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버튼, 가로바, 라인. 기타등등.. 플래쉬 오브젝트가 가능한것들은 그립니다.....또한 PNG파일은 퍼블리싱 셋팅값에서 JPEG 퀄리티의 영향이 있기 때문에 80~100사이의 적당한 값을 입력합니다....포토샵에서 PNG 파일을 가지고 올때 플래시에서 적용한 부분을 생각해서 1픽셀의 값이라도 적게 가지고 올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세요..이럴테면 투명 영역또한 용량이 잡아 먹기 때문에 그런부분은 새창으로 불러 들여서 최소화 해서 불러 드리는 방법..레이아웃에서 오바되는 움직임이 전혀 적용되지 않는 이미지 부분...기타등등으로 최적화하는 습관을 들여서...작업을 하시다보면..고수가 되실겁니다.
그런다고 해서 용량이 줄어들지는 않아여...ComAniA 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조금만 신경쓰면 최대한 줄일수 있을거에여...그 외에도 플래시 작업시 Scene와 Symbol에서의 작업할때도 어디서 하느냐에 따라서 용량이 크고 줄어들게 됩니다.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니 충분히 참고 하세여...
자 설명 드러갑니다.. 일반 웹 JPG파일일 경우는 PNG의 경우가 용량이 더 커도 플래쉬에서 용량차이가 나는것은 JPEG의 영향이 PNG파일이 영향이 있기 때문입니다...JPG의 경우 JPG컬리티를 낮추어도 크게 영향이 없어서 기본 디폴트값이 80인경우에는 JPG보다 PNG파일이 적게 나오는경우가 여기에 있습니다... 그래서 적게 나온거 같고 JPG와 PNG 압축률을 비교하면 JPG가 월등 좋긴 하지만 어느 부분에서는 PNG파일이 더 좋은 효과를 낳을수 있습니다.. 포토샵에서 JPG를 가지고 오는 방법이 몇가지 있긴한데 웹 디바이스 전용으로 가지고 오느냐 일반 JPG형식에 퀄리티 9~12로 가지고 오느냐에 따라서 용량 차이가 천지 차이입니다..
이런 저런 생각하기 힘들고 수정하기 힘들다 싶으시면..PNG로 가지고 와서 퀄리티 조절하면서 작업하는것도 방법이구요...ㅡ,ㅡㅋㅋ; 아무튼 상황에 따라 차이는 있으니 알아두면 좋죠..ㅎㅎ;; 꼭 그렇지만은 않지만 PNG파일이 퍼블리싱 할때 적게 나올수도 있습니다... 대체로는 JPG가 용량적인 면에서는 적은것은 사실이고.. 투명영역이 없고 실사인경우에는 JPG로 하심이 좋구요..일러나 만든이미지일경우에는 GIF로 넘어 오는경우가 좋습니다...투명영역이 있는경우에는 PNG을 쓰심이 좋구요..정말 귀찮다 싶으시면...PNG로 넘겨서...퀄리티 조절하시방법이 최고...ㅎㅎ;
여기에서 포인트는 JPG는 플래시 JPEG 퀄리티의 값과 크게 차이가 없고 오히려 PNG파일에 적용이 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플래쉬 퍼블리싱에서 PNG가 용량이 적게 먹는다는게 여기서 오는 말입니다......퀄리티 값을 줄이면...JPG는 안먹고..PNG는 먹는 차이입니다....이사실은 ...플래쉬 1년 넘게 한분들도 잘 모릅니다...배너 작업을 오래 하시면..알게 될것입니다... 퀄리티 디폴트 값 80으로 놓고 용량큰 PNG파일[350kb]을 퍼블리싱하면 대략 50~80kb가 나온다면...디폴트 값80으로 놓고 포토샵 웹디바이스JPG[200kb] 퀄리티 100으로 넘겨서 온경우 200kb정도로 나옵니다...비교 분석은 실제로 해보시면 바로 아실수 있습니다...
실제적인 사이즈는 PNG파일이 1.5배 큽니다...퍼블리싱 셋팅값 퀄리티의 차이로 인해 JPG파일보다 반이상 줄어 듭니다....내가 진정 플래쉬 메니아라 하시면.. 꼭 한번 셤 사마 해보세요.. 알고 넘어가야한 중요한 정보입니다.. 예외의경우.. 이미 일반세이브 JPG퀄리티 12단계에서 9정도로 놓고 넘겨서 디폴트 값으로 80~100정도로 놓고 작업을 하게되면..어떤경우에는 JPG가 적게 나오는경우도 있습니다... **** 퍼블리싱 세팅 JPEG 퀄리티값에 영향은 JPG가 아닌 PNG라는 사실...**** 퀄리티는 80에 놓든 100에 놓든 이미지에 크게 영향이 없는것은 JPG입니다. PNG의 경우는 바로 표시 확 나죠...^^';
오우~ 좋은 정보 얻어가네요.. ^^ 음.. 일단 단순하게 생각하면.. 플래시에서 용량 작은순서는bmp < png < jpg < gif 이라고 하더군요.. 보통 플래시 하시는분들 배경을 깔거나 플래시내에서만 사용할경우 BMP를 많이 쓰신다고 하더라고요,, bmp파일은 그 해당 이미지의 정보만 담아있어서 플래시 내에서 압축률이 좋다고 합니다. jpg의 경우 0.1px 어긋나도 일그러짐이 심할경우가있어서 잘 사용안하더라고요,. 물론 외부 이미지 로드일경우에는 jpg이지만요 ^^
벡터라고해서 용량이 안나가는건 아닙니다.. 벡터가 오히려 jpg보다 용량이 더 클수도있습니다. 그리고 가장중요한 벡터를 사용하면 할수록 cpu는 올라간다는 점 생각하셔야합니다. 그리고 가장큰것은 텍스트 << 이게 가장큽니다. 만약에.. 텍스트를 벡터화시키지 않고 그냥 static Text로 쓰셧다면 그안에는 모든 폰트의 내용이 저장되어있기때문에. 용량이 상당히 나가게 됩니다. 파일의 용량을 줄이는순서.. 일단 텍스트전부 break시키기. jpg/png화질낮추기..글라데이션.. 줄이기.. 알파값 없애기.. 가 되겠군요... 특히 일러에서 불러오는 벡터파일은 쥐쥐입니다(-_-;)
첫댓글 버튼, 가로바, 라인. 기타등등.. 플래쉬 오브젝트가 가능한것들은 그립니다.....또한 PNG파일은 퍼블리싱 셋팅값에서 JPEG 퀄리티의 영향이 있기 때문에 80~100사이의 적당한 값을 입력합니다....포토샵에서 PNG 파일을 가지고 올때 플래시에서 적용한 부분을 생각해서 1픽셀의 값이라도 적게 가지고 올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세요..이럴테면 투명 영역또한 용량이 잡아 먹기 때문에 그런부분은 새창으로 불러 들여서 최소화 해서 불러 드리는 방법..레이아웃에서 오바되는 움직임이 전혀 적용되지 않는 이미지 부분...기타등등으로 최적화하는 습관을 들여서...작업을 하시다보면..고수가 되실겁니다.
오...감사합니다~ 솔직히 투명한 부분은 용량을 별로 안 잡아 먹을것 처럼 여겨지는데 전혀 아니군요 ^^;
확실한건 아니지만.. png가 용량이 커도 플래시에서 퍼블리싱하면 일반 jpg떄보다 용량이 줄어든다고 누가 테스트한걸 본 기억이 얼핏 나네요..;; (아닌가 -_-;;;)
그런다고 해서 용량이 줄어들지는 않아여...ComAniA 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조금만 신경쓰면 최대한 줄일수 있을거에여...그 외에도 플래시 작업시 Scene와 Symbol에서의 작업할때도 어디서 하느냐에 따라서 용량이 크고 줄어들게 됩니다.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니 충분히 참고 하세여...
자 설명 드러갑니다.. 일반 웹 JPG파일일 경우는 PNG의 경우가 용량이 더 커도 플래쉬에서 용량차이가 나는것은 JPEG의 영향이 PNG파일이 영향이 있기 때문입니다...JPG의 경우 JPG컬리티를 낮추어도 크게 영향이 없어서 기본 디폴트값이 80인경우에는 JPG보다 PNG파일이 적게 나오는경우가 여기에 있습니다... 그래서 적게 나온거 같고 JPG와 PNG 압축률을 비교하면 JPG가 월등 좋긴 하지만 어느 부분에서는 PNG파일이 더 좋은 효과를 낳을수 있습니다.. 포토샵에서 JPG를 가지고 오는 방법이 몇가지 있긴한데 웹 디바이스 전용으로 가지고 오느냐 일반 JPG형식에 퀄리티 9~12로 가지고 오느냐에 따라서 용량 차이가 천지 차이입니다..
이런 저런 생각하기 힘들고 수정하기 힘들다 싶으시면..PNG로 가지고 와서 퀄리티 조절하면서 작업하는것도 방법이구요...ㅡ,ㅡㅋㅋ; 아무튼 상황에 따라 차이는 있으니 알아두면 좋죠..ㅎㅎ;; 꼭 그렇지만은 않지만 PNG파일이 퍼블리싱 할때 적게 나올수도 있습니다... 대체로는 JPG가 용량적인 면에서는 적은것은 사실이고.. 투명영역이 없고 실사인경우에는 JPG로 하심이 좋구요..일러나 만든이미지일경우에는 GIF로 넘어 오는경우가 좋습니다...투명영역이 있는경우에는 PNG을 쓰심이 좋구요..정말 귀찮다 싶으시면...PNG로 넘겨서...퀄리티 조절하시방법이 최고...ㅎㅎ;
여기에서 포인트는 JPG는 플래시 JPEG 퀄리티의 값과 크게 차이가 없고 오히려 PNG파일에 적용이 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플래쉬 퍼블리싱에서 PNG가 용량이 적게 먹는다는게 여기서 오는 말입니다......퀄리티 값을 줄이면...JPG는 안먹고..PNG는 먹는 차이입니다....이사실은 ...플래쉬 1년 넘게 한분들도 잘 모릅니다...배너 작업을 오래 하시면..알게 될것입니다... 퀄리티 디폴트 값 80으로 놓고 용량큰 PNG파일[350kb]을 퍼블리싱하면 대략 50~80kb가 나온다면...디폴트 값80으로 놓고 포토샵 웹디바이스JPG[200kb] 퀄리티 100으로 넘겨서 온경우 200kb정도로 나옵니다...비교 분석은 실제로 해보시면 바로 아실수 있습니다...
실제적인 사이즈는 PNG파일이 1.5배 큽니다...퍼블리싱 셋팅값 퀄리티의 차이로 인해 JPG파일보다 반이상 줄어 듭니다....내가 진정 플래쉬 메니아라 하시면.. 꼭 한번 셤 사마 해보세요.. 알고 넘어가야한 중요한 정보입니다.. 예외의경우.. 이미 일반세이브 JPG퀄리티 12단계에서 9정도로 놓고 넘겨서 디폴트 값으로 80~100정도로 놓고 작업을 하게되면..어떤경우에는 JPG가 적게 나오는경우도 있습니다... **** 퍼블리싱 세팅 JPEG 퀄리티값에 영향은 JPG가 아닌 PNG라는 사실...**** 퀄리티는 80에 놓든 100에 놓든 이미지에 크게 영향이 없는것은 JPG입니다. PNG의 경우는 바로 표시 확 나죠...^^';
오우~ 좋은 정보 얻어가네요.. ^^ 음.. 일단 단순하게 생각하면.. 플래시에서 용량 작은순서는bmp < png < jpg < gif 이라고 하더군요.. 보통 플래시 하시는분들 배경을 깔거나 플래시내에서만 사용할경우 BMP를 많이 쓰신다고 하더라고요,, bmp파일은 그 해당 이미지의 정보만 담아있어서 플래시 내에서 압축률이 좋다고 합니다. jpg의 경우 0.1px 어긋나도 일그러짐이 심할경우가있어서 잘 사용안하더라고요,. 물론 외부 이미지 로드일경우에는 jpg이지만요 ^^
오...세 분 모두 소중한 정보 감사합니다~(고객 정보 확인 후 말투? =ㅂ=;) 저 말고도 다른 분들에게도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네요 ^^ 정말 감사합니다~~!
시안을 플래시에서 벡터형식으로 그리는거 참 좋은방법임... psd받으면 하루정도는 다 그려놓고 시작한다는...
벡터라고해서 용량이 안나가는건 아닙니다.. 벡터가 오히려 jpg보다 용량이 더 클수도있습니다. 그리고 가장중요한 벡터를 사용하면 할수록 cpu는 올라간다는 점 생각하셔야합니다. 그리고 가장큰것은 텍스트 << 이게 가장큽니다. 만약에.. 텍스트를 벡터화시키지 않고 그냥 static Text로 쓰셧다면 그안에는 모든 폰트의 내용이 저장되어있기때문에. 용량이 상당히 나가게 됩니다. 파일의 용량을 줄이는순서.. 일단 텍스트전부 break시키기. jpg/png화질낮추기..글라데이션.. 줄이기.. 알파값 없애기.. 가 되겠군요... 특히 일러에서 불러오는 벡터파일은 쥐쥐입니다(-_-;)
퀄리티는 어느정도까지 낮춰도 무난한가요?
대략 85이상 보통은 90퍼정도...용량 상관없으면.. 100퍼로 ㅎㅎ;
감사합니다. 좋은거 배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