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대만 해도 공업도시 울산이 공해도시의 대명사였다. 당시 도시가 급속히 팽창되면서 전국적으로 쓰레기소각장이 우후죽순처럼 들어섰고 전기수요 증가로 화력발전소 건설이 봇물을 이루면서 이곳에서 배출되는 다이옥신이 대기환경을 해치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돼 사회적인 논란이 됐다. 민ㆍ관ㆍ기업의 지속적인 노력의 결과 대기오염원이 줄면서 대기 질이 좋아지는 듯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매년 봄과 가을철 중국대륙으로부터 유입되는 황사에 중국 내 산업현장과 국내 매연, 공해 및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더해지면서 미세먼지농도가 급격히 높아져 국민건강을 크게 위협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주무부처인 환경부는 물론 정부 유관기관들이 나서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울산의 경우 90년대 초까지만 해도 공해도시라는 오명속에서 각종 공해로 고통 받아야만 했다. 그러나 각고의 노력으로 현재 공장굴뚝에서 배출되던 공해는 사라졌다고는 하나 여전히 악취와 타 지역에서는 보기 힘든 발암물질까지 포함된 초미세먼지가 빈번히 발생해 우려와 걱정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같은 현실에서 울산시와 시민단체, 시민들은 최근 정부에 울산지역 대기특성에 맞춰 대기환경개선을 담당할 동남권 대기관리환경청을 울산지역에 설립해 줄 것을 요청 했다. 울산은 그동안 국가 산업단지와 항만, 발전시설 등이 밀접한 공업도시로 대기환경에 대한 특수성과 화학ㆍ발암물질 배출량과 자체 미세먼지 발생량이 많은 거점지역으로 울산에 동남권대기환경청 설치가 필요하다는 요구가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전문기관 등에 따르면 울산에서 초미세먼지(pm2.5)가 올해 7월 1~19일 미세농도 수치가 66㎍/㎥으로 전국 최고 수준을 보였고, 수도권의 20~30㎍/㎥보다 2~3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체에 유해한 이산화황 농도도 7대 도시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정부와 환경부는 기존의 관리체계를 유지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지역 여론이 들끓고 있다. 탁상행정이라는 비난도 받고 있다. 울산시민들은 지난 수십 년 동안 대한민국 발전이라는 대명제 아래 공해의 고통도 숙명처럼 생각하며 살아왔다. 울산시민들의 고통을 조금이라도 이해한다면 이제는 정부가 나서야 할 차례다.
|