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ultimate American paranoiac fantasy is that of an individual living in a small idyllic Californian city, a consumerist paradise, who suddenly starts to suspect that the world he lives in is a fake, a spectacle staged to convince him that he lives in a real world, while all people around him are effectively actors and extras in a gigantic show. The most recent example of this is Peter Weir's The Truman Show (1998), with Jim Carrey playing the small town clerk who gradually discovers the truth that he is the hero of a 24-hours permanent TV show: his hometown is constructed on a gigantic studio set, with cameras following him permanently. Among its predecessors, it is worth mentioning Philip Dick's Time Out of Joint (1959), in which a hero living a modest daily life in a small idyllic Californian city of the late 50s, gradually discovers that the whole town is a fake staged to keep him satisfied... The underlying experience of Time Out of Joint and of The Truman Show is that the late capitalist consumerist Californian paradise is, in its very hyper-reality, in a way IRREAL, substanceless, deprived of the material inertia.
So it is not only that Hollywood stages a semblance of real life deprived of the weight and inertia of materiality - in the late capitalist consumerist society, "real social life" itself somehow acquires the features of a staged fake, with our neighbors behaving in "real" life as stage actors and extras... Again, the ultimate truth of the capitalist utilitarian de-spiritualized universe is the de-materialization of the "real life" itself, its reversal into a spectral show. Among them, Christopher Isherwood gave expression to this unreality of the American daily life, exemplified in the motel room: "American motels are unreal!/.../ they are deliberately designed to be unreal. /.../ The Europeans hate us because we've retired to live inside our advertisements, like hermits going into caves to contemplate." Peter Sloterdijk's notion of the "sphere" is here literally realized, as the gigantic metal sphere that envelopes and isolates the entire city. Years ago, a series of science-fiction films like Zardoz or Logan's Run forecasted today's postmodern predicament by extending this fantasy to the community itself: the isolated group living an aseptic life in a secluded area longs for the experience of the real world of material decay.
The Wachowski brothers' hit Matrix (1999) brought this logic to its climax: the material reality we all experience and see around us is a virtual one, generated and coordinated by a gigantic mega-computer to which we are all attached; when the hero (played by Keanu Reeves) awakens into the "real reality," he sees a desolate landscape littered with burned ruins - what remained of Chicago after a global war. The resistance leader Morpheus utters the ironic greeting: "Welcome to the desert of the real." Was it not something of the similar order that took place in New York on September 11? Its citizens were introduced to the "desert of the real" - to us, corrupted by Hollywood, the landscape and the shots we saw of the collapsing towers could not but remind us of the most breathtaking scenes in the catastrophe big productions.
When we hear how the bombings were a totally unexpected shock, how the unimaginable Impossible happened, one should recall the other defining catastrophe from the beginning of the XXth century, that of Titanic: it was also a shock, but the space for it was already prepared in ideological fantasizing, since Titanic was the symbol of the might of the XIXth century industrial civilization. Does the same not hold also for these bombings? Not only were the media bombarding us all the time with the talk about the terrorist threat; this threat was also obviously libidinally invested - just recall the series of movies from Escape From New York to Independence Day. The unthinkable which happened was thus the object of fantasy: in a way, America got what it fantasized about, and this was the greatest surprise.
It is precisely now,when we are dealing with the raw Real of a catastrophe, that we should bear in mind the ideological and fantasmatic coordinates which determine its perception. If there is any symbolism in the collapse of the WTC towers, it is not so much the old-fashioned notion of the "center of financial capitalism," but, rather, the notion that the two WTC towers stood for the center of the VIRTUAL capitalism, of financial speculations disconnected from the sphere of material production. The shattering impact of the bombings can only be accounted for only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borderline which today separates the digitalized First World from the Third World "desert of the Real." It is the awareness that we live in an insulated artificial universe which generates the notion that some ominous agent is threatening us all the time with total destruction.
Is, consequently, Osama Bin Laden, the suspected mastermind behind the bombings, not the real-life counterpart of Ernst Stavro Blofeld, the master-criminal in most of the James Bond films, involved in the acts of global destruction. What one should recall here is that the only place in Hollywood films where we see the production process in all its intensity is when James Bond penetrates the master-criminal's secret domain and locates there the site of intense labor (distilling and packaging the drugs, constructing a rocket that will destroy New York...).When the master-criminal, after capturing Bond, usually takes him on a tour of his illegal factory, is this not the closest Hollywood comes to the socialist-realist proud presentation of the production in a factory? And the function of Bond's intervention, of course, is to explode in firecraks this site of production, allowing us to return to the daily semblance of our existence in a world with the "disappearing working class." Is it not that, in the exploding WTC towers, this violence directed at the threatening Outside turned back at us?The safe Sphere in which Americans live is experienced as under threat from the Outside of terrorist attackers who are ruthlessly self-sacrificing AND cowards, cunningly intelligent AND primitive barbarians. Whenever we encounter such a purely evil Outside, we should gather the courage to endorse the Hegelian lesson: in this pure Outside, we should recognize the distilled version of our own essence. For the last five centuries, the (relative) prosperity and peace of the "civilized" West was bought by the export of ruthless violence and destruction into the "barbarian" Outside: the long story from the conquest of America to the slaughter in Congo. Cruel and indifferent as it may sound, we should also, now more than ever, bear in mind that the actual effect of these bombings is much more symbolic than real. The US just got the taste of what goes on around the world on a daily basis, from Sarajevo to Grozny, from Rwanda and Congo to Sierra Leone. If one adds to the situation in New York snipers and gang rapes,one gets an idea about what Sarajevo was a decade ago.
It is when we watched on TV screen the two WTC towers collapsing, that it became possible to experience the falsity of the "reality TV shows": even if this shows are "for real," people still act in them - they simply play themselves. The standard disclaimer in a novel ("characters in this text are a fiction, every resemblance with the real life characters is purely contingent") holds also for the participants of the reality soaps: what we see there are fictional characters, even if they play themselves for the real. Of course, the "return to the Real" can be given different twists: Rightist commentators like George Will also immediately proclaimed the end of the American "holiday from history" - the impact of reality shattering the isolated tower of the liberal tolerant attitude and the Cultural Studies focus on textuality. Now, we are forced to strike back, to deal with real enemies in the real world... However, WHOM to strike? Whatever the response, it will never hit the RIGHT target, bringing us full satisfaction. The ridicule of America attacking Afghanistan cannot but strike the eye: if the greatest power in the world will destroy one of the poorest countries in which peasant barely survive on barren hills, will this not be the ultimate case of the impotent acting out?
There is a partial truth in the notion of the "clash of civilizations" attested here -witness the surprise of the average American: "How is it possible that these people have such a disregard for their own lives?" Is not the obverse of this surprise the rather sad fact that we, in the First World countries, find it more and more difficult even to imagine a public or universal Cause for which one would be ready to sacrifice one's life? When, after the bombings, even the Taliban foreign minister said that he can "feel the pain" of the American children, did he not thereby confirm the hegemonic ideological role of this Bill Clinton's trademark phrase? Furthermore, the notion of America as a safehaven, of course, also is a fantasy: when a New Yorker commented on how, after the bombings, one can no longer walk safely on the city's streets, the irony of it was that, well before the bombings, the streets of New York were well-known for the dangers of being attacked or, at least, mugged - if anything, the bombings gave rise to a new sense of solidarity, with the scenes of young African-Americans helping an old Jewish gentlemen to cross the street, scenes unimaginable a couple of days ago.
Now, in the days immediately following the bombings, it is as if we dwell in the unique time between a traumatic event and its symbolic impact, like in those brief moment after we are deeply cut, and before the full extent of the pain strikes us - it is open how the events will be symbolized, what their symbolic efficiency will be, what acts they will be evoked to justify. Even here, in these moments of utmost tension, this link is not automatic but contingent. There are already the first bad omens; the day after the bombing, I got a message from a journal which was just about to publish a longer text of mine on Lenin, telling me that they decided to postpone its publication - they considered in opportune to publish a text on Lenin immediately after the bombing. Does this not point towards the ominous ideological rearticulations which will follow?
We don't yet know what consequences in economy, ideology, politics, war, this event will have, but one thing is sure: the US, which, till now, perceived itself as an island exempted from this kind of violence, witnessing this kind of things only from the safe distance of the TV screen, is now directly involved. So the alternative is: will Americans decide to fortify further their "sphere," or to risk stepping out of it? Either America will persist in, strengthen even, the attitude of "Why should this happen to us? Things like this don't happen HERE!", leading to more aggressivity towards the threatening Outside, in short: to a paranoiac acting out. Or America will finally risk stepping through the fantasmatic screen separating it from the Outside World, accepting its arrival into the Real world, making the long-overdued move from "A thing like this should not happen HERE! "to "A thing like this should not happen ANYWHERE!". America's" holiday from history" was a fake: America's peace was bought by the catastrophes going on elsewhere. Therein resides the true lesson of the bombings: the only way to ensure that it will not happen HERE again is to prevent it going on ANYWHERE ELSE.
미국인들이 궁극적으로 꿈꾸는 편집증적 환상은 작고 평화로운 캘리포니아주의 도시, 즉 소비를 위한 파라다이스에서 한가로이 개인적 삶을 즐기는 것이다. 그러나 어느 날 그는 갑자기 자신이 살고 있는 세계가 진짜 세계처럼 꾸며진 허구의 세계는 아닌가 의심하기 시작한다. 자기 둘레의 모든 사람들이 이 거대한 쇼에 동원된 뛰어난 배우와 엑스트라들일지도 모르다고. 이에 대한 가장 최근의 예가 피터 위어(Peter Weir)의 「트루먼 쇼(The Truman Show)」(1998)일 것이다. 짐 캐리(Jim Carrey)는 이 영화에서 자신이 24시간 방영되는 텔레비전 쇼의 주인공이라는 것을 알아차리게 되는 작은 마을의 사무원 역을 맡았다. 짐 캐리가 살고 있는 마을 전체가 이 쇼를 위해 설치된 거대한 무대장치인 셈인데 곳곳에서 그의 일거수 일투족을 촬영하는 카메라들이 작동되고 있다. 「트루먼 쇼」보다 먼저 나온 작품으로는 필립 딕(Phillip K. Dick)의 「타임 아웃 오브 조인트(Time out of Joint)」(1959)를 들어볼 수 있다. 이 영화 역시 50년대 후반 캘리포니아의 평화로운 한 소도시에서 평범한 삶을 살아가는 주인공이 점차 그가 살고 있는 마을 전체가 자신을 만족시키기 위해 꾸며진 무대장치라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는 스토리로 구성되어 있다. 「타임 아웃 오브 조인트」나 「트루먼 쇼」가 암시하고 있는 경험은 이 후기 자본주의적 소비 천국, 캘리포니아라는 공간이 그것의 초현실(hyper-reality) 속에서 어떤 의미로는 비현실적이고 실체 없는 것이며 물질적인 관성을 박탈당한 공간이라는 사실이다.
단지 할리우드가 물질성과 질량을 박탈당한 실재 삶을 무대에서 모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 후기 자본주의 소비사회에서는 '실재의 사회적 삶' 그 자체가 이미 어느 정도는 무대화된 허구로서의 특징들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실재"의 삶 속에서 마치 무대의 배우나 엑스트라처럼 행동하는 이웃들을 포함해서. 반복하자면 정신성이 박탈된 실용주의적 자본주의의 우주에서 궁극적인 진실은 "실재 삶" 자체의 물질성이 박탈된다는 것, 실재 삶 자체가 일종의 스펙터클한 쇼로 전환되어버린다는 것이다. 크리스토퍼 이셔우드(Christopher Isherwood)는 모텔 방을 예로 들어 미국적 일상의 비현실성을 표현한 바 있다.
"미국의 모텔은 비현실적이다! 〔…〕 그 방들은 의도적으로 비현실적으로 디자인되어져 있다. 〔…〕 명상을 위해 동굴로 들어간 은자처럼 우리가 점점 더 광고의 세계에서만 살고 있기 때문에 유럽인들은 우리를 경멸한다." 피터 슬로테르지크(Peter Sloterdijk)의 "영역sphere"이란 개념이 이곳에서 문자 그대로 실현되고 있다. 거대한 금속의 구체(球體)가 도시 전체를 감싸면서 그것을 고립시키고 있기 때문이다.(sphere란 단어는 영역, 범위 등의 뜻과 함께 구체球體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수년 전에 「자도즈(Zardoz)」나 「로건즈 런(Logan's Run)」 같은 일련의 공상과학 영화들은 격리된 무균지역에서 살면서 이제 물질적으로 부패해버린 실재 세계의 경험을 갈망하는 집단의 삶을 그려냄으로써 이미 이런 포스트모던한 상황의 곤경을 예견한 바 있기도 하다.
워쇼스키(Wachowski) 형제의 히트작 「매트릭스Matrix」(1999)는 이런 논리의 결정판이라고 할 수 있다. 「매트릭스」에서는 우리가 보고 경험하는 주위의 모든 물질 세계가 가상적인 것인 것으로 그려지는데 그 가상의 세계를 만들어내고 조정하는 것은 우리 모두가 그것에 연결되어 있는 메가 컴퓨터(mega-computer)의 일이다. 영웅의 역을 맡은 키아누 리브스(Keanu Charls Reeves)는 "진짜 현실"에 눈을 뜨게 되는데 그곳에서 그가 보는 것은 세계전쟁 이후 불에 탄 잔해들만이 남아 있는 시카고의 황량한 풍경이다. 저항군 지도자 모페스는 아이러니컬한 인사로 키아누 리브스를 맞이한다. "실재의 사막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런 구도는 9월 11일 뉴욕에서 일어난 사건에도 적용될 수 있는 그런 것이 아닐까? 뉴욕의 시민들은 그 날 "실재의 사막"으로 인도되었던 것이다. 할리우드에 길들여진 우리는 무너지는 타워의 광경과 그 장면들을 보면서도 대규모 제작사의 재난영화에서 보았던 어마어마한 광경들을 떠올리지 않을 도리가 없었다.
그 폭탄테러가 얼마나 예기치 않은 충격적 사건이었는지, 어떻게 그런 상상할 수도 없고, 가능하지도 않은 일이 실제로 일어났는지에 관해 들으면서 우리가 기억해봐야 할 또다른 참사는 20세기초에 일어났던 타이타닉 호 침몰사건이다. 타이타닉 호 침몰사건 역시 굉장한 충격이었다. 그러나 타이타닉 호가 19세기 산업문명의 힘의 상징이 된 이후로 그 배의 침몰을 위한 공간은 이미 이데올로기적 환상의 공간에 마련되어 있었다. 이번 폭탄 테러의 경우 역시 마찬가지가 아닐까? 미디어들은 테러리스트들의 위협에 관해 끊임없이 떠들어대고 「뉴욕 탈출(Escape from New York)」에서 「인디펜던스 데이(Independence Day)」에 이르기까지, 각종 영화들은 이런 테러 위협에 대한 우리의 아낌없는 리비도적 투자를 유도하지 않았던가. 이 상상도 할 수 없는 그러나 발생해버린 사건은 그러므로 사실 판타지의 대상이었다. 어떤 의미에서 미국인들은 그들이 상상해오던 것을 실제로 경험한 것이다. 물론 굉장히 경악하면서.
이데올로기적이고 상상적인 것들의 조합이 우리의 지각을 결정짓는다는 사실을 주지해야만 하는 때는 바로 지금, 이 생생한 참사의 '실재'를 다루는 순간이다. WTC 타워의 붕괴에 어떤 상징이 있다면 그건 "자본주의의 재정적 심장"이라는 낡아빠진 비유에 관련된 것이 아니다. 그 두 개의 쌍둥이 빌딩은 물질적인 실재 생산의 영역에서 분리되어 온갖 재정적 지침들이 '사고'되는 '가상적' 자본주의의 중심을 상징하고 있었다고 보는 편이 적당하다. 그 건물에 대한 폭탄 테러가 던진 굉장한 충격은 디지털화된 제1세계와 "실재의 사막" 자체인 제3세계를 가르고 있는 경계를 고려하지 않고서는 설명될 수 없는 것이다. 그것은 우리가 악의적인 대리인들이 모든 것을 파괴하기 위해 끊임없이 위협을 가하고 있다는 생각을 주입하는 격리된 가상의 우주 속에 살고 있다는 자각에 다름아니다.
결론적으로 오사마 빈 라덴(Osama Bin Laden)은 대부분의 제임스 본드 영화에서 악당 두목 역으로 나왔던 에른스트 스타브로 블로펠드(Ernst Stavro Blofeld)의 실재적 현현이 아니라 지구적 파괴 행위에 연루된 폭탄 테러의 배후 세력 용의자일 뿐이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할리우드 영화에서 우리가 생산과정을 아주 강도 높게 볼 수 있는 유일한 경우는 바로 제임스 본드가 집약적 노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악당의 소굴(마약을 증류하거나 포장하고 뉴욕을 통째로 날려버릴 폭탄을 제조하기도 하는)을 찾아내는 경우뿐이라는 사실이다. 본드를 생포한 후에 악당의 두목은 흔히 본드에게 그 자신의 불법 공장을 구경시켜준다. 이런 부분이야말로 할리우드가 공장에서의 생산과정을 자랑스럽게 과시하는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미학에 가장 근접하고 있는 부분은 아닐까? 여기서 본드가 해내야 할 임무는 물론 그 생산라인을 폭파시켜서 우리가 다시 "노동계급이 증발"된 세계 속, 우리의 표면적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WTC 타워의 폭발은 사실 위협적인 외부세계를 겨냥한 폭력이 우리 자신에게 되돌아왔던 것은 아니었던가?
미국인들이 살고 있는 안전한 '영역'은 '외부' 세계 테러리스트들의 위협 아래에 놓여진 것으로 드러났다. '외부'의 테러리스트들은 무자비한 자기 희생자인 동시에 겁쟁이이며, 교활하게 머리가 좋은 동시에 원시적인 야만인들이기도 하다. 우리가 그런 '외부의' 순수한 악에 대면할 때 우리는 언제나 헤겔이 던지는 다음과 같은 교훈을 마음으로부터 인정할 용기를 가져야만 한다. 이 순전한 '외부' 속에서 우리는 우리들 자신의 순수하게 증류된 본질을 찾아야만 한다는. 지난 5세기 동안 지속된 '문명화'된 서구의 (상대적) 평화와 번영은 '야만적'인 '외부세계'에 무자비한 폭력과 파괴를 수출함으로써 얻어진 것이다. 미국 대륙의 정복과 콩고에서의 살육을 기억해보자. 잔인하고 인정머리 없게 들릴지도 모르겠지만 우리는 이 폭탄 테러 사건이 실재적인 것이라기보다는 상징적인 것이라는 것을 그 어느 때보다도 더 마음 깊이 명심해야 한다. 미국은 이제야말로 사라예보로부터 그로쯔니(Groznyi, 체첸공화국의 수도), 르완다와 콩고에서부터 씨에라리온(Sierra Leone, 서아프리카 남쪽에 있는 나라)에 이르기까지 세계에서 매일매일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아주 조금 맛보았을 뿐이다. 이 상황에 뉴욕에서 일어나는 총질들과 갱단의 강간사건들을 좀 덧붙이면 우리는 어렵지 않게 10년 전 사라예보의 모습을 재현해볼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텔레비전 속의 "실재"가 허구라는 것을 경험할 수 있게 된 때는 바로 우리가 텔레비전 스크린을 통해 WTC 타워가 붕괴되는 것을 목격했던 순간이었다. 텔레비전의 쇼들이 '실재'를 보여줄 때조차도 사람들은 여전히 그 프로그램 안에서 연기하고 있다. 그들은 그저 자기 자신을 연기하고 있는 것이다. 소설이 흔히 주장하곤 하는 "이 글 안의 인물들은 허구적인 인물들입니다. 그들이 실재의 어떤 인물들과 비슷하다 하더라도 그것은 단순한 우연일 뿐입니다"라는 명제는 실재라는 드라마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에게도 적용되는 문구이다. 그들이 실재 삶을 살아가고 있을 때조차도 우리는 허구적 캐릭터들을 보고 있는 것이다. 물론 "실재로의 귀환"은 다른 방향으로 주어질 수도 있다. 조지 윌(George Will) 같은 우파 보수주의자 논객 역시 즉시 미국의 "역사로부터의 휴가"가 종료되었다고 선언했다. 텍스트성에 초점을 맞춘 문화이론들과 자유주의적이고 관용적인 태도의 고립된 성벽을 뒤흔든 '실재'의 충격으로 인해서. 이 진짜 세계에서의 적들을 처리하기 위해서 이제 우리는 반격을 개시해야만 한다…… 그러나 누구에게 반격해야 할까? 우리가 어떤 반격을 개시하건 그 반격의 목표는 결코 우리에게 온전한 만족감을 가져다줄 수 있는 '제대로 된' 목표일 리가 없다. 아프가니스탄을 공격하는 미국의 아둔한 행위는 자기 자신의 눈을 찌르는 행위나 다름없다. 세계 최강대국이 불모의 땅위에서 가까스로 생존을 유지하고 있는 가장 가난한 나라를 공격하는 것은 아무런 효과도 없고 무기력한 연기 행위의 극단적 예가 아니라면 무엇이 될 수 있을까?
이 사건에서 자주 언급되는 "문명의 충돌"이란 개념에는 분명 부분적 진실이 있다. 어떻게 자기 자신의 생명을 아무렇지도 않게 포기하는 사람들이 있을 수 있는가에 대해 경악하고 있는 미국인들을 주시해보자. 이 놀라움 뒤에는 정작 자신의 목숨을 기꺼이 희생할 공동체적이고 보편적인 이유를 상상하는 것이 점점더 불가능해지는 제1세계 시민들의 비애가 숨겨져 있는 것은 아닐까? 폭탄 테러 사건 이후, 심지어 탈레반의 외무장관이 미국 어린이들의 "고통을 느낄 수 있다"라는 발언을 했을 때 그는 빌 클린턴의 트레이드 마크인 그 문장의 헤게모니와 이데올로기적인 역할을 다시 한번 확인해주고 있었던 셈이 아닌가? 안전한 피난처 미국이라는 인식은 물론 환상이다. 그러나 뉴욕 시민들이 폭탄 테러 이후 이제 뉴욕 거리를 더이상 안전하게 걸어다닐 수 없다고 이야기할 때, 아이러니컬한 사실은 정작 각종 공격과 강도 행위로 이미 충분히 유명했던 이 도시에서 이 사건이 묘한 연대의 감정을 일으켰다는 사실이다. 젊은 흑인이 늙은 유태인 신사가 길을 건너는 것을 도와주는 광경은 불과 며칠 전까지만 해도 상상도 할 수 없었던 풍경인 것이다.
폭탄 테러 이후의 며칠 동안 우리는 마치 외상적인(traumatic) 사건과 그것의 상징적 결과 사이에 존재하는 특이한 시간 속에 거주하고 있는 것만 같다. 상처가 깊게 밴 순간과 그 아픔이 온전하게 우리에게 전달되기 이전에 존재하는 그 짧은 순간과도 같은. 이 사건이 어떻게 상징화될 것인지, 그것의 상징적 효과가 무엇이 될 것인지, 그 효과를 정당화하기 위해 취해질 행동은 무엇인지는 모두 미정의 상태이다. 지금 이곳, 이 극단적인 긴장의 순간에조차도 이 상처와 그 상처의 상징적 결과 사이의 관계는 필연적인 것이 아니라 우연적인 것이다. 불길한 조짐들은 이미 나타나고 있다. 폭탄 테러 다음날 나는 레닌에 대한 나의 다소 긴 글을 출판할 계획이었던 출판사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그들은 아무래도 폭탄 테러 이후에 레닌에 관한 글을 출판하는 것은 시기가 좋지 않다면서 그 책의 출판을 연기하기로 결정했다고 이야기해왔다. 혹시 이게 앞으로 이어질 불길한 이데올로기적 작용의 시작점은 아닐까?
우리는 아직 이 사건이 경제, 이데올로기, 정치, 전쟁 등에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알지 못한다. 그러나 한 가지 사실만은 분명한데, 지금까지 스스로를 이런 종류의 폭력으로부터 배제되어 있다고 생각했던, 이런 폭력은 텔레비전 스크린을 통해 안전한 거리에서 바라보기만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던 미국이 이제 직접적으로 이런 폭력에 개입되었다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이제 선택은 다음과 같다. 미국이 결국 그들의 "영역"을 더 공고히 하기로 결정할 것인가 아니면 그 영역 밖으로 걸어나올 위험을 감수할 것인가? "우리에게 왜 이런 일이 일어나야 하지? 이런 일은 '이곳'에서 일어나는 일이 아니야!"라는 태도를 견지하면서 위협적인 '외부' 세계에 대해 더욱 공격적으로 대응하기로, 다른 말로 하자면 분열증적 연기를 계속하기로 결심하든지 아니면 마침내 그들을 '외부' 세계로부터 분리하는 허구적 스크린으로부터 걸어나와서 '실재' 세계에 개입되었다는 것을 인정하고 "이런 일은 '이곳'에서는 일어나면 안돼"라는 태도로부터 "이런 일은 '어디에서도' 일어나면 안돼"라는 태도로 매우 늦어버린 전환을 시도하든지. 미국이 즐긴 "역사로부터의 휴가"는 허구다. 미국의 평화는 미국 이외의 곳들에서 일어나고 있는 참사와 맞바꾼 것이다. 이제 폭탄 테러가 주는 진정한 교훈을 배워보자. 이런 사건이 '이곳'에서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유일한 방법은 그런 일이 그 밖의 어떤 곳에서도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길뿐이라는 교훈을.
[번역: 서정은]
이 글은 창작과비평사 웹매거진에 실린 글을 재게재한 것입니다.
1998-2002 Changbi Publishers, Inc. All rights reserved.
--------------------------------------------------------------------
※전문 문인들의 글을 싣고 있는 까닭에 창작과 비평사는 글의 사용에 대해 사전허가를 엄격히 요구하고 있습니다. 아래에 창비사의 허가 내용과 조건에 관한 이메일 내용을 적어 둡니다. 지젝의 원문은 인터넷에 널린 것 중에서 엿장수 맘대로 집어 온 것입니다.
<디지털 창비 웹매거진 담당자의 메일. 2002.07.22>
카페에만 사용하고 비상업적인 목적으로 사용한다면, 창비에 권익에 해를 끼칠 문제의 소지가 없다면, 재게제를 허락합니다. 다만 번역 저작권에 대해서만입니다. 원문에 대한 저작권에는 저희가 허락할 입장이 아니지요. 우리도 지젝과 직접 컨택을 한 것이니까요. 반드시 '이글은 창작과비평사 웹매거진에 실린 글을 재게재한 것입니다'라는 문구를 넣으시고 저작권 표시해주시십요. 링크도 반드시 걸어주시고요.
원문은 편집위원 선생님이 직접 보내주신 것이라 자세한 출처를 알 수 없습니다, 지금으로선.
번역자 서정은씨는 창비 편집부 직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