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참으로 표준말을 좋아하는 것 같다.
표준말의 기준이 서울말로 되어버리자, 지방의 말들은 한결같이 비표준어라는 뜻으로 사투리가 되어버렸다.
게다가<한글맞춤법>이란 괴물이 나타나서 현실과 진실과 원칙을 무시하는 예외법칙이 난무하는 어법을 만들어 온 국민을 혼동스럽게 하고 있다.
나는아직도 혼돈하는 것이 '사이시옷' 사용이다.
한글맞춤법 제30항에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 경우'라고 하여 원칙을 적어놓았는데, 도대체 알아먹기도 힘들고, 구분하기도 힘들고 사람에 따라 발음되는 경우를 '한글맞춤법' 속에 가둠으로써 스스로 모순에 빠지고 있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즉,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것 -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순 우리말 합성어로,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에 사이시옷을 적는다는 것이다.
여기서 세부규정으로서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소리'가 덧나는 것과, 두 음절의 한자어(6 낱말)의 경우이다.
그 례로서 귓밥 귓병 탯줄, 텃마당 구렛일 뒷머리 뒷일 제삿날 훗날, 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 등이다.
이 정도면 훌륭한 것처럼 보인다, 지금 쓰는 '귓밥'을 '귀밥'이니, '뒷일'을 뒤일'이라면 눈에 설을 것이다.
혹시 여기에 사이 시옷을 빼면 안 될까? 하는생각을 해본다.
그 원칙에 분명 '된소리'에 주안점이 있는 것 같다.
그렇다면 '동아줄'을 보자.
'동아'는 모음으로 끝나고, '탯줄'처럼, 같은 '줄'로서 합성어가 되어있다.
'태줄'은 '탯줄'이 맞다면, '동아줄'도 '동앗줄'이라야 옳다. 그런데 표준어에 '동아줄'이 옳단다. 이 두 낱말 사이에 어떤 원칙을 끌어넣어야 '탯줄'은 맞고 '동앗줄'을 틀린다고 설명을 붙일 수 있을까? '된소리'가 나고 아니나는 것은 사람에 따라 다르다. '된소리'글자도 아니고 소리로서 '된소리'라면 그것은 당연히 발음법에서 취급해야 옳다. 어떤 사람은 '동앗줄[동아쭐]'이라고 하는가 하면, 어떤 사람은 '동아줄[동아줄]이라고 한다. 이것은 분명 소리의 문제이지 맞춤법의 문제는 아닌 것이다.
그렇다면 또 같은 뜻의 낱말이 '동앗바'를 보자. 이것을 '동아바'라고 하면 왜 틀리는가? 소리가 [동아빠]라고 내야 하는 까닭이 있는가? 어떤 사람은 [동아바]라고도 한다.
사이시옷 규정에서 표기가 아니고, 소리의 문제에서 '사이시옷'은 차라리 없애는 것이 옳다고 본다.
'우유빛'이라고 알아왔던 터에 어느날 '우윳빛'이라야 옳다느니, '등교길'이라고 써 왔고, 알아왔던 것이 어느날 '등굣길'이라야 옳다고 하니, 나는 '우윳빛/등굣길'이 더 눈에 설다.
'장마'와 장맛비'는 같은 말이다. 도리어 '장맛비'는 '비'가 포함된 낱말로서 토톨러지이다. '장마'라고 하면 될 것을 구태여 '장맛비'라고 하니 우습다. 나는 어렸을 적에 늘 '장마' 또는 장마비'라고 듣고 말하며 살았다. '장마비'라고 해서 혼돈되거나, 그 뜻에 손상이 가거나 구분되지 않을 어떤 까닭이라도 있는가?
사이시옷의 보기에서 '뒷일'[뒨닐] '훗날'[훈날]이 옳다고 원칙을 세웠는데, '뒤일''후날'하면 안 되는가?
뒷꼍 뒤꽁무니 뒤꽂이 뒤끝 뒤쪽
뒷간 뒷감기 뒷길 뒷방 뒷발 뒷벽 뒷자락 뒷전 뒷짐
여기서 위의 보기는 정확히 '된소리' 글자이다. 그런데 사이시옷은 들어가지 않는다.
위에서 아래의 보기는 사이시옷을 넣음으로써 '된소리'가 나도록 되어 있는 글자이다. 실로 사이시옷을 떼어내어도 문제없는 글자임에 분명하다.
빨래꾼 빨래질 빨래터 빨래판
빨랫간 빨랫감 빨랫돌 빨랫방망이 빨랫비누 빨랫솔 빨랫주인 빨랫줄
여기서 위의 보기는 된소리가 나기도 하고 된소리가 나지 않는 것도 있다. 그런데 사이시옷은 없다.
여기서 아래 보기에는 억지로 '된소리'를 나게끔 하지 않는다면 예사소리로 내도 문제될 것은 없는 것도 있다. [빨래삐누]가 아니라 그냥 [빨래비누]라고도 한다. [빨래쭐]아 아니라 [빨래줄]이라고도 한다.
'동아줄'은 옳고, '빨래줄'은 틀린다고 하면 누가 알아먹겠는가? 앞글자가 모음으로 끝나고, 같은 글자의 'ㅈ'의 '줄'인데, 그 소리가 하나는 [줄]이로 다른 하나는 [쭐]인가?
'종자돈'이라고 해도 될 것을 '종잣돈'이라고 해야 옳다는 원칙은 한글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한글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어 실증나게 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이런 원칙을 적용해서 얻는 것이 무엇인가? 아직도 수많은 박사를 배출햇어도 받아쓰기, 원고 작성에 사이시옷 제대로 쓰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이참에 뜻으로 '의'나, 합성어에서 사이시옷은 <맞춤법>에서 모두 없애고, <표준발음법>에 넣어야 옳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