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심방중격 결손이 있다고 하여 모든 경우에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결손 구멍을 통해 상당한 양의 피가 새서 심장과 폐에 부담을 주는 경우에 치료가 필요한데, 보통 온몸을 흐르는 피의 양에 대한 폐를 흐르는 피의 양의 상대적인 비율, 즉 체폐 혈류비를 기준으로 수술 여부를 결정합니다.
정상 심장에서는 폐를 돌아 좌심방, 좌심실로 흐르는 피가 대동맥을 통해 온몸으로 가므로 이 비율이 1이 되지만, 심방중격 결손과 같이 왼쪽 심장에서 오른쪽 심장으로 피가 새는 병에서는 이 비율이 1보다 크게 되는데, 보통 1.5 이상일 때 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합니다.
그 이유는 이 정도로 피가 새는 상황에서 치료를 하지 않으면 폐를 흐르는 지나치게 많은 혈류에 의해 폐가 서서히 망가지는 폐혈관 폐색성 병변이나 기타 합병증들이 발생하여 위험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이외에도 오른쪽 심장으로 피가 많이 몰려 과부하가 생기거나, 결손을 통해 정맥에서 만들어진 혈전(피떡)이 왼쪽 심장으로 넘어가서 색전성 합병증을 일으키면 반드시 치료를 해야 합니다.
구체적인 치료 방법은 가슴을 열고 하는 수술적 방법과 혈관을 통해 폐쇄 기구를 삽입하여 치료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수술적 방법은 결손의 개수, 위치나 해부학적 특성에 관계없이 모든 결손에 대하여 잘 치료할 수 있으며 치료 비용이 덜 드는 장점이 있고, 기구를 삽입하여 치료하는 방법은 합병증과 위험률이 수술적 방법보다 적고 고통과 치료 시간이 짧으며 수술 상처를 남기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1. 수술적인 방법
가슴을 열고 큰 정맥과 대동맥에 관을 삽입한 후, 심장으로 들어오는 피를 큰 정맥으로부터 기계(체외 순환기)로 들어오게 하고 기계 내에서 피에 산소를 넣은 뒤 대동맥을 통해 온몸으로 돌려주는 방법(체폐 우회 순환)을 이용하게 됩니다. 이런 방법을 통해 일시적으로 심장을 멈추게 합니다. 심장이 멈춘 상태에서 결손 부위를 직접 꿰매거나 자기 조직 혹은 특수 천을 대고 꿰맨 뒤 심장을 다시 뛰게 해주고 가슴을 닫습니다.
수술 시기는 보통 2~5세가 좋습니다. 그보다 어린 나이에는 심방중격 결손만으로 크게 문제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이 시기 이후까지 기다려도 결손이 더 작아지거나 자연 폐쇄되지 않는다면 바로 수술해야 합니다.
2. 혈관을 통해 폐쇄 기구를 삽입하여 치료하는 방법(경피적 카테터 폐쇄법)
치료 방법은 다리 정맥을 통해 긴 도관을 심장에 삽입하고, 이 도관을 통해 특수하게 고안된 폐쇄 기구를 넣어서 구멍을 폐쇄시킵니다. 약 6개월을 경과하면 기구 위로 새살이 돋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소아에게 심도자 검사술을 시행할 때에는 정맥 마취로 재운 뒤 검사를 하게 됩니다. 진단적인 심도자 검수 후 기구를 삽입하는 단계부터는 식도로 내시경처럼 심초음파 탐촉지를 넣어 경식도 심초음파 검사의 유도하에 결손의 정확한 크기, 개수, 위치 등 특성을 다시 확인하고 기구를 삽입하게 됩니다.
기구를 이용한 치료는 2차공 결손의 대부분과 정맥동 결손 일부에 적용됩니다. 그러나 2차동 결손이라도 지나치게 결손이 큰 경우, 결손과 주변 구조물과 너무 가까운 경우, 그리고 결손 주변부 길이가 짧은 경우 등 상황에 따라 제한 요인이 있습니다. 다행인 것은 시술 경험이 축적되면서 과거에는 기구를 이용한 치료가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결손들 중 적지 않은 부분들까지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게 되었고 그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3. 수술을 하지 않는 경우
큰 크기의 결손을 수술을 하지 않는 경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다음과 같은 질환이 생길 수 있습니다.
1) 말초 폐혈관의 폐쇄성 병변이 동반된 폐동맥 고혈압
폐로 가는 혈류가 많으면 폐의 작은 혈관 내벽이 손상되고 상처조직이 형성되어 혈관벽이 두꺼워짐으로써 피가 잘 흐를 수 없는 불가역적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주 작은 결손이 아닌 경우에는 적절한 시기에 치료해 주어야 합니다.
2) 부정맥
상실성 빈맥, 심방조동, 심방세동 등의 부정맥이 생기며 그 빈도는 결손이 크고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증가합니다.
3) 승모판 탈출 및 역류
나이가 많고 결손이 큰 환자에게서 보일 수 있습니다.
4) 우심실 기능부전
우심실이 오랫동안 과도한 혈류를 부담하므로, 나이가 많아지면 우심실 기능이 떨어집니다.
5) 뇌경색, 뇌졸중
성인에서 다리에 정맥류가 있고 그 안에 혈전이 있으면 이 혈전이 심방중격 결손을 통과해서 좌심방, 좌심실, 대동맥, 뇌혈관으로 이동하여 뇌혈관을 막게 되어 뇌경색을 일으킬 위험이 있습니다.
6) 임신, 출산 시의 합병증
심방중격 결손을 가진 여자에서 임신, 출산 시에 다리의 혈전이나 그 밖의 고형 물질들이 우심방에서 좌심방으로 통과하여 뇌혈관으로 이동하여 뇌경색과 뇌졸중을 일으킬 위험이 있으므로 심방중격 결손을 가진 여자 환자는 성인이 되기 전에 수술을 해 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