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내고향 풍기
카페 가입하기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1. 깡추
    2. 김분난
    3. 小談 (구 큐티여사..
    4. 삼성
    5. 고암600
    1. 주님
    2. 산돌이
    3. 손혁수
    4. 렛테(김서정)
    5. 인풍
  • 가입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손혁수55
    2. 콩콩
    3. *상록수
    4. 구름한조각
    5. 풍기
    1. 한도배
    2. 현철
    3. 모니카
    4. G Sam
    5. 황병조
 
 
카페 게시글
믿음 소망 사랑 스크랩 이스라엘인의 시간구분과 도량형
금모래 추천 0 조회 21 13.02.27 08:08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이스라엘인의 시간구분과 도량형

 

 

 

시간구분과 도량형


   

1. 시간 구분


   시간의 구분은 하늘의 두 천체인 해와 달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창 1:14)

   하루는 지구의 자전에 의한 태양의 변화

   달의 구분은 지구에 대한 달의 회전

   년의 구분은 태양에 대한 지구의 회전/태양력과 태음력의 차이를 극복하는 제도의 등장


이스라엘의 하루 계산법


   초기에는 하루를 일출에서 일출까지로 삼았었다. 그러므로 하루 전체를 표현할 때 '낮과 밤'으로 부르거나 이와 비슷한 어귀를 사용하였다. 어느 경우이든 간에 하루를 표현할 때 '낮'이 먼저 사용되었다 (신 28:66; 삼상 30:12; 사 28:19; 렘 33:20 등). 이러한 표현은 창조의 시작이 빛의 창조에서 시작된 것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왕국시대 말과 느헤미야 시대 사이에 하루의 계산법에 변화가 생겨 '밤과 낮'이라는 표현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것은 메소포타미아의 하루 계산법이 일몰에서 일몰까지라는 점과 연관이 있다. 창세기에 기록된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라는 표현을 하루에 대한 표현으로 받아들였다.

하루의 구분에서 밤은 구약시대 세 경 즉 첫째경 (애2:19), 한 밤중의 경 (삿 7:19), 마지막 경 혹은 아침의 경 (출 14:24; 삼상 1:11)으로 나뉘었다. 신약시대에 이르러 로마식 구분을 따라 밤을 네 경으로 구분하였다. 아마도 이러한 구분은 이집트 사람들이 사용하였던 구분인 것 같다.

   시간의 구분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샤아'는 아람어에서 파생된 것으로서 순간이라는 결정되지 않는 시간을 의미하였다 (단 4:16). 그러나 후에 이르러 시간을 의미하는 용어가 되었다. 이스라엘에서는 이집트나 메소포타미아에서 사용하였던 것처럼 해시계를 사영하였다. 히스기야의 일영표는 그러한 해시계의 사용을 반영하고 있다 (왕하 20:9; 사 38:8). 게셀에서는 주전 13세기의 이집트식 해시계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달>


   이스라엘에서는 음력을 따라 달을 계산하였다. 초기에 이스라엘 사람들은 가나안 사람들이 사용하였던 명칭을 따라 달을 '야레아흐'라고 불렀다. 이 단어는 전체로서의 달을 의미하였다. 한 달이란 초승달에서 그믐달까지의 한 주기를 의미한다. 그러나 그 이후 이스라엘에서는 달을 '호데쉬'라고 불렀는데 (출 23:15; 34:18; 삼상 6:1; 10:27; 왕상 4:7), 이것은 초생달을 의미하는 단어이었다 (히브리어로 '호데쉬'는 '새 것'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열왕기 상 6:38과 8:2에서는 가나안에서 사용되었던 달 명칭인 '불' 이나 '에다님'이 '에라흐'와 함께 먼저 나오고 그 뒤에 월 수와 함께 '호데쉬'가 나오고 있다. 즉 '에라흐 불'은 곧 '호데쉬 하쉬미니'이다.



가나안 원주민들이 사용하였던 달 이름들은 계절과 관련되어 있다


   아빕: 이삭의 달인 1월 (출 13:4; 23:15; 34:18; 신 16:1)

   시브: 꽃의 달인 2월 (왕상 6:1, 37)

   에다님: 모든 강들에 물이 가득차는 달인 7월 (왕상 8:2)

   불: 큰 비들이 오는 달인 8월 (왕상 6:38)


<게절에서 발견된 달력 (10세기 경의 것으로 추정됨)>


   추수(아삽): 두 달

   파종(자라): 두 달

   늦은 파종(레케쉬): 두 달 (암 7:1)

   아마의 자름(아차드 페세트): 한 달

   보리 추수(카치르 세오림): 한 달 (룻 1:22; 삼하 21:9)

   밀 추수와 청산(카치르 베칼): 한 달 (창 30:14; 삿 15:1; 삼상 12:17)

   포도따기(자마르): 두 달 (출 23:16)

   여름과일 따기(카츠): 한 달



   구약시대 후반부에 이르러 메소포타미아의 영향을 받아 이스라엘에서는 바벨론식 달 이름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명칭들은 이방인 종교와 결부된 것이기 때문에 이스라엘에서는 서수가 월 명으로 사용되었다. 에스겔과 학개에서는 항상 서수가 월명칭으로 사용되었지만 스가랴서에서는 11월을 '스밧월' (슥 1:7)로, 9월을 '기스레이월' (슥 7:1)로 설명되었다. 당시의 페르샤인들은 바벨론 사람들이 사용하였던 달력을 인수하였음으로 그러한 설명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에스라서와 느헤미야서, 그리고 역대기에서는 항상 서수를 월명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후대에 이르러 정통 유대교에서는 바벨론의 월명들이 그대로 사용하게 되었다. 바벨론 월력은 한 해를 봄에서부터 시작하고 있다.


   니산(Nisan): 3-4월

   이야르(Iyyar): 4-5월

   시반(Sivan): 5-6월

   탐무즈(Tammuz): 6-7월

   아브(Av): 7-8월

   엘룰(Elul): 8-9월

   티쉬리(Tishri): 9-10월

   헤쉬반(Heshvan): 10-11월

   키스레브(Kislev): 11-12월

   테밧(Tevet): 12-1월

   쉐밧(Shevat): 1-2월

   아달(Adar): 2-3월



계절의 구분


   이집트에서는 나일강의 범람과 관련하여 세 계절 즉 범람, 곡식의 성장, 추수로 구분하였다.

   이스라엘에서는 지역적 특성에 따라 겨울(호레프)와 여름 (카이츠)로 구분하였다.

   헬라인들은 본래 세 계절로 구분하였는데, 후에 가을을 추가하여 네 계절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네 계절은 춘분과 추분, 하지와 동지에 의하여 구분되었다.


 2. 도량형

  


 1) 길이 (거리)


   고대인들은 일반적인 관습에 의하여 척도계를 인체의 사지와 관련시켰다. 이것은 당시의 공업이 주로 수공업적 활동에 국한되었기 때문이다.


   규빗(암마): 팔꿈치의 맨 끝에서 가운데 손가락의 끝까지의 거리 (약 46-56 cm)

   뼘(제레트): 엄지손가락 끝에서 새끼손가락 끝까지의 거리 (약 20 cm) 출 28:16; 39:9; 삼상 17:4;

        사40:12

   손(바닥) 넓이 (테파흐/토파흐): 실제로 손가락들이 시작되는 손바닥의 폭 (약 10 cm) 출 25:25;

       37:12; 왕상 7:26

   손가락 넓이 (에츠바): 엄지 손가락 넓이의 폭 (약 2.5 cm) (렘 52:21)


   규빗..................................................... 1

   빰...........................................................2     1

   손넓이................................................6     3     1

   손가락 넓이.......................................24    12    4     1


비교적 먼 거리의 척도는 경험적인 방법에 의하여 제시되었다.


   한 걸음(페사아; 삼상 20:3)

   하룻길(민 11:31)

   사흘 길(창 30:36; 출 3:18; 욘 3:3)

   7일 길(창 31:23)

   돌 던질만한 거리(눅 22:41)v


   안식일에 가기 알맞은 길(행 1:12): 후대의 랍비들은 민수기 35:5로 해석된 출애굽기 16:29의 '네                    처소'에 근거하여 안식일에 가기 알맞은 길은 2000규빗으로 해석되고 있다.

   스타디온:고대 헬라의 거리 단위로서 1 스타디온은 약 184m이다. 이 거리 단위는 후에 로마시대 팔레스타인에 도입되어 유대인들이 사용하였다. 누가복음 24:13의 '이십 오리'는 '60 스타디온'에 대한 번역이다. 즉 예루살렘에서 엠마오까지의 거리는 약 11km이다.


 2) 면적


   면적의 측정은 일반적으로 각 변의 길이를 제시함으로 표현하였다. 즉 장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의 면적은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제시하였고, 원형의 면적은 직경과 둘레의 길이를 제시하였다 (왕상 6:2; 7:23; 대하 4:1; 겔 40: 47, 49; 41:2, 4)


농경지의 면적


   농경지의 면적도 경험에 의하여 측정되었다. 즉 토지의 척도인 '체메드'는 '멍에'나 '멍에를 멘 짐승'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멍에를 멘 짐승이 하룻 동안 갈 수 있는 토지를 표시하였다 (삼상 14:14; 사 5:10).

   때로는 파종할 종자의 분량에 따라서 토지를 특정하기도 하였다. '보리 한 호멜지기' (레 27:16


 3) 부피의 척도 (말과 되)


  부피의 척도도 다른 척도와 마찬가지로 곡물을 담는 말과 되에서 파생되었다.

   호멜: 나귀 한 바리의 짐'이란 의미로서 곡식의 부피에 대한 가장 큰 단위이다 (레 27:16;

               겔 45:13; 호 3:2).

   고르: 밀가루, 밀, 보리 등에 대한 대 단위로서 호멜과 등등하다 (왕상 5:2, 25; 대하 2:9; 27:5;

               스 7:22).

   에바: 고체를 측량하는 가장 흔한 단위

   밧: 물과 포도주 혹은 기름과 같은 액체를 측량하는 단위 (왕상 7:26, 38; 대하 2:9; 겔 45:14)

   세아: 밀가루와 곡식에 대한 척도 (창 18:6; 삼상 25:18; 왕상 18:32; 왕하 7:1)

   힌: 액체의 척도. 힌의 1/6은 최소단위의 척도 (겔 4:11)

   오멜: '곡식의 단'을 의미하며 만나의 이야기에서만 사용된다 (출 16:18, 32) 한 오멜은 에바 1/10.

   잇사론: 제사의식의 본문에서 밀가루의 척도로 사용 (출 29:40; 레 14:10, 21)

   갑: 열왕기 하 6:25에서만 사용된다.

   록: 액체에 대한 최소한의 척도 (레 14:10)



   1 호멜(=고르)은 10 에바 (=밧)

   1 에바(=밧)은 3 세아

   1 세아= 2 힌

   1 에바(=밧)은 10 오멜 (=잇사론)

   1 오멜(=잇사론)은 1.8 갑

   1 갑= 4 록



   호멜=고르..............................1

   에바=밧.................................10  1

   세아......................................30  3    1

   힌..........................................60  6    2    1

   오멜=잇사론............................100 10      

   갑..........................................180 18   6    3    1

   록..........................................720 72  24   12    4


1 밧의 용적은 대략적으로 22리터-23리터에 해당됨


 4) 무게 (저울)


   작은 물건들은 양쪽에 하나씩의 저울판이 달린 저울대가 사용되었다. 한쪽 저울판에는 추를 올려놓고 다른 쪽에는 물건을 올려 놓았다. 추는 일반적으로 단단한 돌을 사용하였다. 그래서 돌을 의미하는 '에벤'은 동시에 '추'를 의미하였다.


중량의 단위들


   세겔


   '물건을 단다'는 의미는 히브리어 동사는 '샤칼'이다. 그래서 이 동사에서 파생된 명사인 '세켈'은 중량을 측정하는 단위가 되었다. 성경에는 여러 종류의 세겔이 등장하고 있다. 왕의 저울에 의한 세겔 (삼하 14:26)이 있는가 하면, 포로기 이후의 본문들 속에서는 성소의 세겔 (출 30:13, 24; 38:24; 레 5:15; 27:3; 민 3:47, 50)이 언급되고 있다. 국가 제도가 형성되기 이전에는 상인들에게 통용되는 세겔이 있었다 (창 23:16). 상인들은 크고 작은 추들을 지니고 있었으며 (신 25:13) 두 종류의 추를 지니고 있으면서 사정에 따라 유리한 저울을 사용하였다 (잠 20:23). 세겔은 여러 쪽으로 나뉘어져 반 세겔 (출 30:13), 1/3세겔 (느 10:33), 혹은 1/4세겔 (삼상 9:8) 등이 언급되었다.


   마네


   마네가 언급되는 것은 비교적 후대의 일이다 (왕상 10:17). 마네는 일반적으로 50 (혹은 60)세겔에 해당된다.


   달란트


  (키카르. '주변, 원' 이란 의미). 용어의 어원적 의미가 시사하는 바대로 달란트는 둥근 모양의 돌을 가르킨다. 이것은 보다 큰 척도의 단위로서 역사서에는 자주 언급되지만 오경에는 드믈게 나온다 (출 25:39; 37:24; 38:24-29)


   베카아.


   이 단어의 본래 의미는 '파편'이라는 뜻이다. 이 단어는 창세기 24:22과 출애굽기 38:26에서만 언급되고 있는데 반 세겔에 해당되는 중량이다. 그래서 개역 성경에서는 '반 세겔'이라고 번역하였다.


   게라 (낟알, 콩알).


   본래의 뜻은 '곡식의 낟알'으로서 가장 작은 단위의 중량이다. 세겔의 1/20에 해당된다 (출 30:13; 레 27:25; 민 3:47; 18:16; 겔 45:12).


   핌.


   고고학적으로 알려진 것이 없지만 사무엘 상 13:21에서 언급되고 있다. 그러나 세겔의 2/3에 해당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출애굽기 38:25에 의하면, 1 달란트는 3000세겔이며 베카아는 반 세겔이다. 다음의 도표는 이 본문에 의한 중량단위들이다.


   달란트.................................. 1

   마네.......................................60     1

   세겔...................................3,000    50     1

   베가..................................6,000    100    1


   레위기 27:25, 민수기 3:47, 18:16, 에스겔 45:12에 의하면, 한 세겔이 20 게라이다. 여기에서의 세겔은 성소의 세겔임을 에스겔 본문에서는 밝히고 있다. 특히 이 본문에서는 마네를 20세겔+25세겔+15세겔 (도합 60 세겔)이라고 표현하고 있는데, 이것은 당시 각각 다른 세 종류의 저울추가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에스겔 본문에 의한 중량단위는 다음과 같다.


   달란트.................................. 1

   마네......................................60       1

   세겔....................................3,600     60     1

   게라.................................72,000   1,200    20     1


<한 세겔의 중량이 오늘날의 중량 어는 것에 해당되는가?>


   1) 메소포타미아 계통에서 한 세겔은 8.4 g이다. 그러나 왕의 달란트에서 유래된 중량은 모두

       갑절이 된다.

   2) 우가릿에서 한 세겔은 9.5 g이며 '무거운 세겔'은 가벼운 것의 갑절이 되어 18.7g에 해당된다.

   3) 이스라엘에서의 한 세겔은 11.5g 인데 '왕의 세겔'은 이것보다 갑절이 무거워 22.28g 이다.


8. 이스라엘의 화폐

                                            

   고대시대 중량을 계산하는 일은 곧 금전 문제를 다루는 일로 연결되었다. 상업의 초기 형태는 물물교환이었는데, 지불 방법은 셀 수 있는 곡물, 기름, 가축 등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얼마가 지난 뒤에는 보다 편리한 금속 곧 금이나 은 등이 지불 방법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금속의 가치와 무게는 교환 가치의 액수를 결정하게 되었다. 성경에서 금속이 사용된 경우는 다음과 같다:


   조공을 바치는 일 (왕하 15:19; 18:14 등)

   외국과의 무역 (창 42:25, 35; 43:12; 삼상 13:21; 왕상 10:29)

   토지 구입 (창 23:14; 삼하 24:24; 왕상 16:24; 21:2; 렘 32:9 등)


   그러나 곡물이나 가축으로 지불하는 경우나 금속과 곡물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있기도 하였다. 솔로몬은 히람에게 부채를 곡물로 지불하였으며 (왕하 3:4), 메사왕은 양과 양털로 이스라엘에게 조공을 바쳤다 (왕하 3:2). 호세아는 은 15세겔과 보리 한 호멜과 한 레덱을 을 주고 자기의 아내를 사왔다 (호 3:2). 여기에서의 '레덱'은 호멜의 반을 의미한다. 성경에서 유일하게 사용된 경우이다.


   교환방법으로 사용된 금속으로서는 금과 은과 구리가 대표적이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돈 개념으로서의 금속이 아니라 저울에 달아 중수를 따라 지불 액수가 결정되었다. 그래서 성경은 얼마의 금속을 '달아 주었다'는 표현을 사용한다 (창 23:16; 렘 32:9). 스바냐 1:11에서는 장사군을 '은을 수운하는 자(bear, lift, trade with)'로 표현되었다.


   돈이 등장한 것은 요아스 왕과 다리오 왕 사이이다. 초기의 돈은 도장이 찍힌 금속 파편이며, 도장은 돈의 이름과 무게를 공식적으로 보증하는 역할을 하였다. 최초의 돈(동전)은 주전 7세기 소아시아에서 고안되었고, 페르샤에 의하여 세계적으로 유통되었다. 성경에 최초로 언급된 화페는 '다릭'이다. 여기에서 '다릭'은 '드라크마'를 의미한다 (스 8:27; 느 7:70).


   이스라엘 자체의 동전이 주조된 것은 주전 5세기 헤브론에서이다. 이 동전에는 '베가'라는 이름이 새겨져 있고 무게는 아덴의 드라크마와 비슷한 3.88g이다. 학자들은 이 동전이 느헤미야 총독시대에 주조된 것으로 추정하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알렉산더 이후 근동의 전 지역에서는 화폐주조가 성행하게 되었다. 당시 통용되었던 은화 1 드라크마는 3.6g이었으며 4 드라크마 짜리는 약 14.4g이었다.


   시몬 마카비는 유대인의 대제사장 자격으로 안티오커스 7세로부터 유대인들을 위한 동전 주조권을 얻어냈다. 그러나 시몬 시대에 동전 주조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그 후 요한 히르카누스 시대인 주전 110년경부터 유대인의 화페가 통용되기 시작하였다. 유대인들은 로마에 대항하는 두 차례의 항전 기간 동안(66-70년; 132-135년) 독자적인 화폐를 발행하였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