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관책진禪關策進>
1-9제조사법어절요諸祖師法語節要,
*경산대혜고선사 답문徑山大慧杲禪師答問,
근일에 자기 안목도 밝지 못하면서 다만 사람으로 하여금 맥없이 쉬고 쉬어가라 하며, 또한 이르기를 인연을 따라 마음을 잡으며 생각을 잊고 잠잠히 비추라 하며, 또한 모든 것을 상관하지 말라, 하니, 이와 같은 병든 소견으로 설사 힘써 공부한다고 하더라도 마침내 이 일은 마칠 날이 없게 된다, 단지 마음을 한곳으로만 지으면 아무도 얻지 못할 자가 없는 것이니, 시절인연이 도래하면 저절로 축착 합착하야 분연히 깨칠 것이다, 항상 세간 육진 망상경계로 딸려가는 자기 심식을 잡아서 반야위에 돌이켜 놓으면 비록 금생에 미치지 못하더라도 임종 시에는 결코 악업에 끌리지 않을 것이며, 오는 생에는 반드시 반야 중에서 분명히 수용하게 될 것이다, 이것은 결정된 사실이라 조금도 의심할 것이 없느니라, 다만 항상 화두를 들어야 하니, 설사 망념이 오더라도 생각으로 막고 제하려고 하지 말고 오직 힘써 간절하게 화두만을 들어라, 가나오나 서나 앉으나 항상 화두를 들어, 화두로 오고 화두로 가면 아무 재미도 없게 될 것이니, 이때가 참으로 좋은 시절이라 부디 놓아 지내지 말라, 일조에 홀연히 마음 빛이 활짝 밝아 시방세계를 비추면 능히 한 터럭 끝에 불국토를 나 투며, 가는 먼지 속에 앉아서 대 법륜을 굴 릴 것이다, 평, 사께서는 타인은 정定을 앞에 하고 혜慧를 후로 한다 하나 나는 혜慧를 먼저하고 정定을 뒤로 하겠다 하신다, 그러나 화두만 타파하면 이른바 쉬어가고 쉬어가라 하는 것은 하려하지 않아도 그대로 되는 것이다, <今時 有自眼 不明 只管敎人 死獦狚地休去歇去 又敎人 隨緣管帶 忘情黙照 又敎人 是事莫管 如是諸病 枉用工夫 無有了期 但只存心一處 無有不得者 時節因緣到來 自然觸着磕著 噴地醒去 把自家心識 緣世間塵勞的 回來底在般若上 縱今生 打未徹 臨命終時 定不爲惡業所牽 來生出頭 定在般若中 見成受用 此是決定的事 無可疑者 但自時時提撕 妄念起時 亦不必將心止遏 只看箇話頭 行也提撕 坐也提撕 提撕來提撕去 沒滋味 那時 便是好處 不得放捨 忽然心華發明 照十方刹 便能於一毛端 現寶王刹 坐微塵裏 轉大法輪, 評曰 師自云 他人 先定而後慧 某甲 先慧而後定 蓋話頭疑破 所謂休去歇去者 不期然而然矣,
해설
*대혜 종고선사는 남악선사 16세손이고 임제종의 대종으로써 원오 극근 선사의 법을 이은 선사이고, 화두참선을 제창한 송대때 선사이다, 자기 안목도 없는 사람이 타인에게 공부하되 맥없이 쉬어가고 쉬어가라고만 말한다는 것을 질책한 법문이다. 법문 전체 문장이 그때 당시 묵조선(黙照禪)을 질타(叱咤)하는 법문(法門)으로 되어있다. 묵조선은 묵묵히 아무 생각 없이 마음을 비추고 쉬어가라고만 하니, 이런 선법(禪法)은 혼침(昏沈)에 빠지기 쉽기때문에 혼침과 망상(妄想)을 떨치게 하는 방법으로 화두참선(話頭參禪)을 제창(提唱)하였다. 화두에 생각을 집중(集中) 몰입(沒入)하다보면 선정(禪定)에 들어가기가 쉽기때문에 화두 참선법을 대혜종고선사가 새롭게 수행법으로 제시를 하게 된다. 화두 참선은 앉으나 서나 자나 깨나 항상 화두에 몰입 집중하라는 말씀이다. 화두가성성적적(惺惺寂寂) 일여(一如)하게 되면 아무 재미가 없는 경지가 오는데, 그 때가 공부가 제대로 되어가는 좋은 시절이라는 말씀이다. 몰자미(沒滋味) 경계(境界)가 무르익다 보면 홀연히 깨달음을 얻는 빛을 발할 때가 온다는 말씀이다. 깨달고 보면 선정후정(先定而後慧)이니, 선혜후정(先慧而後定)이니, 쉬어가고 쉬어가라는 것은 하려 하지 않아도 자연이 그런 경계를 맛볼 수가 있다는 말씀이다. 대혜종고 선사는 주자(朱子)의 외숙(外叔)이라고 한다. 화두참선을 제창한 송나라 때 걸출한 선지식 종장(宗匠)이다, 한국 불교선종(佛敎禪宗)은 대혜 종고선사의 화두 참선법을 지금도 전국 선방에서 참구하고 그대로 수행을 계승하고 있다. 화두참선은 직절문(直截門) 수행문(修行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