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에는 까시나가 다음의 순서로 나타납니다.
1) 땅 까시나[paṭhavī kasiṇa, 빠타위 까시나],
2) 물 까시나[āpo kasiṇa, 아뽀 까시나],
3) 불 까시나[tejo kasiṇa 떼조 까시나],
4) 바람 까시나[vāyo kasiṇa, 와요 까시나],
5) 검정색 까시나[nīla kasiṇa, 닐라 까시나],
6) 노란색 까시나[pīta kasiṇa, 삐따 까시나],
7) 빨간색 까시나[lohita kasiṇa, 로히따 까시나],
8) 흰색 까시나[odāta kasiṇa], 오다따 까시나,
9) 공간 까시나[ākāsa kasiṇa, 아까사 까시나],
10) 식 까시나[viññāṇa kasiṇa, 윈냐나 까시나]
아비담마에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땅 까시나[paṭhavī kasiṇa, 빠타위 까시나],
2) 물 까시나[āpo kasiṇa, 아뽀 까시나],
3) 불 까시나[tejo kasiṇa 떼조 까시나],
4) 바람 까시나[vāyo kasiṇa, 와요 까시나],
5) 검정색 까시나[nīla kasiṇa, 닐라 까시나],
6) 노란색 까시나[pīta kasiṇa, 삐따 까시나],
7) 빨간색 까시나[lohita kasiṇa, 로히따 까시나],
8) 흰색 까시나[odāta kasiṇa], 오다따 까시나,
9) 공간 까시나[ākāsa kasiṇa, 아까사 까시나],
10) 빛 까시나[āloka kasiṇa, 알로까 까시나]
청정도론에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납니다.
1) 땅 까시나[paṭhavī kasiṇa, 빠타위 까시나],
2) 물 까시나[āpo kasiṇa, 아뽀 까시나],
3) 불 까시나[tejo kasiṇa 떼조 까시나],
4) 바람 까시나[vāyo kasiṇa, 와요 까시나],
5) 검정색 까시나[nīla kasiṇa, 닐라 까시나],
6) 노란색 까시나[pīta kasiṇa, 삐따 까시나],
7) 빨간색 까시나[lohita kasiṇa, 로히따 까시나],
8) 흰색 까시나[odāta kasiṇa], 오다따 까시나,
9) 빛 까시나[āloka kasiṇa, 알로까 까시나],
10) 공간 까시나[ākāsa kasiṇa, 아까사 까시나]
청정도론과 아비담마는 빛 까시나와 공간 까시나의 순서만 다르고 내용은 같습니다.
‘경’에서 나타난 식 까시나[viññāṇa kasiṇa]는 공간에 대해 일어난 마음을 대상으로 삼는 선정이라서 무색계 선정의 식무변처와 같은 것으로 봅니다. 그래서 아비담마와 청정도론에서는 식 까시나[viññāṇa kasiṇa]를 색계 선정을 닦는 까시나 선정에서는 제외되었습니다.
아나빠나사띠 니밋따와 바람 까시나[vāyo kasiṇa, 와요 까시나], 식 까시나[viññāṇa kasiṇa, 윈냐나 까시나]는 다릅니다.
빛 까시나[āloka kasiṇa, 알로까 까시나]와 불 까시나[tejo kasiṇa 떼조 까시나]는 다릅니다.
식 까시나[viññāṇa kasiṇa, 윈냐나 까시나]와 빛 까시나[āloka kasiṇa, 알로까 까시나]는 다릅니다.
안녕하고 행복하시길
담마다야다
첫댓글 사두사두사두
사-두 사-두 사-두 _()()()_
사두 사두 사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