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본동초등학교19,20회
 
 
 
카페 게시글
잠시 쉼터 스크랩 추석특집-송해, 군함도에서 백두산까지 아리랑 - 2016.9.14. KBS
하늘나라(홍순창20) 추천 0 조회 451 16.09.15 13:08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KBS ‘송해, 군함도에서 백두산까지 아리랑’


‘추석특집’ 송해의 아리랑, “눈물 젖은 두만강” 

KBS 1TV 추석 특집 다큐 <송해, 군함도에서 백두산까지 아리랑>

9월 14일 (수) 오후 7시 25분, 1TV

한인 강제 징용의 현장인 일본 군함도부터 아픈 역사가 서린 땅이지만 오랫동안 잊고 있었던 곳인 사할린, 민족의 염원이 담긴 곳 백두산까지. 한국 근현대사의 아픔을 고스란히 안은 채 살아온 동북아 3국 한인들의 한 많은 유랑의 역사를 살아있는 전설, 국민 MC 송해가 찾아간다.

총 이동거리 8,000km. 뜨거웠던 여정 속에서 한인들의 굴곡진 인생 이야기와 상처 많은 삶 속에서도 불러온 노래들을 만나본다.

강제 징용과 원폭 피해의 현장, 일본

비행기로 1시간 30분이면 도착하는 나라, 일본. 송해는 굳이 뱃길로 일본을 찾는다. 일제 강점기 수많은 조선인들이 강제 징용 돼 일본으로 떠났던 뱃길. 그 위에서 송해 선생은 눈물로 고향을, 가족을 떠나야만 했던 이들을 떠올렸다.



일본 일정을 계획할 때 송해 선생이 꼭 들리고 싶다 했던 장소가 있었다. 전쟁이 막바지에 이르던 1940년대에만 약 800여명의 조선인들이 강제 징용으로 끌려간 곳, 지옥섬이라 불리는 군함도였다. 고된 착취와, 노동의 역사는 숨긴 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라는 화려한 수식어로 수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가 된 섬. 군함도로 향하는 배에서 송해 선생은 내내 무거운 얼굴을 감추지 못했다. 지하 1,000m가 넘는 해저탄광에서 하루 12시간의 노동에 시달리면서도 고향에 갈 날만을 손꼽아 기다렸을 사람들… 그들의 심정을 대변하듯 송해 선생은 노래했다. <나그네 설움>… 그것은 애통함의 노래였다.

일본에서 마주한 아픈 역사는 또 있었다. 한 번 들어가면 살아서는 떠날 수 없었던 지옥의 섬, 그곳을 벗어날 수 있었던 단 한 번의 기회이기도 했던 사건이었다. 1945년 8월 9일, 굉음과 함께 나가사키의 하늘을 뒤덮은 검은 그림자. 바로 원자폭탄이었다. 우리 정부의 조사에 따르면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원폭 피해자 총 69만 명 가운데 조선인은 약 7만 명으로 추정된다. 폭탄의 피해를 직접 받은 것은 물론 원폭 투하 이후 도시 복구 작업에까지 투입되어 방사능에 노출된 조선인들.

우리가 잊었던 역사, 사할린

오호츠크 해에 위치한 러시아의 유일한 섬, 사할린. 불과 150년 전까지만 해도 러시아의 중죄인들이 갇혀있는, 사람의 온기는 찾기 힘든 불모지나 다름없는 곳이었는데… 이름도 낯선 이 땅에는 우리가 잊었던 역사가 서려있다.

사할린에서 송해 선생의 마음을 무겁게 한 곳은 코르사코프 망향의 언덕이었다. 마침내 맞이한 조국의 광복, 사할린으로 끌려와 강제노역에 부역하던 한인들은 드디어 고향에 갈 수 있다는 희망으로 모두 코르사코프항으로 모여들었다. 하지만, 배를 탈 수 있는 건 오로지 일본인 뿐. 통곡과 울분이 잠든 땅, 코르사코프 망향의 언덕… 한 맺힌 삶들을 위로하는 송해 선생의 노래가 바다로 하늘로 향했다.

한반도의 시작점이자 여정의 마지막 목적지, 두만강, 그리고 백두산

저마다의 사연을 안고 고향을 떠나 낯선 땅에 뿌리를 내렸던 한인들. 중국에도 ‘조선족’이라는 이름으로 오늘을 살아가고 있는 후손들이 있다. 중국 길림성의 작은 마을, <정암촌>. 한국 시골마을을 옮겨놓은 듯 정겨운 모습이 느껴지는 마을에서 우리와 같은 음식을 먹고, 우리와 같은 말을 쓰는 여전히 ‘대한민국’으로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을 만났다. 고향에서 온 손님들 반기듯 송해 선생과 함께 고향 이야기를 나누고, 고향 노래를 부르며 어울렸던 시간.. 그곳엔 작은 대한민국이 있었다.

송해는 두만강에서 꾹꾹 삼켜왔던 애통함을 터트리고 말았다. 잡힐 듯 잡히지 않는 고향땅 앞에서 얼마나 많은 이들이 눈물로 시간을 보냈을지. 고향을 그리는 실향민, 어머니를 그리는 아들로 두만강에 선 송해 선생은 어느 때보다 구슬프게 노래한다. <눈물 젖은 두만강>을.




20160914 추석특집-송해, 군함도에서 백두산까지 아리랑 예고

게시일: 2016. 9. 11.

추석특집 송해, 군함도에서 백두산까지 아리랑,
2016년 9월 14일(수) 19:25 KBS 1TV 방송,




추석특집 송해 군함도에서 백두산까지 아리랑.E01.160914.HD-1 ...

Dailymotion, 추석특집 송해 군함도에서 백두산까지 아리랑.E01.160914.HD-1이 업로드한 동영상 ?293? 감상하기.


 
다음검색
댓글
  • 22.06.08 11:17

    첫댓글 송해(95·송복희) 전국노래자랑 mc 별세 20220608 조선外 https://cafe.daum.net/bondong1920/8dIJ/6312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