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밝은 앞날 되시기를][꿈은 이루어진다][꿈은 미래의 현실이다]

백두산 천지
[ 영원히 살 것처럼 계획하고, 하루 살다 죽을 것처럼 실천하라.]
[ 이상 없는 현실은 무의미하고 현실 없는 이상은 존재할 수 없다.]
------------------------------------------
한국에서 일제강점기인 1932년 [황성옛터]라는 최초의 (유명한) 트로트곡이 나오죠.
( 그 이전에도 전수린씨가 트로트곡들을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왕평 작사, 전수린 작곡
( 황성옛터의 황성은 개성의 고려궁궐을 뜻하는 것이라 하니
작사자 왕평씨는 고려왕가의 후예가 아닌가 합니다.)
그로부터 얼마 후
고가 마사오(古賀政男)라는 사람이 일본 최초의 (정립된) 엔카를 만듭니다.
그는 지금도 일본에서 [엔카의 시조, 엔카의 아버지]로 불립니다.
그런데 한국인 전수린 작곡의 [황성옛터]라는 노래가 나올 때
고가 마사오(古賀政男)가 한국에 있었다고 알려져있고
그로부터 얼마후 그가 일본 엔카를 만들었다는 사실로 보아
트로트의 원조는 한국이라는 말이 많이 나왔었는데
고가 마사오(古賀政男)가 한국인 부모에게서 태어난 한국인이고
한국에서 자랐다는 증언이 나왔다 합니다.
그리고 그 증언을 한 사람은 일본엔카협회회장인 타카키 이치로우(高樹一郎)
다름아닌 현 일본엔카를 대표하는 사람.
그렇다면 한국인인 고가 마사오(古賀政男)가
한국에 살면서 [황성옛터] 등 한국트로트를 들었고
이를 인용하여 그 기반으로 엔카를 만들었다는 얘기가 되겠죠.
그래서 엔카가 한국 트로트와 비슷하다는 얘기가 되겠죠.
전수린은 [황성옛터]를 작곡하기 이전에도 트로트 곡들을 작곡했는데
이는 고가 마사오(古賀政男)가 '최초의 엔카'를 만들기 이전이었으며
전수린이 '최초의 트로트' 들을 만들 때 고가 마사오(古賀政男)가 전수린과 가까이 살았으며
전수린의 곡들을 들은 그가 그 영향을 많이 받아서 '최초의 엔카'를 만들게 되었다.
이런 얘기가 되겠죠.
[트로트]라는 음악은 한국전통음악과 서양음악이 융합되어 만들어진 것 같습니다.
일본전통음악이 섞여들어갔는지는 모르겠으나 일부 섞였다 하더라도
일본전통음악이라는 게 고대부터 한국에서 건너간 사람들의 문화를 기반으로 하니
이래저래 트로트가 한국의 노래라는 얘기가 되겠죠.
일본으로의 문명 전파 <- 관련글
[펌 - 발췌]
JP뉴스 - 2010년 12월 30일
안민정 기자


기사출처 -
http://www.jpnews.kr/sub_read.html?uid=8082
[펌 - 발췌]
“일본 엔카 창시자가 한국인” 인터뷰 파장
헤럴드경제 2012-01-10
서병기 기자/wp@heraldm.com
“일본 엔카의 창시자이자 아버지라고 불리는 故 고가 마사오(古賀政男)는 한국인”이라는 내용의 다큐가 방송됐다.
이는 케이블TV (주)아이넷방송(대표 박준희)가 지난 3일 방송된 신년 특집 다큐멘터리 2부작 ‘한국인의 소울, 트로트’(연출 이승준)에서
현 일본엔카가요협회의 타카키 이치로우(高樹一郎)회장의 인터뷰를 통해 알려진 내용이다.
타카키 회장은 “엔카의 멜로디는 한국으로부터 온 것으로, 일본의 엔카와 한국의 트로트는 매우 닮았다”며,
“엔카의 시조인 故 고가 마사오 선생은, 전후 일본인들이 가장 존경하는 한 분이다.
패전 후 절망하고 있던 모든 일본인들에게 노래로 꿈과 희망을 안겨주고 국가 복원에 큰 힘이 되어주셨던 고사마사오 선생은 바로 한국인”이라고 전했다.
이에 한국의 유명 대중가요 작사가 조동산(차표 한 장, 미스고) 씨는, “만약 사실이라면 그간 트로트와 엔카 사이에서 벌어졌던 모든 논쟁은 무색해질 것”이라며
“그동안 역사적으로나 정치적으로 해방되지 못했던 우리의 음악, 트로트를 이제는 제자리에 갖다 놓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17년간 한국의 대중가요를 집대성하고 연구해온 대중음악평론가 박성서 씨는
“故 고가 마사오가 한국인이라는 것이 이후 사실로 입증된다면, 한국과 일본의 대중가요사는 다시 써져야 할 것”이라며
“이를 뒷받침하는 조사와 연구가 하루라도 빨리 진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큐멘터리 2부작 ‘한국인의 소울, 트로트’는 일제강점기에서 오늘날까지 이 땅의 서민들의 가난과 아픔을 함께 나누며 끊임없이 이어져온
트로트의 미학을 생생한 현장의 목소리를 통해 진지하게 고찰하고 있다.
기획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방송통신위원회의 지원 속에서 약 1년간의 제작 기간을 걸쳐 완성된 이 다큐멘터리는
최근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암스테르담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IDFA)’에서 ‘달팽이의 별(2011년)’로 대상을 거머쥔 이승준 감독이 연출한 작품으로도 화제가 되었다.
기사출처 -
http://news.heraldm.com/view.php?ud=20120110001062&md=20120112090934_9
-------------------------------------------------
[ 영원(永遠)에 합당(合當)한 삶을 살아야한다.]
-----------------------------------------------------
[홍익인간]의 정신은 [사해동포주의]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른민족, 다른나라 사람이라고 해서 공연히 배타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일 것입니다.
다이나믹 코리아, 게이트웨이 투 더 월드
[밝은 앞날 되시기를][꿈은 이루어진다]
[꿈은 미래의 현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