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우아한 물리친구 - E.P.M. : Elegant Physics Mate
 
 
카페 게시글
중 /고교 /일반물리 불의 온도는 몇도?
한계 추천 0 조회 280 03.10.11 00:04 댓글 18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3.10.11 00:27

    첫댓글 물리적실체란 무엇입니까? 불을 화학반응의 일종으로 정의한다면 불은 있는거겠지요? 입자란 파동의 다른이름 아닌가요?

  • 03.10.11 10:07

    일반적인 온도계로 불의 온도를 잴수없어서 불의 온도가 정의될수 없다는건 아니죠^^; 보통 가스불로는 절대 철이 녹지않습니다. 그런데 철의 녹는점은 1535도 이므로, 이 온도보다 가스불의 온도가 낫은건 확실하죠....내생각엔 보통 가스불은 한 1000도쯤 되지 않을까요???

  • 불의 온도라;; 조건에 따라 다르지 않을까요? 촛불만 놓고 보더라고 겉불꽃과 속불꽃의 온도차이가 나는걸 보면... 그리고 온도계라고 해서 유리 온도계만 떠올리면 안될것 같네요..

  • 입자의 다른이름이 파동인가요 ㅡㅡ? 오늘 첨듣네요

  • 03.10.11 14:21

    온도란 무엇입니까? 간단히 상식적으로 말하면 차고 더운 정도인데(하이탑 물리2에 이렇게 써있었음), 어느 것이 차고 어느 것이 덥죠? 말이 안되네요. 상대적이니까요. 그리고 차다, 덥다는 주관적인 생각이지 정의된 것이 아니니까요. 궁금하군요. 그리고 불이 난다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 거죠?

  • 03.10.11 14:26

    아마도 산화가 빨리 일어나는 것 같은데, 빛은 왜 내죠? 온도, 물질에 따라서 빛의 색깔도 다르잖아요. 그리고 불이 뜨겁다는 것은 열에너지가 방출한다는 것입니까? 그리고 산화는 산소와 결합하는 것인데, 왜 빛, 열이 나죠? 윗 글을 읽고 의문점만 많아졌네요...

  • 작성자 03.10.11 16:06

    어느 물체의 온도란 그 물체를 이루고 있는 입자의 운동속도 또는 떨림정도(진동정도)에 의해 정의되는 것 아닌가요? 만약 불이 온도를 가지고 있다면 불을 이루고 있는 입자가 있단 말이겠군요

  • 03.10.11 16:11

    산소분자가 진동하는건가...아니면 알콜의 분자가 진동하는건가...;; 화학과 없나요;;

  • 03.10.11 16:46

    엠파스 검색에선 "물체"라고 나오는데..맞습니다..불이 뜨겁다는 것은 열에너지가 방출한다는뜻이지요..

  • 03.10.11 16:47

    모든것은 파동,입자의 이중성을 가지고 있지않나요? 흠흠..어렵도다..ㅡ.ㅡ

  • 이중성..이라기..보다는 다양성 아닐까요?...제가.알기로는..불의.색깔에..따라서.다르다고..아는데요 파란불이 빨간..불보다..낮다구..하든데...^^

  • 03.10.12 09:29

    다양성이라면 파동,입자 말구 또다른것이 있다는 애긴가요? 헉..첨들어보는데요^^

  • 03.10.12 20:39

    온도는 온도계로만 재는 게 아닙니다. 만약 온도계로만 온도를 알 수 있으면 별의 온도를 어떻게 알 수 있겠습니까? 온도는 그 물체에서 나오는 빛같은 걸루 측정할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온도의 전파에 대해선 어릴때 안배우나요? 대류나 전도나 한가지 방식이 아닌 여러방식으로 열이 전달되는 걸루 아는데..

  • 03.10.12 20:43

    그리고 산화의 경우에는 한 물체와 산소가 결합하면서 그 둘이 가지고 있던 에너지포텐셜보다 나중에 산화된 물질이 가진 포텐셜이 낮아지는 경우..즉 그만큼의 에너지가 열로 방출된 거 아닐까요?

  • 작성자 03.10.13 00:43

    물체가 특정한 온도에서 내는 빛의 색(빛의 파장)은 물체의 종류와 관계없이 똑같습니다. 어떤 물체가 내는 빛의 파장을 조사함으로서 그 물체의 온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데요... 님들의 말을 들어보니 불에도 온도가 있겠군요^^

  • 작성자 03.10.13 00:49

    그런데... 어떻게 불 사이에도 온도 차이가 나는 걸까요? 태우는 물질에 따라서인가? 산소의 밀도에 따라선가?

  • 03.10.14 18:56

    제 생각으로는 보이는 부분뿐만 아니라 보이지 않는 부분의 불모양도 그려볼 수있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적외선바깥부분의 빛깔도 볼 수 있다면 불은 그 모양이 더 커 보이겠죠. 촛불을 마음 속에 그려보면 불모양은 지도의 등고선처럼 온도대별로 색깔을 달리 나타내고...

  • 03.10.14 19:03

    우리는 보이는 부분만을 불이라고 부르는게 아닐까요? 온도차이가 왜 나는지에 대해서는 곰곰히 생각좀 해봐야되겠네요 재밌겠는데^^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