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성도에 따라 유산균 수가 달라지는 김치?
유산균을 풍부하게 섭취하려면
'숙성도'가 중요하다고 하는데요
Q. 유산균이 가장 많이 들어 있는 김치는 무엇일까요?
가장 많이 익은 묵은지에
유산균이 제일 많다?
아니면 푸릇푸릇한 겉절이에
유산균이 가장 많을까요??
각 김치별 유산균 수를
알아보았습니다
그 결과, 겉절이의 유산균 수는
30만 마리로 2등을
차지했습니다
적당히 숙성된 김치와
묵은지 중 유산균이 19만 배 가량
더 많은 김치는 무엇일까요?
묵은지는 꼴등으로
유산균이 1만 2천 마리에 불과했습니다 ㅠㅠ
유산균 1등★을 차지한 김치는
열흘간 숙성된 김치였습니다!
*유산균 순위*
열흘 숙성 김치 >>>>> 겉절이 >> 묵은지
왜 이런 차이를 보이는 것일까요?
김치는 숙성 정도에 따라
유산균의 수가 달라지는데요
유산균은 섭씨 2~7도씨 사이에서
50일까지 증가↗하고 그 이후로는
급격히 줄어들게↘ 된다고 합니다 ㅠ^ㅠ
새콤달콤 물김치는 어떨까요?
놀랍게도 '열흘 숙성된 김치'보다
물김치에 훨~~씬 많은
유산균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어요
물김치에는 미생물의 생장을 더디게 하는
고춧가루가 들어가지 않고
유산균의 먹이가 되는 식이섬유가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
*채널A 닥터 발췌.
카페 게시글
모두의 이야기
유산균이 제일 많은 김치
choon
추천 0
조회 88
20.08.19 08:14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