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초에 개항되어 1950년대까지 수산업이 성시를 이루었던 곳으로 서해대교를 감상하며 각종활어회를 맛볼 수 있는 횟집들이 즐비하며 인근의 중앙공원은 고려말 해안방어 진지로 사용되었던 곳으로 전망이 매우 양호하여 여행객들이 즐겨찾고 있으며, 인근에는 상록수의 작가 심훈의 고택인 "필경사"가 있다.
여름철이면 앞바다 갯벌에 나가 3시간 정도 머물면서 바지락, 소라 등을 캐며 갯벌체험을 즐길 수 있다 포구 주변에는 싱싱한 자연산 회를 맛볼 수 있는 식당들이 즐비하다.
삽교호에서 10여분 거리인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의 한진포구는 작은 어촌마을이지만 옛날에는 당나라와 해상무역이 이루어졌고 60년대까지 여객선이 인천을 오가던 곳이다. 포구 주변에 조성된 고대 부곡 국가산업단지와 한보철강 현대스틸 등이 가동 중이다 바다 위에 줄지어 떠있는 배들이 한가롭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길다는 서해대교의 아름다운 모습이 한눈에 들어온다. 한진포구에서 건너다보이는 곳이 경기도 평택이고 포구에서 가까운 곳에 심훈이 낙향해서 직접 설계하고 지었다는 필경사가 있다. 누구나 한번쯤은 읽어봤을, 채영신과 박동혁이 주인공인 <상록수>가 바로 이곳에서 집필되었다.
포구 바로 앞에는 접안 시설이 있고..바다를 바라보며.. 좌측으로 50m ~ 300m 지점이 포인트입니다!! 그 앞에는 넓은 여밭이 형성되어 있고.우럭이 서식하기 좋은 천혜의 포인트이며, 어류 소통도 매우 원활합니다!! 여기서는 1/4 지그헤드로 멀리 캐스팅하여, 충분히 착수시킨 다음, 조금 빠르게 릴링해주는 기법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특히!! 한진 포구로 출발 하실 때는..물 때가 필수인데..(평택 물 때표 참조.. 약 20분 정도 빠름..)
물이 중간 쯤 나갈 때 도착하여.. 썰물과 밀물을 보시면 됩니다..
만조 때는 낙수 뿐만 아니라.. 같이간 가족들도 안전상 위험하니.. 물이 중간 쯤 들어오면..
아무리 고기가 잘 나온다 하여도.. 눈 찔끔 감고..바로 철수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한진 포구 앞의 간출여는 황금 포인트로..물이 빠질 때와, 들어올 때.. 약 4시간 정도만,,낙수가 가능하고요, 가시는 방법은......포구에 있는 배를 선택(?)하셔서,, 1당 1만원의 선비를 지불하시고..5명 이상.7명 이하(선장 전화번호 필히 확인) (선장님이 안오면 물에 잠기거나,, 헬기 타고 나오셔야 합니다..) 들어 가셨다가..신나게 낙수 하시고 오시면 됩니다!!
가실 때,"미리"나 "등대섬"으로 가시기 바랍니다!! (선장님한데 데려 달라고 하시면, 됨)
(참고사항)
갯바위에서 우럭잡을때 울트라 라이트대를 씁니다. 손맛이 죽이져..전 단순해서 한가지만 계속하는 습성이 있습니다. 울트라라이트대 5개를 갈아탄후 지금은 NS블랙홀 RS2 602를 씁니다. 쓰다가 부러뜨리고 계속해서 2개나 더 샀습니다. 왜이렇게 이루어대가 좋은지 모르겠습니다...근데 요즘에는 안파는 모양입니다. 지금 가지고 있는거 부러지면 어떻하나?
1) 한진 포구에서 바다를 바라 보고 좌측으로, 300 ~ 500m 지점의 여밭.
단, 물이 빠지고 들어 올 때.. (만조시엔 우래기만 나옴) 필히! 간조
시각을 파악 하시고 출조 하셔야 함.
2) 한진 포구 앞바다의 간출여들 (승선비 5인 기준 5만원?-확인요망)
과 가을에 대물을 건질 수 있음.. 깔다구와 삼치.. 그리고, 25cm 이상
우럭 손 맛을 만끽 할 수 있습니다!!
<한진포구 찾아가는 길>
*서해안고속도로 - 서해대교 - 송악IC - 우회전해서 석문방향 - 한진포구
*경부고속도로 - 평택 - 둔포 - 아산만 - 삽교 - 당진 방향 - 기지시 입구삼거리 - 한진포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