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국회의원 선거와 대통령 선거가 있는 해다. 혹시 부동산 시장이 그 덕에 좀 살아나지 않을까 하는 기대도 있다. 왜냐하면 선거철에는 돈이 풀리고 개발공약이 쏟아지면서 부동산시장이 살아날 수도 있다는 기대 때문이다. 총선과 5차례의 대선이 치러진 해의 집값 변동은 크지 않았다. 특히 올해와 같이 국회의원 선거와 대통령 선거가 함께 치러진 지난 1992년에는 땅값과 집값의 변동률이 각각 -1.26%, -4.97%로 오히려 하락했다. 따라서 부동산가격은 전반적인 경기 흐름에 의해 결정됐을 뿐, 선거가 호재로 작용하지 않았던 셈이다. 선거의 경우 집값과 땅값이 크게 올랐다. 함께 국내 자산가격이 동시에 뛰었기 때문이다. 서울과 달리 실수요 중심인 경남의 특성상 부동산가격의 연관성을 찾는 게 중요하다. 가령, 진주 혁신도시, 진해 신항 배후지 개발, 김해 장유와 창원 북면 신도시 개발, 창원·마산지역 재개발· 재건축 사업 성패에 따라 경남지역 집값과 땅값은 요동칠 것이다. 도로가 뚫린다는 계획이 발표되면 땅값이 상승하고 집값도 같이 뛰었다. 하지만 지난 2년간 경남지역 아파트 가격은 가파르게 올랐다. 때문에 추가 상승 여지는 그렇게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지역에 따라선 차이가 있을 것이다. 앞다퉈 장밋빛 개발 전망을 내놓는다. 비록 헛된 공약이더라도 자꾸 들으면 참말같이 들린다. 실현 가능성이 있는 공약인가 아니면 현실성 없는 공약인가를 판단하는 것은 유권자의 몫이기 때문에 정말 조심해야 한다. 어쩜 굉장히 위험한 ‘정치 리스크’다. 최근 서울 강남의 재건축 아파트 값이 한 달 새 3000만~4000만원 전후 빠졌다는 게 이를 잘 반증한다. 하지만 통합창원시는 그렇게 되지 않을 것이다. 아직도 세게 베팅할 수요층이 두껍다는 얘기다. 총선과 대선이라는 빅 이벤트가 있지만 시장 반응은 아직도 냉담하다. 하지만 경남지역 실수요자 입장에선 그렇게 걱정할 일은 아니다. 창원을 비롯한 도내 주요 도시들의 아파트 가격은 안정세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 그 래서 우리 지역에서도 내집 마련 적기를 올 하반기로 잡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창원에서만 올해 신규 아파트 물량이 북면 신도시와 양덕동 메트로시티 2차분을 포함해 1만가구 이상 쏟아진다. 예년에 보기 드문 현상이다. 특히 통합창원시 출범 후 도로 여건이 개선돼 출퇴근 시간을 단축시켰기 때문에 나에게 적합한 주택이 있는지, 또는 분양물량이 있는지 꼼꼼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 아파트시장에 플러스 요인이다. 총선에 출사표를 낸 경남지역 후보자들이 번뜩이는 아이디어만 잘 내면 부산·울산 수요자들이 돈을 들고 올 수도 있다. |
출처: 땅투모의모임 원문보기 글쓴이: 반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