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U(digital service unit)
아날로그 신호가 디지털 방식의 전송로에서 이동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바꾸어주는 장비이다. 입력된 직렬 유니폴라(unipolar) 신호를 변형된 바이폴라(bipolar) 신호로 바꾸어 주며, 수신측에서는 반대의 과정을 거쳐 원래의 신호로 만들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존에는 아날로그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장비로 모뎀이 널리 사용되었는데 속도가 느려 사용자의 고속통신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했다.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PCM(Pulse Code Modulation) 방식이 활발히 이용됨에 따라 DSU도 많이 보급되었다. 값이 모뎀의 경우보다 싼 DSU는 아날로그 전송일 경우 모뎀이 설치되는 전송로의 양끝에 설치되어 디지털 신호가 디지털 전송로로 전송되기 적합하도록 해 준다. 즉, 직렬 유니폴라 신호를 변형된 바이폴라 신호로 바꾸어 주고 수신측에서는 반대의 과정을 수행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DSU [digital service unit] (두산백과)
채널 서비스 장치(channel service unit , -裝置)
고속 디지털 전용 회선용의 회선 종단 장치. 장거리 통신 사업자들이 DS-0(64kbps), DS-1(1.544Mbps), DS-2(6.312Mbps) 등 고속 디지털 전용 회선의 물리적 특성을 관리하기 위해 원하는 고객의 댁내(구내)에 설치하는 장치이다. 디지털 서비스 장치(DSU)나 다중화기(MUX)와 전용 회선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및 버퍼로서 동작한다. 채널 서비스 장치(CSU)는 전용 회선의 전송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회선 기능, 고객 댁내 장치가 전송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는 보호 기능, 되돌림 시험, 성능 감시와 같은 회선의 유지 보수 기능, 타이밍 신호의 공급 기능 등을 수행한다. CSU는 DSU와 하나의 장치로 결합될 수 있으며, 하나로 결합된 장치를 디지털 서비스 장치/채널 서비스 장치(DSU/CSU)라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채널 서비스 장치 [channel service unit, -裝置] (IT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