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에서 감사원으로 이어지는 가회동 길에서 창덕궁 서편 길로 넘어가는 돌계단. 고지도에도 나오는 옛 골목으로, 커피숍 고이 옆 길이다. 왼쪽 아래 지도는 18세기 말 한양도성도(리움미술관 소장).
경기고(1900년)·휘문고(1906년) 같은 학교가 생기니 지방 부호들도 자녀를 이곳으로 보내더군요. 지금 강남의 뿌리 같은 곳이죠. 하지만 경제개발 바람이 불던 1970년대, 명문고가 한강 다리 너머로 이사갔답니다. 사람들도 그곳 고층아파트로 떠나더군요.
그런데 이게 웬일인가요. 젊은이들이 카메라 메고 우리 동네 한옥 골목을 누비네요. 처마 밑 돌계단에 예쁜 아가씨가 앉아 책도 읽는다니까요. 이왕 오실거면 우리 동네 옛 사연을 알고 오면 좋겠어요. 멋진 카페나 음식점 말고도 조선시대부터 해방 후까지 역사에 얽힌 스토리가 담긴 곳이 많으니까요.
혹시 압니까, 골목을 걷다보면 까까머리 고교생이나 독립운동을 도모하던 열사가 불쑥 튀어나올지….
3·1운동 발상지, 노천 목욕탕…
옛길 걸으며 숨은 보물 찾기
일요일인 지난 9일 오후. 지하철 3호선 안국역 2번 출구에서 감사원으로 이어지는 가회동길에 젊은 연인들이 눈에 띄었다. 여자 친구와 온 최병민(20·경기 산본)씨는 “인터넷에서 ‘서울에서 데이트하기 좋은 곳’을 검색했더니 북촌이 나오더라”며 “예쁜 카페와 멋있는 한옥을 기대하고 왔다”고 말했다. 아내와 함께 온 한상준(53·송파구 마천동)씨는 “서울의 옛 정취를 느낄 수 있는 뭔가 대단한 걸 기대했는데 어딜 가나 달랑 표지석만 있어 실망스럽다”고 했다. 몰라도 그냥 좋은 사람도 있지만 아는 만큼만 보이는 게 아쉬운 사람도 있다. 그래서 발품 팔아 만들었다. 모두를 위한 북촌 가이드를.
운현궁의 가장 북쪽에 있는 이로당 건물. 흥선대원군의 부인이자 고종의 어머니인 부대부인 민씨가 살던 안채다.
①운현궁
DJ 동교동·YS 상도동 집 문간방의 원조, 대원군 살던 곳에 있다
덕성여대 캠퍼스에 있는 서양건물 양관(洋館)②은 일제가 대원군 손자 이준용을 회유하려 지어준 건물이다. 운현궁 인근 교동초등학교는 1894년 개교한 국내 최초 초등교육 기관이다. 북촌 재동초보다 1년 앞선다. 1927년 큰불이 나 지금 건물로 다시 지었다.
[알고 가세요] 운현궁 이로당 뒤뜰 한쪽에 작은 비석이 있다. 왕이 된 고종이 어릴 때 놀던 소나무를 잊지 못해 정이품 벼슬을 내리면서 세운 경송비(慶松碑)③다. 소나무는 없고 비석만 남았다. 운현궁 유물전시관엔 대원군 호를 딴 난초 그림 석파란(石坡蘭) 사본 등이 있다. 원본은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④현대사옥 주변
해방 후 첫 정치집회 열린 휘문고 옛 터
안국역을 나와 현대사옥 골목으로 접어들면 조선 초 서민 질병을 치료하던 제생원 터④를 알리는 표지석이 있다. 지금 이 건물엔 보건복지부가 입주해 있다.
갑신정변 때 고종이 머물렀던 경우궁과 계동궁도 이 곳에 있었다. 1884년 우정국 낙성식 축하연에서 거사한 개화파 인사들이 고종을 경우궁으로 데려갔다가 다음날 고종의 사촌형 이재원의 거처 계동궁으로 옮긴다. 갑신정변은 ‘3일 천하’로 끝났는데, 경우궁은 1908년 청와대 칠궁(七宮)으로 옮겨졌다. 계동궁 흔적은 남아있지 않다.
[알고 가세요] 현대사옥 동쪽 편에는 경주 첨성대를 연상시키는 관상감 관천대(觀天臺)가 있다. 이곳 앞 고개 이름이 운현이었는데, 관상감의 이전 명칭인 서운관(書雲觀)에서 유래했다. 대원군의 운현궁도 이 고개의 이름을 땄다고 한다. 중앙고까지 이어진 계동길의 현대사옥 주차장 입구 맞은 편에는 검은색 보헌빌딩이 있다. 원래 건국준비위 창립본부로 쓰이던 2층 양옥이 있었는데 이 집을 소유한 한 기업 총수 일가가 2003년 철거 후 이 빌딩을 올렸다.
⑤계동 중앙탕
낡았다고? 홍성흔·김주성 단골이었는데…
중앙탕 골목 한옥에 ‘만해당’이란 현판이 있다. 만해 한용운이 머물며 1918년 월간지 ‘유심’을 창간, 발행한 장소다. 이 집에서 게스트하우스를 운영하는 이유리 대표는 “만해 선생 거처로 알려지면서 일본 순사들이 자주 급습하는 바람에 독립운동가들이 중앙탕 옆 한옥집 지하 광에 숨곤 했다더라”고 했다.
[알고 가세요] 중앙탕은 드라마 ‘천일의 약속’에서 수애가 다니는 목욕탕이다. 맞은편 식당은 드라마 ‘반짝반짝 빛나는’에서 고두심의 황금알 식당으로 나왔다. 지금도 그 간판을 쓴다.
⑥중앙고
'겨울연가' 일본 팬 몰리는 학교 숙직실은 3·1운동 발상지
⑧정독도서관
대표 명문 경기고 자리서 추억의 배지 찾기
1900년 최초의 관립 중학교인 한성중학교(경기고의 전신)가 이곳에 있었다. 배재학당·이화학당 같은 사립학교의 성과를 보고 대한제국이 중학교를 세운 것이다. 또 사육신 성삼문과 조선 말 갑신정변을 이끈 김옥균이 살았던 곳이기도 하다. 400년 간격을 두고 두 거물급 인사가 정치적 꿈을 키운 셈이다.
정독도서관을 나와 왼쪽 화동고개를 넘으면 한옥과 현대건축이 어우러진 현대카드 디자인라이브러리⑪가 있다. 최근 CJ비자금 수사에 이름을 올린 홍성원 대표의 서미갤러리가 있던 곳을 임대했다. 북촌의 한 부동산중개업자는 “서미가 2000년 청담동에서 가회동으로 옮겨오면서 부유층이 북촌에 많이 오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⑫헌법재판소
개화파 박대감집 백송, 윤보선가 굽어보다
헌재는 1988년 강남구 개포동으로 간 경기여고(경기고등여학교)가 있던 자리이기도 하다. 해방 후 경기여고가 정동 1번지로 옮겨가자 창덕여고가 1949년부터 교사로 사용했다. 창덕여고도 89년 송파구 방이동으로 이전했다. 장 교수는 "헌재 자리는 양파 껍질처럼 개화기와 해방 전후의 역사적 현장이 겹쳐있는 곳”이라며 "여성교육과 서양의학이 시작된 공간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알고 가세요] 헌재 백송 뒤편 담장 너머로 큰 한옥 지붕과 굴뚝이 보인다. 일반에 개방하지 않는 윤보선가(家)다. 헌재 담장을 왼쪽으로 끼고 돌면 나오는 나무갤러리에선 가수 조영남이 코카콜라 병과 캔으로 작업한 설치미술을 전시하는 ‘COCACOLAFRIENDS’전이 열리고 있다. 재동초 맞은편 한옥에 있는 한식당 한뫼촌⑬은 월북 무용가 최승희가 살던 집이다.
⑭낙원지하시장
대형마트 없는 북촌 사람들, '삘딍' 에 장보러 가다
북촌에 없는 게 대형마트다. 가까운 재래시장이 있다. 교동초를 지나 종로3가 쪽으로 내려가면 1층이 도로로 뚫린 낙원악기상가가 나온다. 인사동을 다녀본 이들도 이 건물 지하1층에 시장이 있는지 모르는 이가 많다. 12일 오후 미국인 남편과 초등학생 아이들을 데리고 시장을 찾은 정란 코머(37·미 콜로라도)는 “한국에 잠깐 왔는데 숙소 직원이 지하에 시장이 있다고 해 들러봤는데 재미있다”고 말했다. 쌀집 주인 김명구(55)씨는 “예전엔 새벽 인력시장처럼 악기 연주자들이 매일 아침 위층 악기상가에 모여들었다”고 했다. 저녁이면 일감을 구하지 못한 악사들이 시장에 내려와 허기를 달랬다.
[알고 가세요] 낙원상가 출입구에 ‘낙원삘딍(NAK WON BLDG.)’이란 표지가 있다. ‘대한늬우스’만큼 재미있는 표기다. 67년 세운상가 다음으로 지어진 국내 2호 주상복합건물이다. 84년 소비자보호단체협의회의 서울동북지역 시장 물가 조사 결과 낙원지하시장 생필품 값이 가장 비쌌다. 요즘 강남 백화점 식품관처럼 당시 강북시장 중 가장 뜨는 곳이었을까.
은덕문화원 2층 일본식 주택 문에 태극기·무궁화 문양이 담겨있다.
⑮은덕문화원
한옥 지붕에 일본식 가옥이 올라앉은 사연
[알고 가세요] 문화원 2층 일본식 주택 앞뜰에서 담장 너머로 보이는 지붕은 시인 박인환(1926~56)이 기거하며 시를 쓰던 일본식 2층집(16)으로 알려져 있다. ‘한잔의 술을 마시고 우리는 버지니아 울프의 생애와 목마를 타고 떠난 숙녀의 옷자락을 이야기한다’(목마와 숙녀)라는 시구처럼 한국전쟁의 폐허 속에 도시적 감성을 불어넣던 모더니즘 시인은 명동에서 술을 마신 뒤 30세 나이로 요절했다.
(17)빨래터
창덕궁 돌아나온 개울, 민중을 만나다
인근 궁중음식연구원은 고종·순종을 모신 마지막 수라상궁 한희순과 그에게 배운 황혜성, 그리고 황씨의 딸 한복려 현 원장이 궁중음식의 맥을 잇고 있는 곳이다. 드라마 ‘대장금’ 주연 배우 이영애에게 궁중음식 요리법을 가르치기도 했다. 궁중음식 강좌를 들을 수 있다.
[알고 가세요] 빨래터 골목 입구엔 국내 최초 서양화가 고희동 선생의 고택이 개방돼 있다. 1908년 동경미술학교에 유학을 가 서양화를 공부한뒤 국내 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빨래터 골목 조금 못미친 지점에 중앙고 교장을 지냈고 3·1 운동 48인의 한 사람인 고하 송진우 선생의 집터가 있다. 지금은 다세대 주택 1층 기둥에 집터를 알리는 표지가 붙어있을 뿐이다.
(18)고불서당
강남 아저씨, 세종의 스승 집터에 올인하다
세종의 스승 고불 맹사성 집터에 들어선 북촌동양문화박물관에는 서당이 있다. 박물관을 운영하는 권영두(54)씨가 훈장으로, 서당체험과 전통 민화 그리기 등을 한다. 박물관 2층 차문화관은 북촌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어 경복궁 일대가 훤히 내려다 보인다(아래 첫번째 사진). 권씨는 “세종이 스승을 존경하는 마음에 강녕전에서 맹사성 대감댁 창가에 등불이 꺼진 것을 확인하고 취침했다는 얘기가 전해져 온다”고 소개했다. 건설업을 하던 권씨는 강남서 살다 2006년 북촌 주택을 사들여 박물관으로 꾸몄다. 맹사성의 스승 권근이 18대조라고 밝힌 권씨는 “박물관 만드느라 아파트를 78평에서 56평, 45평으로 줄였다가 지금은 박물관 옆 다세대 주택 18평에 산다”고 했다. 박물관 꽃담을 직접 디자인했다.
[알고 가세요] 박물관 옆으로 하늘색 지붕의 석조 건물이 있는데 일반에 공개하지 않는 이준구 가옥이다. 일제강점기 상류층의 서양식 가옥 형태를 보여주는 건물로, 개성 송학에서 나는 화강암과 프랑스산 기와를 썼다. 박물관을 나와 왼쪽으로 돌면 이준구 가옥 담쟁이 넝쿨이 나오는데 ‘로맨스가 필요해’ 같은 드라마나 영화에 자주 나온 명소다.
(19)금융연구원 번사창
은행나무 그늘 아래 가장 오래된 벽돌 건물
(20)삼청공원 영무정
꼭꼭 숨은 '노천 목욕탕' … 주민들만 아는 비밀
삼청공원에 인근 주민만 안다는 ‘노천 목욕탕’이 있다. 관리사무소에 위치를 물으니 나이 지긋한 여성 직원이 뜸을 들이다 “후문 쪽으로 가다 비석이 나오면 옆으로 올라가라”고 일러준다. 고려 말 충신 포은 정몽주의 ‘단심가’가 적힌 시비(21) 옆 계단을 오르자 왼편에 동그란 시비가 하나 더 있다. 문구가 비석 반대편에 적혀 있어 지나치기 십상이다. 노천 목욕탕으로 알려진 곳은 나무로 둘러싸인 영무정. 작은 정자 옆으로 물줄기가 흘러내린다. 구청에서 가림막도 쳐놨다. 삼청공원 후문을 나서 경복궁 쪽으로 가는 길가엔 목조 산책로(23)가 있다. 산책을 나왔다는 김혜연(48)씨는 “이곳에서 바라보는 삼청공원 풍경은 깊은 산중 같다”고 했다.
[알고 가세요] 삼청(三淸)이란 이름은 산 맑고(山淸), 물 맑고(水淸), 사람도 맑아서(人淸) 붙여졌다는 설이 있다. 삼청공원 후문 입구에서 왼쪽 계단으로 올라가면 작은 계곡(22)이 두개 정도 나온다. 15일 이 계곡에서 만난 주민은 "산책을 하다 가끔 와서 쉬어가는 곳”이라며 "외부 사람들이 많이 알면 너무 복잡해 질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삼청공원에는 물이 흐르는 작은 쉼터가 곳곳에 숨어있다”고 덧붙였다.
(24)삼청동 물길
옛길에 지금도 남아있는 북악산 물줄기
북악산에서부터 내려온 물길은 삼청동길을 따라 청계천까지 흐른다. 삼청공원 쪽에서 내려오다 오른편 ‘우물집’(식당 이름) 골목으로 접어들면 복개되지 않은 삼청동 물길(24)을 지금도 볼 수 있다. 또 칠보사를 지나 골목을 타고 오르니 성제우물이 나타난다. 정조 수라상에 진상됐다는 샘물이다. 인근 슈퍼 주인은 “요즘도 물을 떠가는 주민이 있다”고 했다. 물길은 경복궁 가까운 곳에서도 찾을 수 있다. 삼청동 일대에선 ‘코리아’라는 흰 글씨가 쓰인 붉은 벽돌 굴뚝이 보이는데, 그 아래에 복정우물(25)이 있다. 아직도 맑은 물이 샘솟는다고. 궁중에서만 사용하던 우물이라 뚜껑에 자물쇠를 채우고 군인들이 지켰지만 이 물로 밥을 지으면 일년 내내 행운이 따른다고 해 대보름에는 일반인도 물을 길을 수 있었다고 한다.
[알고 가세요] 경복궁과 창덕궁 사이 북촌길은 원래 물길이었다. 삼청동길, 가회동길 모두 하천을 복개한 것이다. 복정우물 옆 코리아게스트하우스 주인 장미수(60)씨는 “아버지가 62년부터 복정우물 물을 끌어다 목욕탕을 운영했다”며 “김영삼·노태우 전 대통령과 고건 전 총리도 아침 일찍 찾곤 했다”고 말했다. 청와대 직원들이 단체로 오곤 했던 목욕탕은 손님이 줄어 지금은 문을 닫았다. 복정우물을 찾아간 날, 이 목욕탕 여탕에선 유재석·박명수 등이 ‘무한도전’ 촬영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