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교육청 지자체와 협약형 특성화고 추진
교육청-도청-도의회-제주대-테크노파크-한화시스템 컨소시엄 구성
제주지역 산업인재 양성을 위한 「협약형 특성화고등학교(항공우주 및 시설 분야)」추진을 위해 2월 19일 오후 5시 라마다 프라다 제주호텔에서
제주도, 도의회, 도교육청, 제주대, 제주테크노파크, 한화시스템(주), 한림공고 등 도내 7개 주요기관이 산업인재 양성을 위해 하나로 뭉친다.
‘협약형 특성화고’는 지역전략산업분야를 지자체, 기업, 대학, 유관기관이 각자 보유한 인적・물적 자원의 연계를 통해 지역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고 성장시켜 정주여건을 마련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제주도와 테크노파크에서 추진하고 있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성과포럼」에서 지역혁신 사업 시작을 알리는 「지역 거버넌스 중심 협약형 특성화고 육성을 위한 협약식」을 함께 하고 있다.
교육부가 추진하는 협약형 특성화고는 2024년 전국 10교 선정 예정으로 3월 29일까지 계획서를 제출한다. 특성화고로 지정되면 5년간 최대 45억 원의 특별교부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다.
이날 협약식에는 오영훈 지사와 김경학 도의장, 김광수 교육감, 김일환 제주대 총장, 문용석 제주테크노파크원장, 어성철 한화시스템(주) 대표이사, 강창익 한림공고 교장이 참여해 협약형 특성화고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적극 협력하기로 뜻을 모을 예정이다.
협약 기관에서는 학교의 미션 및 비전, 산학 융합 교육계획과 취업-성장-정주 지원을 위한 학생이 지역인재로 성장 계획 등을 담은 교육플랜, 이를 이행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거버넌스 구축 계획, 교육 플랜을 실현하기 위한 시설 및 자원 투자 계획, 성과 관리 및 협약 이행 담보 방안 마련 등에 적극 협조하도록 하고 있다.
오영훈 지사는 “제주의 미래산업인 항공우주 및 시설 사업을 활성화시켜, 지역에 정주할 수 있는 산업인재 양성을 위해 협약형 특성화고등학교 지정 및 운영에 적극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김광수 교육감은 “제주발전특구 과제 중 하나인 협약형 특성화고를 통해 지역에서 자란 학생들이 도외로 나가지 않고 지역에서 일할 수 있는 선순환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기사더보기: 제주교육청 지자체와 협약형 특성화고 추진 (miraenews.co.kr)
#제주도 #제주교육청 #제주도의회 #한화시스템 #협약형특성화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