정은 라우터끼 hello mesaage를 주기적으로 받다가 살아있는 넘한테 헬로 메시지를 못받으면 즉시 백업 라우터가 살아서 움직입니다.
무서운 세계죠 ^^ 흐흐흐
간단한 개념이고 이것을 토대로 쥔장의 랩부분을 한번 훑어 보시면 이해가 빠르실듯 합니다.
카페 게시글
시스코팁/네트웍(모두)
네트웍일반
HSRP 쉽게 개념을 알아보도록 합시다.
MLB메니아
추천 0
조회 751
03.10.22 21:22
댓글 1
다음검색
첫댓글 이왕이면 vrrp와 같이 설명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