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이드FC, K-1, UFC, 판크라스, 슈토, 아부다비 컴뱃, KOTC, 스피릿MC, 김미파이브…’
뭔지 감조차 못 잡는다면 세상 따라잡기에 문제가 있다. 나라 안팎에서 한창 뜨고 있는 주요 이종격투기 대회 이름이다. 밤에 케이블 TV 채널을 돌리다 한번쯤은 보았을 법한, 거한들의 처절한 육탄대결의 무대다.
이종격투기 마니아는 의외로 많다. 경기가 주로 심야에 방송되는 데도 시청률이 높다. 서울 강남엔 저녁식사와 춤, 당구를 즐기며 혈투도 감상하는 대형 이종격투기 식당이 생겼고, 명동엔 격투기 대전장이 들어설 예정이다. 프로레슬러 김일 이후, 또는 프로복서 김득구의 사망 이후 오랫동안 관심에서 멀어진 격투기가 더 화끈한 형태로 부활한 것이다.
우리만의 현상은 아니다. 이종격투기는 세계적으로 급부상했다. 1993년 미국과 일본에서 각각 시작된 UFC와 K-1이란 대형 대회가 큰 반향을 일으키면서 프로 격투기의 메이저 경기로 자리매김했다.
이유가 뭘까. 폭력성에서 먼저 답을 찾아야 할 것 같다. 이종격투기는 권투나 레슬링, 킥복싱, 유도, 태권도, 가라데, 삼보 등의 무술 유형을 불문한 퓨전 격투기 게임.
원칙적으로 발리투도(vale tudo: ‘모든 것을 허용한다’는 뜻의 포루투갈어)룰을 채택하고 있어 주먹가격과 발차기, 무릎치기 같은 입식타격 기술은 물론 조르기, 꺾기 등 뒤엉켜 싸울 수 있는 그래플링(Grappling) 기술도 대부분 함께 구사할 수 있다.
넘어진 상대선수를 깔고 앉아 거의 맨주먹으로 난타할 수 있는 데다 박치기, 팔꿈치 내려찍기 등 위험한 공격까지도 허용하는 대회도 있어 링 바닥이 자주 붉게 물들곤 한다. 이종격투기가 상업주의에 놀아난 잔학한 싸움질에 불과하다는 비난을 받고, 선수들이 고대 로마의 검투사에 비견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르네 지라르라는 유명한 문화인류학자의 말이 생각난다. 그는 폭력의 악순환을 끊기 위해 인류는 희생제의(犧牲祭儀)라는 문화적 장치를 개발했다고 주장한다. 희생양을 통해 내부의 대립과 반목을 잠재우고 평화를 끌어내는 방식이다. 이런 점에서 이종격투기는 폭력(이종격투기)으로 폭력(전쟁이나 범죄, 억눌린 욕망)을 예방하는 순기능이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요즘 경기양상을 보면 이종격투기란 표현은 더 이상 적합하지 않다. 종합격투기가 어울린다. 초기엔 입식타격에 능한 선수가 체육관이나 문파를 대표해 격돌하는 식이었지만 요즘은 다양한 그래플링 기술까지 겸비하지 않고는 이기기 힘들다.
격투기술이 진화하면서 무술간 융합이 이루어진 것이다. 이종격투기가 정반합(正反合)의 원리에 따라 종합무술 대회로 발전한 셈이다.
자칫 잔인한 싸움이 될 수 있던 경기가 나름대로 스포츠의 틀을 갖추게 된 원동력은 엄격한 룰이었다. 룰이라고 해봐야 눈과 국부 공격 금지 같은 선수보호를 위한 최소한의 규정에 불과하지만 철저하고 공정하게 집행돼 상극의 링을 상생의 무대로 이끌어 냈다. 죽일 듯 싸우던 선수들이 판정에 수긍하고 서로를 승자라고 추켜세우는 아름다운 장면도 강철 같은 룰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지금 한국은 심각한 지역, 이념, 세대간 갈등을 겪고 있다. 장소만 다를 뿐 그 공격성이나 격렬함이 이종격투기와 다름이 없는 듯하다. 파멸을 위한 대립이 아니라 합(合)을 위한 창조적 다툼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