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단산(黔丹山 657m)
1.소 재 지: 경기 하남시 창우동 , 광주시 중부면, 남종면
2.개 요
검단산(黔丹山)의 높이는 657m이고, 하남시 동쪽 한경변에 솟아 있으며, 한강을 사이에 두고 예봉산(禮峰山, 679m)과 마주하고 있다.
백제 한성시대 하남 위례성의 숭산(崇山), 진산(鎭山)으로서 왕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신성한 산으로 전해진다.
한남정맥의 한 지맥으로, 그 끄트머리에 솟아 있는 산이다. 정상은 넓은 공터로 사방이 확 트여 있고, 북한강 너머에는 예봉산과 운길산, 도봉산, 북한산 등의 수려한 경치를 조망할 수 있다.
북한강과 남한강의 합류 지점인 양수리 일대, 동쪽으로는 팔당댐, 남쪽으로 뻗은 능선에는 용마산(龍馬山)이 솟아 있으며 서쪽으로는 중부고속도로가 지난다.
검단산의 유래에 대해서 대략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해온다.
백제시대 검단선사(黔丹禪師)가 그 산에 은거하였어서 선사의 이름을 따서 검단산(黔丹山)으로 부르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바로 그중에 하나이다.
그러나 검단선사에 대하여 알려진 바가 없다. 다만 전북 고창의 유명한 사찰 선운사(禪雲寺)의 창건 설화 중 신라진흥왕이 세웠다는 것과 백제 위덕왕(525년~598년) 24년인 577년에 검단선사(黔丹禪師)가 세웠다는 것이다. 만일 동일인이라면 검단선사가 검단산에 있었던 것은 6세기 중반이라는 얘기가 될 수 있다.
또 하나는 '검(黔)'은 한자 뜻이 '검다'인데 고조선 때 단군왕검같이 제사와 정치의 기능을 겸한 제정일치 사회의 우두머리를 '왕검(王儉)'→'임검(壬儉)'→ '임금'이라 불렀듯이 '검(黔)'은 '금'이 되어 즉, '크다, 신성하다'는 뜻이라 해석하고 단(丹)'은 현재의 한자 뜻인 '붉다'와는 다른 '제단'이란 뜻으로 '검단산'은 '신성한 제단이 있는 산'이란 뜻으로 해석했다.
한때는 검단산의 검(黔)을 '금'으로 읽어 '금단산'으로 부르기도 했고 실제로 한성백제(漢城百濟) 시절에 왕이 검단산에 올라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고 전해 오는 이야기가 있다.
또한 검단산은 한강과 인접해 있어 산세의 막힘이 없고 동, 서, 북 3면의 조망이 뛰어나며, 남한강, 북한강과 팔당댐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는 산으로 알려져 있다.
이 지역이 한강에 접해 있으므로 각처에서 한강을 이용하여 한양으로 들어오는 물산(物産)의 집산지 였기에 이곳에서 '검사하고 단속하였다'는 것에서 유래하였다는 설이 있다. 이 산 입구에 창우동(倉隅洞)이라는 마을이 있다. 창우동이란 '창고가 있던 곳'이란 뜻이다.
조선시대 광주목의 진산(鎭山)이었다. 본래 세종대왕의 능을 이곳에 쓰려다 여주로 옮겨가게 되어 닦아놓은 능터가 남아 있고, '서유견문'을 쓴 유길준의 묘도 있다. 위키백과








산 행 일 지
하남시벤처센터~참전용사기념탑~큰고개사거리~전망데크~정상~곱돌약수터갈림길~에니메이션고교
1.산 행 일 시: 2018년 9월18일 (화) 구다
2.산 행 대 원: 울산 산울림산우회
3.산 행 일 지
11:10~13 하남시벤처센터 앞 독바위골 입구 하차(소하천 독바위골천 하남시장) 푯말 있음
11:14 월남전 참전기념탑
11:39 구당(矩堂) 유길준(兪吉濬) 묘역
11:44~50 큰고개 사거리 벤치가 있음
11:54 두 번째 벤치
11:57 세 번째 벤치
12:00 돌계단을 만나고
12:04~29 돌계단을 오르다 로프 우측 조그만 조망바위서 조망(맞은편 예림산(683m)과 우측 견우봉 직녀봉을 즐기고 다시 큰고개로
12:38~44 다시 큰고개 옆 봉우리서 거북팀을 조우해서 정상으로
13:06~15 다시 조금전 조망처 바위에
13:21 ↑검단산 1.45km, ↓에니메이션고 2.45km 이정표를 만나고
13:26~28 조망바위 봉에서 하남시 방향을 조망하고
13:36 다시 돌계단을 만나고
13:44 이정표 능선에 오르고(→검단산 정상 1.03km, ↓애니메이션고 2.87km)
13:47~50 바위 조망처에 올라서
13:54~58 전망데크(북한강과 남한강이 조우하는 두물머리와 한강을 조망
14:12 나무계단을 오르고
14:15 길이 나누어지는 곳을 만나고
14:18~23 평평한 곳 삼거리를 만나는 지점
14:28 또 삼거리를 만나고(↓에니메이션고 3.65km, ↑검단산정상 0.26km)
14:32 헬기장을
1435~15:01 정상(↓유길준, 애니메이션고 3.92km, →현충탑방향, 애니메이션고 3.92km, ↑아래배알미 3.37km) 정상 매점에서 막걸리 한병 5,000원에 구입하여 목을 축이고, 전망데크에서 팔당호를 조망하고 현충탑 방향으로 하산
15:03 나무계단을 내려서고
15:05 곱돌약수터 갈림길(↓검단산정상 0.1km, ↑산곡초교 3.39km, 수자원공사 4.61km, →곱돌약수터 0.82km)에서 곱돌약수터로
15:07 나무계단을 내려서
15:20 ↑현충탑 2.0km, ↓검단산정상 0.5km 구조폴을
15:24 팔각정이 있는 너런 공터를 만나고
15:26 출입금지 안내푯말이 있는 로프 계단길
15:28 곱돌약수터(↓검단산정상 0.92km, ↑현충탑 1.68km, 애니매이션고 2.65km)
15:36 검단산 산불조심 나무 표식이 있는 지점
15:49 ↑현충탑 0.8km, ↓검단산정상 1.7km 구조폴을
16:00 위험 스텐레스 표지판이 있는 작은 계곡을 건너고
16:06 ↓검단산정상 2.37km, ↑현충탑 0.24km, 애니메이션교 1.20km 이정표가 있는 호국사 이정석이 있는 갈림길. 검단산 설명판도 있음
16:09 산불관리초소가 있는 삼거리(↓검단산정상 2.46km, →애니메이션고 1.11km, 현충탑 0.15km)에서 우측으로 가다 (←애니메이션고 1.0km, ↓검단산정상 2.47km) 이정표에서 좌측으로
16:19 철탑 아래 화장실이 있는 지점(검단산등산안내도가 있음)
16:25 기와집 순두부 식당을 지나 우측으로
16:26 다시 삼거리를 만나서 좌측으로
16:27 다시 사거리를 만나면 좌측으로
16:33 한국애니메이션고교 옆 사거리에
(총보행시간: 5시간20분, 휴식 및 조망: 1시간26분, 순보행시간: 3시간54분)

1110~13 하남벤처센터가 보이는 독바위골 입구 하차

1112 우측으로

1113 독바위골천 입구 모습을

1114 월남참전용사기념탑에

1116 등로 모습을

1139 矩堂 兪吉濬 묘역에

1144~50 큰고개 사거리에

1144 큰고개 사거리의 이정표

1150 큰고개 사거리 우측으로 오르면 체육시설이

1154 두 번째 벤치 쉼터에

1157 세 번째 벤치 쉼터에

1200 돌계단을 만나고

1204~29 돌계단을 오르다 로프 우측 조그만 바위조망처에

1216 조망처에서 팔당대교를

1221 한강 넘어 예봉산(678.8m)와 우측으로 직녀봉과 견우봉을 조망하고 다시 거북팀에게로 하산

1238 큰고개 옆 봉우리로 내려와서 거북팀과 조우

1306~15 다시 바위 조망처에

1311 한 컷하고

1321 검단산 1.45km 이정표페

1321 인증샷

1324 바위 봉우리 아래서

1326~28 바위 봉우리 조망처에서 하남시를

1328 부회장님으

1336 다시 돌계단을 만나고

1344 능선에 오르고

1344 능선의 이정표

1345~50 팔당대교가 보이는 조망바위에

1348 인증샷을 하고

1354~58 전망데크에

1356 전망데크에서 팔당호를(건너편이 남한강)

1412 나무계단을

1415 나무계단을 오르면 삼거리

1418~23 너른공터에

1428 삼거리를 만나고

1428 삼거리의 이정표

1429 인증샷을

1432 헬기장

1435~1501 검단산 정상에

1435 정상의 조망도

1437 거북팀 인증샷

1438

1438

1438 정상 데크에서 팔당댐과 남한강과 좌측 북한강을

1440 정상의 이정표

1441 팔당도 인증샷을

1441 정상의 조망데크 모습

1445 검단산 정상부 조망안내도

1450 삼각점같은 흔적이

1451 검단산 동쪽 편 조망도

1503 정상을 내려서면 나무계단이

1505 곱돌약수터 갈림길 안부

1505 갈림길 안부의 이정표

1505 삼거리의 구조폴을

1507 또 나무계단을 만나고

1520 현충탑 2.0km 구조폴이 있는 지점

1520 구조폴의 이정표

1524 너른 공터에

1524 공터 모습을

1526 나무계단길을

1526 나무계단 로프에 출입금지 표지판을

1528 곱돌약수터에

1529 곱돌약수터의 검단산 설명판

1529 곱돌약수터 모습을

1529 곱돌약수터의 이정표

1536 산불조심 안내목

1545 등로 우측 모습을

1549 현충탑 0.8km 구조폴을

1600 조그만 계곡을 건너고

1606 호국사 갈림길

1606 호국사 갈림길 이정석

1606 호국사 갈림길의 거단사 설명

1609 산불감시초소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1609 산불감시초소 삼거리의 이정표

1609 현충탑쪽으로 가다 이정표에서 애니메이션고 쪽으로

1619 철탑아래 화장실에

1620 화장실의 등산 안내도

1624 기와집순두부 지나서 우측으로

1626 기와집 순두부를 지나 우측으로 꺾어서 돌아본 모습

1626 앞쪽 모습을 삼거리서 좌측으로

1627 사거리를 만나서 좌측으로

1633 애니메이션고교 사거리

1633 애니메애션고교에서 본 검단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