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구석구석 - 박해수의 목포
[week&레저] 바다, 노령산맥의 끝자락을 품다
길의 시작이요, 길의 끝인 전남 목포. 죽도록 그리우면, 죽도록 외로우면 달 밝은 보름달을 껴안고 소리귀신이 살고 있는 주술(呪術)의 힘, 주술의 마력으로 목포진을 간다.
유달산 영혼과 바다를 껴안고 국민 애창가요 ‘목포의 눈물’은 별과 보름달과 함께 옷자락을 흔들며 운다. 이른 가을바람에 묻어나는 풀 냄새. 무더위를 이겨 낸 과일들이 ‘강강술래 강강술래’를 부르며 삼학도를 껴안고 돌아간다. “사공의 뱃노래 가물거리며/ 삼학도 파도 깊이 스며드는데/ 부두에 새악씨 아롱 젖은 옷자락/ 이별의 눈물인가 목포의 서름/ 삼백 년 원한 품은 노적봉 밑에/ 임 자취 완연하다 애달픈 정조/ 유달산 바람은 영산강을 아느니/ 임 그려 우는 마음 목포의 눈물.” 유달산·삼학도·노적봉·영산강을 안고 도는 사랑가, 진혼가, 이별가는 1935년에 발표됐다.
유달산(228m)은 노령산맥의 마지막 봉우리로 다도해로 이어지는 서남단의 땅 끝 산. 사공은 어디 가고 뱃고동만 크고 작은 섬들을 맴돈다. 유달산 산행의 첫머리는 노적봉. 산봉우리를 이엉으로 덮고 군량미를 쌓아 큰 노적으로 보이게 해 진도의 강강술래, 영산강 횟가루, 울돌목 쇠줄과 함께 이순신 장군의 위장전술이 민요가 되고 민속이 되어 전한다. ‘목포의 눈물’ 노래비는 유달산 중턱 화강암 반석에 자리를 틀고 앉았다. 삼학도를 비롯한 목포 시가지가 한눈에 들고 ‘사의 찬미’를 부른 윤심덕과 대한해협에 몸을 던진 희곡작가 김우진은 목포문학관에 박화성·차범석과 함께 있다. 이난영의 본명은 이옥순. 4학년까지 다닌 북교초등학교가 유달산 곁에 있고 고래바위·종바위·투구바위 등 유달산의 바위들은 투구꽃처럼 기묘한 아름다움으로 삼학도를 어루만진다.
목포시 양동에서 태어난 이난영은 열여섯 살 꽃 같은 나이에 ‘목포의 눈물’로 조선을 눈물의 바다, 눈물의 도가니로 몰아넣었다. 음반 취입 당시 ‘삼백연(三栢淵) 원안풍(願安風)’은 검열을 벗어나고자 쓰였고 해방 이후 본래 노랫말을 되찾아 ‘삼백 년 원한 품은 노적봉 밑에’로 불린다. 이난영의 생가 터는 목포 양동교회 뒤편 주택가에 있다. 검은 대리석 원기둥에 세워진 이난영의 흉상은 살아 있는 옛 모습을 보듯 단정한 치마저고리 차림이다. 두 손을 마주 잡고 당시를 노래하듯 앳된 모습으로 윗저고리 옷고름을 날리며 서 있다. 작곡가 김해송과 결혼한 이난영은 한국전쟁 때 남편이 납북되는 비운을 겪는다. 김시스터즈 등 일곱 남매를 세계적인 가수로 키운 이난영은 자녀가 미국으로 떠난 뒤 서울에서 홀로 살다 49세로 이승을 떠난다. 파주 용미리 공동묘지에 안장됐던 유해는 2006년 다시 고향으로 돌아와 삼학도에 묻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